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 자끄 라깡의 이론 (프로이트)
- 최초 등록일
- 2002.11.07
- 최종 저작일
- 2002.11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라깡이론의 무의식에 있어서 문자가 갖는 권위 또는 프로이트
이후의 이성에 대하여 적은 리포트입니다... 많은 도움이 되길 바래여...^^*
목차
서론
1.개요
본론
1. 문자가 갖는 의미
2. 무의식에 있어서 문자의 기능
3. 문자, 존재, 그리고 타자
결론
1.라깡이론의 참의미
본문내용
서론
1.개요
<개요> 프로이트가 무의식을 발견한 이후 과연 '나의 주인은 누구인가'에 대한 끊임없는 물음이 훗날 학자들에 의해 제기되었다. 구조주의자들은 그것을 구조라 불렀고 알튀세르는 이데올로기라 했고, 철저한 프로이트주의자였던 라캉은 그것을 '언어'라 했다.
프로이트 이후의 정신분석학자들은 지나치게 과학적인 환상에 매혹되었고, 상징화된 것들에 매달렸다. 그들은 언어라는 것을 하찮게 여겼다. 이에 라캉은, 과감히 '정신분석학은 과학이라기 보다 수사학에 가깝다'라는 말을 내던지며 '무의식은 언어처럼 구조화되어있다.'라고 이야기한다. 그리고 사이비 프로이트주의자들이 간과한 것은 바로 언어가 무의식을 통제한다는 것이다.
프로이트가 전개했던 '꿈'과 무의식에 관한 주장들, 그리고 성에 관한 주장들, 이것에 라캉은 언어의 구조를 도입한다.(1)그것은 먼저 언어가 '기표'(signify)와 '기의'(signified)로 이루어져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그리고 이 기표가 기의를 나타낼 때 연관되는 관계로 '은유'와 '환유' 두 가지를 제시한다. 즉 어떤 기표가 자신과 다른 기표로 나타내어질 때 그것을 은유, 인접한 대체물로 대체될 때 그것을 환유라 한다.
참고 자료
라깡과 무의식
라깡과 언어
알기 쉬운 자끄 라깡
은유와 환유; 라캉의 이론을 중심으로 (현대비평과 이론 1996,5)
라깡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홍준기, 문학과 사회1996,2)
무의식의 이중구조와 주체화 (이진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