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시작하며
일본이라는 국가는 고대에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한국과 매우 긴밀한 역사적 관계를 맺어왔으며 정치․문화․경제적으로 서로 간 중요한 영향을 미쳐 왔다. 하지만 이러한 지리상으로나 역사적으로 매우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두 국가 사이에는, 왜란倭亂을 비롯하여 일제식민시대라는 껄끄러운 역사적 사실을 안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역사적 사실로 말미암아 여전히 논쟁의 도마 위에 오르고 있으며, 독도 영유권문제, 위안부 문제, 친일파 처리 문제 등 수많은 문제를 두 국가는 안은 채 서로에 대해 미묘한 감정적 대립이 내재된 갈등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한국이 갖고 있는 일본에 대한 부정적․배타적 인식뿐만 아니라, 무엇보다도 일본 자체가 안고 있는 역사적 반성의식의 부족, 극단적 국수주의자를 중심으로 일고 있는 일본 내 군국주의 이념의 부활조짐은 더욱 두 국가의 간극을 벌어놓아 갈등이 심화된다. 이러한 일본의 이념 너머에는 일본 특유의 정신문화나 환경에 따른 문화적 배경의 특수성과 그로 인해 발생하는 역사의 흐름, 고유한 삶의 방식이 있다. 특히 일본의 정신문화 중 하나인 와(和)문화나 칼의 문화가 대표적인데, 본고에서는 이 중에서 칼의 문화로서 대표되는 `무사도武士道`를 통해 무사도의 태동과 형성과정을 추적하면서 일본의 역사와 일본인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흔히 일본의 정신을 정의내릴 수 있는 핵심어를 고르라고 한다면, 가장 거론될 수 있는 단어가 `武士道`라 할 수 있다. 이는 일본의 무가 중심 사회적 특징을 고스란히 상징해 줄 뿐만 아니라, 칼로 시작되어 형성된 문화가 오늘날까지 미치는 일본인 특유의 정신세계를 함축하여 표현한 용어라 하겠다. 또한, 이와 같은 武士道의 개념은 비단 일본 내에서만 통용되는 개념이 아니라, 일본 밖의 여러 국가들에서도 용인되고 있으며 이를 가지고 일본이라는 국가의 정체성을 설명하려 하기까지 한다.
· 1. 단행본
· 공의식 외, T일본은 우리에게 무엇인가?U, 책사랑, 2002.
· 구태훈, T일본무사도U, 태학사, 2005.
· 가토 요코,
· 김려실,
· 김석근, T일본을 강하게 만든 문화코드U, 나무와숲, 2000.
· 김성규, T사무라이와 매화U, 세계문예, 2000.
· 김웅진, T일본의 민주주의 나가타초의 사무라이들U, 르네상스, 2007.
· 김현구 외, T동아시아 세계의 일본사상- `일본 중심적 세계관`생성의 시대별 고찰U, 동북아역사재단, 2009.
· 김효순, T일본의 근대화와 일본인의 문화관 -여성 $민족 $계급-U, 도서출판 보고사, 2005.
· 나가오 다케시, 박규태 옮김, T일본사상이야기 40U, 2002.
· 나루사와 아키라, 박경수 옮김, T일본적 사회질서의 기원U, 소화, 2004.
· 넬리 드레이, 안정미 옮김, T영원한 속세(속세에 매료된 태양의 제국)U, 시공사, 2000.
· 니토베 이나조, 양경미 $권만규 옮김, T일본의 무사도U, (주)생각의 나무, 2005.
· 다케다 이즈모, 최관 옮김, T47인의 사무라이U, 고려대학교출판부, 2007.
· 루스 베네딕트, 김윤식 $오인석 옮김, T국화와 칼U, (주)을유문화사, 2008.
· 미야모토 무사시, 양원곤 옮김, T오륜서U, 미래의 창, 2002.
· 박규태, T일본정신의 풍경U, (주)도서출판 한길사, 2009.
· 박승무, T선비와 사무라이U, 도서출판 아침, 2003.
· 방광석, T근대 일본의 국가체제 확립과정U, 혜안, 2006
· 비토 마사히데, 엄석인 옮김, T사상으로 본 일본문화사U, 예문서원, 2003.
· 야마모토 쓰네모토, 이강희 옮김, T사무라이 인간경영U, 도서출판 사과나무, 2004.
· 앤드루 고든, T현대 일본의 역사U, 이산, 2005
· 야스다 히로시安田浩, T세 천황이야기U, 역사비평사, 2009
· 오쿠보 다카키, 송석원 옮김, T일본문화론의 계보U, 도서출판 소화, 2007.
· 오오누키 에미코, 이향철 옮김, T사쿠라가 지다, 젊음도 지다U, 모멘토, 2004.
· 이마이 쥰 $오자와 도미오 편저, 한국일본사상사학회 공역, T논쟁을 통해 본 일본사상U,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2.
· 이시다 이치로, 성해준 $감영희 옮김, T일본사상사의 이해U, 주식회사 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