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공 말뚝기초
- 최초 등록일
- 2002.10.29
- 최종 저작일
- 2002.10
- 2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1. 말뚝기초
1-1 말뚝의 지지력과 지지기구
1-2 말뚝기초의 분류
(1) 지지력 전달기구와 사용법에 의한 분류
(2) 말뚝 재료와 제작형상에 의한 분류
(3) 타입방법에 의한 말뚝
1-3 말뚝기초의 시공
(1) 말뚝박기 기계
(2) 말뚝박기 순서 및 주의사항
1-4 현장말뚝
(1) 관입공법
(2) 대구경 굴착기에 의한 공법
(3) 기타 공법
*참고문헌
본문내용
말뚝 기초는 기초공 밑의 지반이 상부 구조물을 충분히 지지할 수 없으므로 직접기초로 시공하기 곤란한 경우에 사용되는 기초공법이다. 이 공법은 피어나 케이슨 기초에 비하여 공사비가 적게 들고 시공도 쉬우며 공사기간을 단축하는 이점이 있으나, 기초지반의 토질 상태가 복잡하고 균일하지 못하므로 말뚝 기초의 설계 및 시공상에 불명확한 점이 많으므로 현장 토질조건을 고려하여 안정하고 경제적인 시공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즉, 말뚝 기초를 설계할 때는 충분한 현장조사를 실시해서 흙과 말뚝 사이의 역학적 관계를 구하고 하중의 전달 및 분포 상태 등을 검토해서 말뚝의 종류와 시공방법을 결정해야 한다.
♣ 말뚝 기초에서 필요로 하는 조건
⑴ 말뚝은 설계하중을 받았을 때 적성재료의 허용 응력을 초과해서는 안된다.
⑵ 말뚝은 그의 축부에 손상됨이 없이 소정의 깊이 또는 정해진 관입량에 도달될 때까지 박혀져야 한다.
⑶ 말뚝 기초는 하중을 충분한 안전율로서 지지할 수 있는 아래쪽의 토층으로 전달되어야 하며, 과도한 침하를 일으켜서는 안된다,
⑷ 말뚝을 박음으로써 일어나는 말뚝 위치의 편의에 대해서 설계하중과 말뚝의 치수에는 여유를 둘 필요가 없다.
⑸ 하중 또는 그 합력의 작용선은 말뚝의 축과 일치하여야 한다.
하중이 편심으로 작용하는 경우에는 이에 따라 일어나는 하중증가는 설계에 고려해야 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