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국방부, 《자주국방과 우리안보》, 2003.
· 2. 국토통일원, 민족통일로의전진- 국토통일원 20년』, 1989.
· 3. 감강녕, 《국가안보와 평화통일》, 신지서원, 2005.
· 4. 김강녕, 《한반도 군사안보론》, 대왕사, 1999.
· 5. 김강녕, 《현대국제문제와 남북한》, 신지서원, 2002.
· 6. 김강녕, 《현대군사문제와 남북한》, 형설출판사, 2001.
· 7. 김길남, 《대통령의 눈물》, 북랜드, 2003.
· 8. 김달중, <북방정책의 개념, 목표 및 배경>, 《국제정치논총》 제29집 2호, 1989.
· 9. 김용호, <북핵 문제의 해법과 전망>, 《대북 정책과 국제 관계 이론》, 이정복 편, 중앙M&B, 2003.
· 10. 대통령비서실, 《박정희 대통령 연설문집 2》, 1973.
· 11. 대통령비서실, 《박정희 대통령 연설문집 3》, 1973.
· 12. 동북아평화연구회, 《국민의 정부 대북포용정책》, 밀레니엄북스, 1999.
· 13. 동북아평화연구회, 《문답으로 풀어 보 대북포용정책》, 밀레니엄북스, 1999.
· 14. 민일성, <김영삼 “김대중씨를 역사의 반역자로 다스려야”>, 《데일리서프라이즈》, 2006. 4. 20.
· 15. 박성완, <독일 통일비용 `밑빠진 독`>, 《한국경제》, 2004.7.2.
· 16. 박종철, 《미국과 남북한: 갈등과 협력의 삼각관계》, 오름, 2002.
· 17. 박형중 외, 《신동방 정책과 대북포용정책, 브란트와 김대중의 민족통일 대 구상》, 두리 미디어, 2000.
· 18. 사이버 통일교육센터 연구개발팀, 《2006 통일문제 이해》, 통일교육원, 2006.
· 19. 유석렬, <북방외교의 현황과 추진방향>, 《민족공동체와 국가발전》, 1989.
· 20. 유용원, <북 핵선언 군사대책>, 《조선일보》, 2005. 2. 14.
· 21. 윤영관, 《전환기 국제정치와 한국》, 민음사, 1996.
· 22. 이미숙, 《변화는 시작됐다》, 학민사, 1999.
· 23. 이우영 외, 《화해 협력과 평화번영, 그리고 통일》, 한울 아카데미, 2005.
· 24. 이원섭, 《햇볕정책을위한 변론》, 필맥, 2003.
· 25. 이주철, <무력 통일에서 평화적 공존과 협력의 시대로>, 《분단의 두 얼굴》, 김승렬, 신주백 외, 2005.
· 26. 선우종원, <권두언: 햇볕정책과 북한의 무력도발>, 《북한》, 1999.
· 27. 장성민, 《전환기 한반도의 딜레마와 선택 북핵, 한미관계, 그리고 정치개혁》, 2004.
· 28. 전득주?박준영?김성주?김호섭?홍규덕, 《대외정책론》, 박영사, 1998.
· 29. 전득주 외, 《대외정책론》, 개정증보판, 박영사, 2003.
· 30. 정경환, 《국제 관계와 한반도 통일》, 세종출판사, 1998.
· 31. 정진위 김용호, 《북한 남북한 관계 그리고 통일》,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2.
· 32. 조동호, 〈남북경협의 현황과 추진 방향 : 남측 시각〉, 《6?15 남북공동선언 - 4년 회고와 전망》, 연세대학교, 김대중도서관?통일연구원, 2005.
· 33. 조순구, 《국제관계와한국》, 법문사, 2002.
· 34. 조한범, 《통일 환경 및 남북한관계 전망 : 2003~2004》, 통일연구원, 2003.
· 35. 최기춘, <경제통합 유형과 남북한 경제통합의 과제>, 《남북경제통합과 동북아 협력》, 아르케, 2004.
· 36. 최완규, 〈대북 화해?협력 정책의 성찰적 분석〉, 《북핵 문제의 해법과 전망》, 이정복 편, 중앙 M&B, 2003.
· 37. 최진욱 외, 《남북관계의 진전과 국내적 영향》, 통일연구원, 2003.
· 38. 통계청, 남북한 경제사회상 비교』, 1995.
· 39. 통일부, 《2004 통일교육기본지침서》, 2003.
· 40. 통일부, 《참여정부의 평화 번영정책》, 2003.
· 41. 통일부 통일교육원, 《북한이해》, 2004.
· 42. 통일부 통일교육원, 《대북정책 어떻게 추진되고 있나》, 1998.
· 43. 통일원, 《통일백서》, 1997.
· 44. 하용출 외, 《북방정책》,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3.
· 45. 한홍렬, 《한반도와 동북아 - 갈등과 협력의 정치경제》, 한양대학교 출판부, 2003.
· 46. Everstadt, Nicholas, Hastening Reunification, Foreign Affairs, March-April, 1997.
· 47. Hall, John, German Unification: What Koreans Stand to Learn, Asian Perspective, Vol.17, No.2, Fall-Winter 1993.
· 48. Harrison, Selig S. , Promoting a Soft Landing in Korea, Foreign Policy, 한종선 역, 1997.
· 49. Mitrany, David, The Functional Theory of Politics, New York: St. Martin`s Press, 19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