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LD
GOLD 등급의 판매자 자료

제 34회 복왕의 논의로 조정에 송사가 가득차며 영왕의 장남에게 대통을 잇게 전하다.

송사통속연의 제 34회 복왕의 논의로 조정에 송사가 가득차며 영왕의 장남에게 대통을 잇게 전하다
22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2.02.20 최종저작일 2012.02
22P 미리보기
제 34회 복왕의 논의로 조정에 송사가 가득차며 영왕의 장남에게 대통을 잇게 전하다.
  • 미리보기

    소개

    송사통속연의 제 34회 복왕의 논의로 조정에 송사가 가득차며 영왕의 장남에게 대통을 잇게 전하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고양수는 본래 문을 닫고 치죄를 청하며 무고와 허위를 가리며 힘주어 지위를 물러남을 구하니 관문전학사로 내쳐서 박주지사로 나갔다.
    神宗具有大志,因見廷臣乏才,特出自真知 真知 [zhēnzhī] :참된 지식, 침된 지식
    ,去請一位大名鼎鼎 鼎鼎 [dǐngdǐng] :성대하다
    的人物來,有分教:
    신종구유대지 인견정신폄재 특출자진지 거청일위대명정정적인물래 유분교.
    신종이 큰 뜻을 갖추고 있어서 조정신하가 재주가 결핍됨을 보고 특별히 스스로 진짜 알아서 한명의 큰 이름의 성대한 인물을 청하러 가게 하며 가르침을 하였다.
    曲士 曲士 [qūshì] :소인, 보잘것없는 사람, 시골에 은거하고 있는 선비
    從茲張異說,中朝自此紊皇綱。
    곡사종자장이설 중조자차문황강.
    이로부터 기이한 학설을 펼치니 조정이 이로부터 황실의 기강이 문란해졌다.
    畢竟所召何人,待小子下回報名 报名 [bào//míng] :신청하다, 지원하다, 이름을 올리다

    필경소소하인 대소자하회보명.
    필경 어떤 사람을 부를찌 독자들은 아래 회에 보고된 명칭을 기다려보자.

    宋臣專喜迂論 迂论 [yūlùn] :실정에 부합되지 않는 논리, 진부한 논리
    ,與晉代之清談,幾乎相同,其不即亂亡者,賴有一二大臣爲之主持 主持 [zhǔchí] :주관하다, 주재하다, 주장하다
    耳。
    송신전희우론 여진대지청담 기호상동 기부즉난망자 뢰유일이대신위지주지이.
    송나라 신하는 오로지 진부한 논리를 좋아하여 진나라 시대의 청담과 거의 비슷하니 곧 어지럽고 망하지 않아도 한 두 대신에 의지하여 주지되었을 뿐이다.
    英宗雖入嗣仁宗,纘承 纘(이을 찬; ⽷-총25획; zuǎn)承:이어받음. 계승(繼承).
    大統,而其本生父則固濮王也。
    영종수입사인종 찬승대통 이기본생부즉고복왕야.
    영종이 비록 인종 뒤를 이어 들어와도 대통을 이어받으니 본래 생부는 진실로 복왕이다.
    以本生父稱皇伯,毋乃不倫 不倫:사람으로서 지켜야 할 도리에서 벗어남, 윤리에서 벗어난 상태에 있다

    이본생부칭황백 무이불륜
    본래 생부를 황백이라고 호칭함은 윤리적이다.
    歐陽修援引禮經,謂應稱親降服,議固甚當,韓琦即據以定議,於稱親之議,則請行之,於稱皇稱后之議,則請辭之,最得公私兩全之道。
    구양수원인예경 위응칭친강복 의고심당 한기즉거이정의 어칭친지의 즉청행지 어칭황칭후지의 즉청사지 최득공사양전지도.
    구양수가 예경을 가지고 어버이를 호칭하여 내려줌에 논의는 진실로 매우 타당하나 한기는 논의를 결정하고 어버이를 칭하는 의식을 청해 시행하게 하니 황제를 칭하고 황후를 칭하는 의논은 사양하길 청하니 가장 공과 사가 양쪽이 완전한 도를 얻었다.
    呂誨等乃激成 激成:①몹시 세차게 생기어 일어남 ②몹시 세차게 생기어 일어나게 함
    意氣 意氣 :①득의(得意)한 마음 ②장한 마음. 기상(氣像)
    ,至欲以去就生死相爭,一何可笑 可笑 [kěxiào] : 우습다, 우스꽝스럽다, 가소롭다

    여회등내격성의기 지욕이거취생사상쟁 일하가소?
    여회등이 기상을 격동시켜 이루어 거취와 생사를 서로 다투게 하니 웃을만하지 않은가?
    迨英宗疾亟,未聞廷臣有建儲之請,賴韓琦入問起居 起居 [qǐjū] :일상생활
    ,片言定策。
    이영종질극 미문정신유건저지청 뢰한기입문기거 편언정책.
    영종이 질병이 빨라서 아직 조정신하가 황태자를 세우자는 청이 들리기 전에 한기가 문안을 들어가 생활을 물어 작은 말로 정책을 결정했다.
    夫濮議,末跡也,而必爭之,立儲,大本也,而顧忽之,宋臣之舍本逐末 舍本逐末 [shě běn zhú mò] :근본을 버리고 지엽적인 것을 추구하다, 본말을 전도하다, 경중을 뒤바꾸다
    ,如是, 如是。
    부복의 말적야 이필쟁지 입저 대본야 이고홀지 송신지사본축말 여시여시.
    영종의 친부인 복왕의 호칭 논의는 지말의 행적이어도 반드시 논쟁하며 황태자를 세움은 큰 근본인데 돌아봄에 소홀하니 송나라 신하가 근본을 버리고 끝을 추종함이 이와 같구나.
    微韓魏公諸人,宋室恐早不綱矣。
    미한위공저인 송실공조불강의.
    한기공등 여러 사람이 아니면 송나라 황실은 일찍 기강이 없음을 염려했다.
    蓋輿論 輿論:세론, 사회 대중이 공통으로 제시하는 의견
    與清談,其足致亂亡一也。
    개여론여청담 기족치란망일야.
    여론과 청담사상은 족히 혼란하고 망하게 하는 한가지이다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는 매번 기대 이상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다양한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고 있어 학습할 때 지루함을 느끼지 않습니다. 학업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팁들이 많아, 학습한 내용을 실제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이용할 생각입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09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