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경제사상 총개요-전통적 사상부터 근시대의 사상 총정리
- 최초 등록일
- 2011.12.16
- 최종 저작일
- 2011.11
- 1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한국의 경제사상의 개요를 전통적 경제사상에서 부터 현재에 이르는 한국식 경제사상의 개요를 총정리함.
목차
목차
경제사상
전통시대의 경제사상
전환기의 경제사상
개화기의 경제사상
본문내용
재화와 용역의 생산·소비·분배 등의 과정을 통해 생활의 질을 향상시키려는 체계적인 생각의 흐름. 한국경제사연구의 여러 문제 중에서 특히 경제사상사에 관한 연구는 아직도 많은 과제를 남겨놓고 있다.
사상은 역사적 사실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볼 때, 한국경제사의 시대구분 문제나 구조적인 사회변동을 이해하는 데 경제사상사의 연구는 매우 필요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의 필요 및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학계에서의 연구성과는 아직 만족할 형편이라고 할 수 없다. 앞으로 보다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하며, 여기서는 개괄적인 경제사상을 살펴보려 한다.
전통시대의 경제사상
(1) 전통사회의 경제질서론
조선의 창건은 바로 불교적 통치이념에 대한 주자학적 통치이념의 승리였다. 고려 말기 이후 개혁파에 의해 추진되었던 주자학적 노선의 정치적 승리는 주자학의 보급을 가속화하였고, 그것은 경제사상에도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주자학의 보급과 병행하여 삼강오륜사상은 가치의 기준으로 확고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는데, 삼강오륜은 가부장적 대가족제도와 봉건적 질서를 유지하는 수단으로 강제되었기 때문에, 이윤의 추구는 이와 같은 대의명분에 위배되는 것이었다.
따라서 경제행위 그 자체에 대해서는 부정하지 않았지만, 이윤추구를 백안시하는 경향이 있었고, 특히 양반이 이윤을 추구하는 것은 용납되지 않았다.
따라서 농업은 중요시되었지만 공업과 상업은 말업시(末業視)되어, 상인과 수공업자는 남을 속임으로써 이윤을 취하고 가격을 조작하여 시중의 물가를 등귀시키는 무리로 인식되었다. 따라서 전통시대의 경제사상은 중농사상(重農思想)에 치우쳐 있었다고 볼 수 있다.
1388년 위화도회군 이후 이성계(李成桂)는 전제개혁(田制改革)을 단행하였는데, 그 내용은 양전사업(量田事業)과 과전법(科田法)의 시행이었다. 이러한 개혁의 골자는 사전(私田)을 몰수하고 토지를 재분배함으로써 고려 말 귀족의 물질적 기반을 무너뜨리고 새로운 정권의 집권체제를 확립하자는 데 있었다.
참고 자료
「近代朝鮮政鑑」-上(朴齊炯)
「農圃問答」(鄭尙驥)
「독립신문」
「東湖問答」
「磻溪隨錄」(柳馨遠)
「北學議」(朴齊家)
「西遊見聞」(兪吉濬)
「聖學輯要」(李珥)
「星湖僿說」(李瀷)
「世宗實錄」
「迂書」(柳壽垣)
「丁茶山全書」-1∼11(丁若鏞)
「靜菴集」-卷2(趙光祖)
「朝鮮經國典」(鄭道傳)
「朝鮮後期農業史硏究」(金容燮, 一潮閣, 1970)
「芝峰類說」(李睟光)
「太祖實錄」
「太宗實錄」
「韓國開港期의 商業硏究」(韓劤, 一潮閣, 1970)
「韓國經濟史」(崔虎鎭, 博英社, 1981)
「韓國經濟史」(趙璣濬, 日新社, 1982)
「韓國經濟思想史」(金柄夏, 一潮閣, 1981)
「韓國稅政史」(張炳淳, 普成社, 1973)
「韓國資本主義成立史論」(趙璣濬, 大旺社, 1977)
「韓國貨幣金融史硏究」(李碩崙, 博英社, 1971)
「漢城旬報」
「漢城週報」
「海鶴遺書」(李沂)
「花潭集」-卷2(徐敬德)
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