• AI글쓰기 2.1 업데이트
SILVER
SILVER 등급의 판매자 자료
non-ai
판매자가 AI를 사용하지 않은 독창적인 자료

그린포트,항만재해,항구,4대강,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례,swot,stp,4p

99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2.04.24 최종저작일 2012.04
99P 미리보기
그린포트,항만재해,항구,4대강,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례,swot,stp,4p
  • 미리보기

    소개

    론과거와 달리 최근 지구환경변화문제에 대한 인식의 폭이 커지면서 항만도 환경오염의 발원지라는 인식이 확대되고 있다. 항만분야의 경우 국가별 탄소배출량 감소 계획에서 제외되어 있으나, 최근 EU를 중심으로 항공 및 해운에 대한 탄소배출량 규제 압력이 증가하고 있어 향후 항만 부문에도 탄소배출량 규제가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 같은 경향이 생긴 이유는 최근 해운분야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의 실제 규모가 이전에 예측된 것보다 3배 정도 더 높다는 사실이 유엔 보고서에서 밝혀졌기 때문에 항만분야의 온실 가스 배출 규모도 상당히 높을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이다. 그 결과 항만을 중심으로 한 환경오염에 대한 각종 규제는 점차 확대·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여건변화에 부응하여 국내에서도 항만개발운영에 친환경기술의 접목이 시도되고 있고, 일부에서는 그 효과를 거두고 있다. 외국 항만의 경우 최근의 이러한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변화로 타 산업분야에서와 마찬 가지로 녹색성장을 지향하는 그린포트(Green Port) 개발전략이 도입되기 시작하였다. 그 결과 로스엔젤레스&롱비치항만의 “청정대기행동계획”과 같이 항만의 생산성뿐만 아니라 항만 내의 환경개선에도 막대한 관심을 두는 개발전략이 추진되고 있다. 이러한 녹색성장&그린포트 항만개선전략은 현재, 특정국가, 지역에 국한되지 않고 점차 글로벌화 되어 가고 있는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항만 운영사 뿐만 아니라 선사에도 상당한 영향을 주고 있다.

    목차

    1. 서론······························································································1

    2. 항만환경의 현황과 그린포트의 중요성···············································2
    (1) 항만의 개념 및 해운항만환경의 변화············································2
    (2) 그린포트의 의의·········································································5

    3. 부산항의 그린포트 운영관리의 현황··················································9
    (1) 부산항의 오염 실태···································································10
    (2) 그린포트 T/F 팀의 구성····························································11
    (3) 부산항의 친환경 항만운영관리 현황과 향후 계획··························11

    4. 외국의 저탄소 · 녹색항만물류 체계 구축사례····································16
    (1) 미국의 저탄소 · 녹색항만물류구축 및 사례··································17
    (2) 유럽의 저탄소 · 녹색항만물류체계 및 사례··································20
    (3) 일본 저탄소 · 녹색항만물류정책·················································21
    (4) 기타 국가의 사례······································································23

    5. 우리나라 그린포트의 문제점···························································28
    (1) 정책의 문제점··········································································25
    (2) 항만 시설의 문제점···································································26

    6. 우리나라 그린포트의 추진방안 및 정책제언······································29
    (1) 친환경 항만운영기술별 대응방안·················································29
    (2) 항만물류기업의 대응방안···························································32
    (3) 정책제언··················································································35

    7. 결론····························································································42

    참고문헌··························································································43

    1. 서론····························································································44

    2. 항만재해의 이해············································································45
    (1) 항만재해의 종류·······································································45

    3. 일본 항만 재해·············································································46
    (1) 일본 항만 재해 피해 사례··························································46
    (2) 일본 항만 재해 대응 전략··························································60

    4. 각 국가별 주요 항만재해 사례 및 대응전략······································74
    (1) 미국 - 허리케인 카트리나·························································74
    (2) 미국 - 갈베스톤·······································································82
    (3) 미국 - 오클랜드항만·································································83
    (4) 유럽 - 베네치아·······································································84
    (5) 유럽 - 네델란드·······································································87

    5. 국내 항만 재해·············································································89
    (1) 국내 지진해일 피해와 대풍 피해·················································89
    (2) 국내 항만재해 해결방안·····························································93
    (3) 항만 관계자 인터뷰···································································99

    5. 결론··························································································100

    참고문헌························································································101

