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GOLD
GOLD 등급의 판매자 자료

송사통속연의 제 38회 변성을 버리고 총애받는 신하인 한강은 죄에 연루되며 항주로 이주한 이름난 관리인 소식은 한가롭게 놀다

25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2.02.29 최종저작일 2012.02
25P 미리보기
송사통속연의 제 38회 변성을 버리고 총애받는 신하인 한강은 죄에 연루되며 항주로 이주한 이름난 관리인 소식은 한가롭게 놀다
  • 미리보기

    소개

    송사통속연의 제 38회 변성을 버리고 총애받는 신하인 한강은 죄에 연루되며 항주로 이주한 이름난 관리인 소식은 한가롭게 놀다
    한문 및 한글번역

    목차

    없음

    본문내용

    軾有弟名轍,與兄同登進士科,亦工詩文,曾任三司條例司檢詳,以忤安石意被黜,事見上文。
    식우제명철 여형동등진사과 역공시문 증임삼사조례사검상 이오안석의피출 사견상문.
    소식의 아우는 소철인데 형과 함께 진사과에 급제하여 또 시문을 잘하여 일찍이 삼사조례사검상에 임명되어 왕안석의 뜻을 거슬려 쫒겨나니 일이 위 문장에 보인다.
    小妹不見史乘 史乘[shǐshèng] :역사책. 사서
    ,秦觀曾任學士,與軾爲友。
    소매불견사승 진관증임학사 여식위우.
    소매는 역사책에 나타나지 않고 진관은 일찍이 학사에 임명되니 소식과 친우가 되었다.
    佛印、琴操 琴操 :거문고에 맞추어 부르는 노래
    ,稗乘中間有記載,小子也無暇詳考了。
    불인 금조 패승중간유기재 소자야무가상고료.
    불인스님과 거문고에 부르는 노래는 야사 중간에 기재되니 여러분들은 자세히 고찰할 겨를이 없을 것이다.
    嘗有一詩詠兩蘇云:
    상유일시영양소운.
    일찍이 한 시로 두 소씨[소식, 소철]을 말했다.
    蜀地挺生 挺(뺄 정; ⼿-총10획; tǐng)生:태어남
    大小蘇,(後人稱軾爲大蘇,轍爲小蘇。) 才名卓絕 卓绝 [zhuójué] : 탁절하다, 탁연하다, 탁월하다
    冠皇都。
    촉지정생대소소 후인칭식위대소 철위소소 재명탁절관황도.
    촉땅에서 크고 작은 소씨가 탄생하니 재주와 명성은 황도에서 탁월하여 으뜸이다.
    昭陵試策曾稱賞,可奈時艱屈相儒。
    소릉시책증칭상 가내시간굴상유
    소릉의 시험 대비책에서 일찍이 칭찬을 받아서 어떤 시기에 재상이 될 유생으로 굽히고
    (仁宗初,讀兩蘇制策,退而喜曰:“朕爲子孫得兩宰相。”)
    인종초 독양소제책 퇴이희왈 짐위자손득양재상.
    인종초기에 두 소씨의 대책을 읽고 물러나 기뻐서 말했다. “짐은 자손을 위하여 두 재상을 얻었노라.”
    蘇軾外調,安石又少一對頭 對頭: 적이나 어떤 세력, 힘 따위와 맞서 겨룸. 또는 그 상대
    ,越好橫行無忌了。
    소식외조 안석우소일대두 월호횡행무기료.
    소식이 외근을 나가 왕안석은 또한 한번 조금 상대가 대두되나 더욱 횡행하여 거리낌이 없었다.
    本回就此結束 结束 [jiéshù] :끝나다, 마치다, 종결하다
    ,下回再行續詳。
    본회취차결속 하회재행속상.
    본회는 이를 끝내나 아래 회는 다시 자세히 이어진다.

    本回以程疏起手 起手[qǐshǒu] :1.처음. 시작. 2.시작하다. 착수하다.
    ,以蘇疏結局 结局 [jiéjú] :결말, 종국
    ,前後呼應,自成章法 章法[zhāngfǎ] :1. (문장에 관한) 조직구조. (서화나 전각의) 구도. 2.(일처리의) 규칙. 절차

    본회이정소기수 이소소결국 전후호응 자성장법.
    본회는 정호의 상소로 시작하여 소식의 상소로 결론나니 전후가 호응하여 스스로 법장을 이룬다.
    中敘宋、夏交涉一段,啟釁 启衅 [qǐxìn] :전쟁을 도발하다, 선동하다, 전단을 열다
    失律,仍自王安石致之。
    중서송 하교섭일단 계흔실률 잉자왕안석치지.
    송나라, 서하의 교섭이 일단락이 되어 틈을 열어 규율을 잃음은 왕안석으로부터 이르게 했다.
    有安石之稱許 称许 [chēngxǔ] :칭찬하다, 찬양하다
    王韶,乃有韓絳之誤用種諤。
    유안석지칭허왕소 내유한강지오용종악.
    왕안석은 왕소를 칭찬하며 한강이 잘못 종악을 씀도 있다.
    韶議雖非不可行,然無故開釁 开衅 [kāixìn] :전단을 열다, 도전하다, 충돌이나 전쟁이 발생하다
    ,曲在宋廷。
    소의수비불가행 연무고개흔 곡재송정.
    왕소의 논의가 비록 시행하지 않을 수 없으나 이유 없이 전쟁의 틈을 열음은 잘못이 송나라 조정에 있다.
    絳、諤坐罪,而安石逍遙法外,反得獨攬 独揽 [dúlǎn] :독점하다, 독차지하다, 혼자 틀어쥐다
    政權,神宗豈真愚且蠢者?
    강 악좌죄 이안석소요법외 반득독람정권 신종기진우차준자?
    한강과 종악이 죄에 연좌되나 왕안석은 법밖에서 한가롭게 놀며 반대로 정권을 홀로 독차지 하니 신종은 어찌 진실로 우매한 바보가 아니겠는가?
    殆以好大喜功,墮安石揣摩 揣摩 [chuǎimó]:반복하여 세심하게 따져보다, 헤아리다, 사색하고 탐구하다
    之術耳。
    태이호대희공 타안석췌마지술이.
    거의 큰 공로를 좋아할 듯하나 왕안석의 기술에 빠졌을 뿐이다.
    程顥爲道學大家,以言不見用而求去;
    정호위도학대가 이언불견용이구거.
    정호는 도학의 대가가 되어 말로 등용되지 않아서 벼슬을 떠나길 구했다.
    蘇軾爲文學大家,以言反遭忌而外調,特錄兩疏,與上回之韓疏相映 相映[xiāngyìng] :서로 어울리다. 서로 대비를 이루다.
    ,蓋重其人乃重其文;
    소식위문학대가 이언반조기이외조 특록양소 여상회지한소상앙 개중기인내중기문.
    소식은 문학의 대가로 말로 반대로 시기를 만나 외근을 나가니 특별이 두 상소를 기록하여 상회의 한기의 상소와 서로 비추어보아 대비를 이루어 그 사람을 중시하면 그 문장을 중시해야 한다.
    筆下固自有斟酌也。
    필하고자유짐작야.
    붓아래에 진실로 스스로 짐작함이 있을 것이다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항상 기대 이상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학업에도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여러분께도 추천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