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칭찬의 개념과 패러다임(paradigm)
일반적으로 칭찬은 보상의 한 종류로 이해되어 왔다. 예컨대, Emmer(1987)는 칭찬에 대하여 교실상황에서 발생하는 일반적인 피드백과는 다르게 사용되어지며, 결과물에 대한 승인을 표현하는 방법이라고 정의하였다. 또한 Holmes(1988)는 칭찬에 대하여 “청자(廳者)를 기분 좋게 할 것을 목적으로, 좋다고 인정되는 여러 가지 사상(事狀)에 대해 명시적거나 암시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주는 행위”로 이를 규정하였다. 국내에서는 김형민(2003)이 청자가 속한 공동체의 구성원들에게 힘과 용기를 불어 넣어 주기 위해 청자나 제3자와 관련된 행위, 대상, 성취, 물건, 취향이나 질에 대해 높게 평가하고 인정함으로써 행해지는 행동으로 정의하였다. 칭찬을 특히 동기를 유발하는 한 방법으로 인식한 김선혜(2007)는 학습자들의 동기를 유발시키고 행동을 강화시켜 줄 수 있는 보상의 체계로 간주하였다. 예컨대 칭찬은 궁극적으로 아동의 긍정적 자아와 자기 존중감 형성을 유도하여, 사회성과 학습 태도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성미옥,2003). 칭찬에 대한 기존 연구자들은 공통적으로 언어적 보상의 범주로 이해하고 있으며 대부분 정적강화(positive reinforcement)의 형태로 학습자들의 동기, 자기 존중감(self-esteem)의 증대를 향상시켜주는 것으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칭찬의 개념에 대하여 고동우․ 문상정․ 이형래(2008)는 칭찬의 이론적 근거를 심리적인 패러다임에서 찾고자 하였으며, 인본주의(humanism), 행동주의(behaviorism), 내재적 동기 이론(intrinsic motivation), 사회인지주의(social cognition approach) 등으로 설명하고자 하였다.
· 1. 논문
· 고동우 외, 「칭찬의 의미: 호텔종사원을 대상으로 한 질적 연구」, 관광학연구 제32권 제2호, 2008, pp. 83-108.
· 김광림, 「칭찬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대학생활적응,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 김미자, 「일반계고등학생과 체육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 만족도 비교 연구」,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pp. 98-122.
· 김선혜, 「교사의 칭찬언어와 격려언어의 차이」, 초등교육연구 제20집 제3호, 2007, pp. 377-399.
· 김은정, 「대학생들의 학업적 적응과 심리적 적응」, 연세상담연구 제8호, 1992, pp. 85-114.
· 김현철, 「학습 우수아동과 부진아동의 자아개념 분석」,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 김형민, 「한국 대학생의 칭찬 화행 수행 및 응대 상황에 대한 연구」, 한국어 의미학 12권, 2003, pp. 255-290.
· 문상정, 「관광기업 종사원이 지각하는 칭찬의 효과 - 칭찬 측정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관광경영학 석사학위 논문, 2008.
· 성미온,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한 칭찬프로그램 개발과 그 효과에 관한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03.
· 신지영, 「부모와의 갈등적 독립 및 가족응집력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 조병훈, 「효과적인 보상과 벌에 대한 초등학교 아동과 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94.
· 조수진, 「대학생의 부모에 대한 애착정도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 조화진, 「부모와의 애착 및 분리 - 개별화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 최바올, 「대학생의 적응유연성신념이 대학생활의 적응과 스트레스 조절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 최보가 외, 「자아존중감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1」, 대한가정학회지 제6호, 1993, pp. 41-54.
· 2. 단행본
· 김상겸, 『교육심리학』, 탑(TOP), 2009.
· 한민석, 『일반교육학 2』, LEC에듀넷, 2010.
· 김신일, 『교육사회학』, 교육과학사, 2009.
· 황희숙 외, 『인간 본성의 이해』, 웅진미디어, 1998.
· 【해외문헌】
· 1. 논문
· Armsden, Greenberg, “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Individual differences and their relationship to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olescenc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Vol. 16, 1987, pp. 427-453.
· Brownfain, “Stability of the self-concept as a dimension of personality”,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Vol. 47, 1952, pp. 596-606.
· Combs, “The Personal approach to good teaching”, Education Leadership, Vol. 21, 1964, pp. 369-377.
· Grandey, “Emotion regulation in the workplace: a new way to conceptualize emotional labor”,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Vol. 5, 2000, pp. 95-110.
· Morris, Feldman, “The dimension,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 21-4, 1996, pp. 986-1010.
· 2. 단행본
· Brenden, The psychology of self-esteem, Banam Books. Inc., 1969.
· Coopersmith,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W. H. Freeman, 1967.
· Curwin, Mendler, The discipline book.Virginia, Prentice Hall, 1980.
· Rosenberg, Society and the
· 출 처 : 정경래(1998), 자기초점화주의 성향과 우울감의 관계에 대한 연구. 연세대 대학원 석사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