    본문내용

    1. 서론

    과거와 달리 최근 지구환경변화문제에 대한 인식의 폭이 커지면서 항만도 환경오염의 발원지라는 인식이 확대되고 있다. 항만분야의 경우 국가별 탄소배출량 감소 계획에서 제외되어 있으나, 최근 EU를 중심으로 항공 및 해운에 대한 탄소배출량 규제 압력이 증가하고 있어 향후 항만 부문에도 탄소배출량 규제가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 같은 경향이 생긴 이유는 최근 해운분야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의 실제 규모가 이전에 예측된 것보다 3배 정도 더 높다는 사실이 유엔 보고서에서 밝혀졌기 때문에 항만분야의 온실 가스 배출 규모도 상당히 높을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이다. 그 결과 항만을 중심으로 한 환경오염에 대한 각종 규제는 점차 확대·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여건변화에 부응하여 국내에서도 항만개발․운영에 친환경기술의 접목이 시도되고 있고, 일부에서는 그 효과를 거두고 있다.
    외국 항만의 경우 최근의 이러한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변화로 타 산업분야에서와 마찬 가지로 녹색성장을 지향하는 그린포트(Green Port) 개발전략이 도입되기 시작하였다. 그 결과 로스엔젤레스&롱비치항만의 “청정대기행동계획”과 같이 항만의 생산성뿐만 아니라 항만 내의 환경개선에도 막대한 관심을 두는 개발전략이 추진되고 있다. 이러한 녹색성장&그린포트 항만개선전략은 현재, 특정국가, 지역에 국한되지 않고 점차 글로벌화 되어 가고 있는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항만 운영사 뿐만 아니라 선사에도 상당한 영향을 주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정부의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에 맞춰 부산항을 친환경 항만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부산항 그린포트 구축 종합계획`을 2011년 11월2일 발표하였다. 이에 따라 대규모 녹지와 친수공간이 조성되고 경관도 부두별 특징을 살리는 형태로 향상돼 현재 물류중심의 단순 기능에 치중된 부산항이 친수와 문화가 어우러지는 복합기능 항만으로 변모한다. 이로써 부산항 그린포트 계획을 단계별로 실천, 차질 없이 이행함으로써 부산항의 미래 경쟁력을 제고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이 항만, 해운 및 항공에 대한 온실가스 저감 정책이 전 세계적으로 이슈화되고 각국에서 대응 정책을 수립하고 있다. 앞으로 세계항만은 친환경적인 그린포트 계획을 발전시켜 나감으로써 국제적인 항만시장의 경쟁이 일어날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2. 항만환경의 현황과 그린포트의 중요성

    (1) 항만의 개념 및 해운항만환경의 변화

    1) 항만의 개념

    화물의 운송에는 육로에 의한 것과 해로에 의한 것, 그리고 공로에 의한 것이 있다. 선박에 의하여 해로로 운송을 하는 것이 해상운송이다. 우리나라처럼 삼면이 바다에 둘러 싸여 있는 나라나 또는 섬나라나 긴 해안선을 가지고 있는 나라에 있어서는 국내의 화물 운송도 해로에 의한 것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해상 운송이라 하면 주로 나라와 나라 사이 의 무역 화물을 대양을 항해하는 선박에 의하여 운송하는 것을 말한다.

    참고자료

    · 국토해양부 (http://www.mltm.go.kr/)
    · 일본 경찰청 홈페이지 (http://www.npa.go.jp)
    · 해기사협회 (http:/www.mariners.or.kr)
    · 국회도서관 (http://www.nanet.go.kr/)
    · 인천항만공사 (www.icpa.or.kr/)
    · 부산항만공사 (http://www.busanpa.com/service)
    · 위키백과 (http://ko.wikipedia.org/)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부산항 태풍피해와 대응방안”, 2003.
    · Port Technology Group ASEAN-Japan Transport Partnership, Outline of guideline for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tsunami disaster management map (version 10), March 2008
    · PIANC Working Group 53, Recommendations with regard to mitigation of tsunami disasters in ports (Draft version 10), September 30, 2008
    · ohgaki,, K, H, Yoneyama and T. Suzuki, proposition of the Most Effective Mooring Method of a Ship against a Tsunami by Numerical Simulation, Annual J. Coastal Eng., 2008,
    · 최재혁, “동일본 대지진의 피해현황”, 2011.
    · 김규한, 송만순, “일본 동북부 쓰나미 참사를 통해 바라본 우리나라의 해안방재 대응방안”, Ports & harbours, 2011.
    · 김벙준, “일본 동북지방 대지진의 영향과 우리나라 해운항만산업의 대응방향”, Ports & harbours, 2011.
    · 이광호, “동일본 대지진 쓰나미에 의한 연안구조물 피해현황”, Ports & harbours, 2011.
    · 최상진, “안전한 항만 구축을 위한 항만국 통제 활동 분석 및 개선에 관한 연구”, 2010. 조경엽 외 6명, "일본 대지진의 경제적 영향 및 시사점", 한국경제 연구원, 2011,
    · 김용태, "동일본 대지진 발생 100일 일본 동향", 한국 무역 협회 도쿄지부, 2011.07.20,,
    · 우상민, “일본 대지진 주요 공장 조업 중단 줄이어", KOTRA, 부산 상공회의소, 2011.03.14
    · 김영택, “항만구조물(외곽시설) 재해저감 및 설계기술 개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10.5.23.
    · 박병주·이정석, "녹색성장을 향한 일본 그린물류 정책의 시사점", 경남발전연구원, 2008.9.29.
    · 서경덕, “연안재해 관리지도 작성 및 이용에 대한 지침서”, GPR, 2010.
    · 서경덕, “일본 동북지방 태평양 지진해일의 발생현황”, GPR, 2011.
    · 조용석, “지진해일의 이해와 과거 재해 발생사례, 방재 대응방안”, GPR, 2011.
    · 홍성진, “지진해일대응시스템 구축방안”, GPR, 2011.
    · 조용석, “일본 대지진, 쓰나미 피해와 향후 과제”, GPR, 2011.
    · 일본항만공항 기술 연구소, "카마이시만 방파제의 해일 피해 저감 효과 조사", GPR, 2011.
    · 일본항만공항 기술 연구소, “항만 및 항만 구조물 재해 피해”, GPR, 2011.
    · 박홍남, “우리나라 항만분야 재해대응방안 고찰”, GPR, 2011.
  • 자료후기

      Ai 리뷰
      구매한 자료가 제가 필요로 하는 모든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판매자의 자료는 다음에도 다시 이용하고 싶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9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