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Viotti and Kauppi,『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Realism, Pluralism, Globalism-2nd ed』. 일신사, 2000.
· 조지프 나이(Joseph S. Nye), 『국제분쟁의 이해』, 도서출판 한울, 2000
· 윤해수, 『북한곡예외교론』, 도서출판 한울, 2000.
· 도변소부,『국제정치이론』, 도서출판 한울, 1997.
· 박경서, 『국제정치경제론』, 법문사, 2004.
· 최종기, 『현대국제관계론』, 박영사. 1986.
· 한면화, 『한미관계의 정치 경제』, 평민사, 1986.
· 로버트길핀 저, 강문구 역, 『국제관계의 정치경제학』, 인간사랑, 1991.
· 남궁 영, 『북한의 경제특구 전략 : 신의주 경제특구 전략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타, 2003.
· 양문수, 『개성공단 건설과 남북경협의 과제』, 개성공단 및 남북물류 활성화 방안 학술세미나 주제발표, 2005.
· 정우곤, 『김정일 정권의 국가발전전략 : ‘강성대국’을 중심으로』, 『한국과 국제정치』제20권 4호, 2004.
· 주석배·심의섭, 『개성공단사업의 전개와 과제』, 『사회과학논문』제25권, 2006.
· 김연수, 『개성공단건설이 남북한 군사적 긴장완화에 미치는 영향』, 『북한연구학회보』제 10권 제 2호, 2006.
· 홍순직, 『개성공단개발의 경제적효과의 성공과제』, 『VIP Report』, 현대경제연구원, 2004.
· 양문수, 『개성공단사업과 북한의 변화』, 『남북교류협력과 북한의 변화』, 북한연구학회 춘계학술회의, 2005.
· 황일도, 『개성공단개발로 휴전선 사실상 북상.』, 『신동아』, 2004년 1월호.
· 김용규, 『개성공단과 남북 경제협력 관계』, 2004.
· 조명철, 『북한 경제특구 정책의 교훈과 정책과제-나진·선봉 및 신의주 경제특구 정책을 중심으로』,『오늘의 세계경제』,2007, 제07-42호.
· 이상만, 『세계체제, 중국의 동북아전략, 그리고 신의주특구 개방정책의 한계』, 북한연구학회, 2003
· 『98 나진·선봉경제무역지대 투자상담회 북한측 기조연설문』, 『북한뉴스레터』, 1999년 1월호.
· 한국은행,『개성공단 조성의 경제적 효과』, 2004.
· 현대 경제 연구소, “남북 관계 현안에 관한 국민 여론”.
· 한국 은행, 『2008년 북한 경제성장률 추정 보고서』, 2009.
· 『통일백서 2009』(서울:통일부 2009)
· 『통일백서 2005』(서울:통일부 2005)
· 민족 21, 기고 『개성공단의 오해와 진실』.
· 위키피디아 백과사전, ‘햇볕정책’ 검색 결과, 10월 20일.
· 브리태니커 온라인, ‘나진-선봉 경제특구’ 검색 결과, 11월 17일.
· 『조선일보』, 2009년 6월 16일, 2009년 10월 7일
· 『연합 뉴스』, 2006년 12월 01일, 2009년 3월14일, 8월23일, 9월11일,
· 『중앙일보』, 2009년 05월 18일.
· 『한겨레』,2006년 10월 20일, 2007년 3월 22일 2008년 11월24일, 2009년 6월 20일
· 『이데일리』, 2009년 12월 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