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 론1. 네비게이션 카트의 개발 배경1990년대 초반 대형마트가 우리나라에 본격적으로 도입된 이후 대형마트의 시장은 점차 거대화 되었다. 편리함을 추구하는 시대의 흐름에 발맞추어 현재까지도 대형마트의 고객은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대형마트와 비교선상에 놓여있던 재래시장은 더 이상 그들의 경쟁상대가 아니다. 재래시장에서 살 수 있는 물건은 식료품에 불과하고 식료품의 경우에도 대형마트가 오히려 더 싸고 품질, 종류면에서도 다양해 대형마트를 더 선호한다. 이미 재래시장과 대형마트의 경쟁이 아닌, 마트끼리의 경쟁체제로 돌입한지 오래다.마트는 ‘편리함’과 ‘신속성’ 그리고 ‘상품의 다양성’ 등의 이유로 성공했으나 그것의 불편함이 아주 없는 것은 아니다. 거대화된 규모 덕분에 마트를 방문한 고객들은 자신이 원하는 물건을 단번에 찾기가 힘들어졌고, 이는 고객들의 체력적 소모와 시간낭비로 이어진다. 또한 인터넷의 발달로 대형마트의 역할이 온라인 마트로 옮겨가고 있는 실정이다. 대형마트의 취약점이기도 한 ‘물리적 소모’부분을 온라인을 통해 해결 가능하기 때문이다.네비게이션 카트는 이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개발된 상품이다. 원하는 제품을 신속히 효율적으로 구매할 수 있게 도와주며 더불어 부가적인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고객의 편리함 그 이상의 효과를 누릴 수 있다. 2. 네비게이션 카트의 개념네비게이션 카트란 카트의 정면 상단에 ‘위치정보시스템’이 입력된 네비게이션이 장착된 쇼핑카트를 말한다. 기존의 위치기반서비스에서는 위치 정보를 얻기 위해 대부분 GPS 방식을 이용했다. GPS 방식의 경우 매우 넓은 지역에서 보행자 혹은 운행 차량의 위치 정보를 대략 50m의 오차 범위 내에서 도출하므로 차량용 navigator 용도 등으로 사용될 수 있었다. 그러나 그러한 오차범위로는 마트와 같은 좁은 공간의 긴밀한 위치정보를 충분히 제공할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황기연, 강준모, 이종덕, “거리쇼핑용 보행자 네비게이션의 개발”, 「大韓土木學會論文集」, 제28권 제1D호, 2008. 1.[표 1 - 위치정보시스템 기술의 비교] 황기연, 강준모, 이종덕, “거리쇼핑용 보행자 네비게이션의 개발”, 「大韓土木學會論文集」, 제28권 제1D호, 2008. 1., p.23
· 황기연, 강준모, 이종덕, “거리쇼핑용 보행자 네비게이션의 개발”, 「大韓土木學會論文集」, 제28권 제1D호, 2008. 1.
· 윤명숙, “소매 기관의 소비자 가치에 대한 연구 : 고객 전달 가치와 소비자 쇼핑 가치를 중심으로”, 「소비문화연구」, 제6권 제1호, 2003. 4.
· 김학희, 이기동, “국립중앙박물관 네비게이션시스템 이용자 만족도 연구 : 플로우개념을 중심으로”, 「정보시스템연구」, 제18권 제2호, 한국정보시스템학회, 2009. 6.
· 박수용, 이상환, 이창원, “혼잡성의 선행변수와 점포혼잡성 및 쇼핑감정의 관계”, 「상품학연구」, 제26권 제2호, 2008. 6.
· 박수용, “점포의 혼잡성, 쇼핑감정, 쇼핑가치에 관한 연구”,「유통과학연구」, 제6권 제2호, 2008. 12.
· 임규건, 이재규, “기업간 전자상거래를 위한 구매자쇼핑카트 효율성 분석”, 「韓國SI學會誌」, 제1권 제1호, 2002. 11.
· 임세헌, “RFID 도입 전략에 관한 실증 연구 : 기술적합성과 협업의 역할”, 「物流學會誌」, 제19권 제1호, 2009. 3.
· 이종덕, 황기연, “거리쇼핑용 보행자 네비게이션의 비즈니스 모델 개발”, 「대한교통학회지」, 제26권 제3호, 2008. 6.
· 임종섭, “대형마트의 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시설 및 서비스를 중심으로”, 「流通情報學會誌」, 제10권 제4호, 2007. 12.
· 황남성, “RFID를 활용한 기업의 생산성제고”, 「대한기계학회논문집 A권」, 제32권 제11호, 2008.
· 김연례, 이춘우, 최상기, “RFID 시스템의 도서관 적용에 대한 영향 요인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9권 제4호, 2008.
· 지성구, 이성근, "점포 혼잡성이 점포 내 감정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마케팅과학연구」, 제15집 제3호, 2005. 11.
· 표철식, 채종석, 김창주, “RFID 시스템 기술”, 「韓國電磁波學會誌」, 제15권 제2호, 2004. 04.
· 노병희, 고현봉, 오길영, 전용재, 김현수, 최원준, 이향택, 김선호, 오은별 , “전파식별(RFID) 보급 활성화를 위한 역기능 및 정보보호대책연구”, 한국전산원, 2004. 11.
· 칼 프랭클린, 「세상을 바꾼 혁신 vs 실패한 혁신」, 시그마북스
· 이학식, 「마케팅조사」, 법문사
· http://www.sportseoul.com (스포츠서울 경제live -‘왕따 당하는 재래시장 상품권 소비자도 상인도 불편’2010.3.28)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