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non-ai
판매자가 AI를 사용하지 않은 독창적인 자료

영월군 문화유적 조사보고서

강원도 영월군 소재의 문화유적에 대한 조사보고서 입니다.
50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1.11.20 최종저작일 2009.10
50P 미리보기
영월군 문화유적 조사보고서
  • 미리보기

    소개

    강원도 영월군 소재의 문화유적에 대한 조사보고서 입니다.

    목차

    Ⅰ. 영월군 개관
    1. 영월의 수리적 위치
    2. 영월의 역사

    Ⅱ. 영월군의 문화재 현황
    1. 문화재 지정 목록 현황
    2. 지정 문화재 목록

    Ⅲ. 영월군의 문화유적
    1. 관방 유적
    1) 영월 정양산성(寧越正陽山城)
    2. 불교 유적 및 유물
    1) 흥녕선원지(興寧禪院址)
    2) 영월흥녕사징효대사탑비(寧越興寧寺澄曉大師塔碑)
    3) 영월징효국사부도(寧越澄曉國師浮屠)
    4) 영월법흥사부도(寧越法興寺浮屠)
    5) 영월법흥사석분(寧越法興寺石墳)
    6) 보덕사(報德寺)
    ① 보덕사극락보전(報德寺極樂寶殿)
    ② 금몽암(禁夢庵)
    ③ 영월보덕사해우소(寧越報德寺解憂所)
    7) 영월무릉리마애여래좌상(寧越武陵里磨崖如來坐像)
    8) 영월서곡정사석조약사여래입상(寧越瑞谷精舍石造藥師如來立像)
    9) 영월창령사지(寧越蒼嶺寺址)
    10) 주천삼층석탑(酒泉三層石塔)
    3. 무 덤
    1) 장릉(莊陵)
    4. 유교 유적
    1) 민충사(愍忠祠)
    2) 창절사(彰節祠)
    3) 영모전(永慕殿)
    4) 영월향교(寧越鄕校)
    5. 고건축 유적
    1) 영월우구정가옥(寧越禹九鼎家屋)
    2) 영월김종길가옥(寧越金鍾吉家屋)
    3) 영월고진하가옥(寧越高鎭河家屋)
    4) 자규루및관풍헌(子規樓및觀風軒)
    5) 금강정(錦江亭)
    6) 요선정(邀仙亭)
    6. 기 타
    1) 영월청령포(寧越 淸泠浦)

    Ⅳ. 맺음말

    Ⅴ. 참고문헌 및 자료

    본문내용

    2) 영월의 역사

    삼한 시대에는 진한의 일부분이었고, 고이왕(234~286년)때 백제에 속하게 된 영월은 백월(百越)이라고 하였는데, 가구 수가 100호가 넘는다는 뜻이었다 한다. 그 후 고구려 미천왕(300~331년)때 고구려 남하로 그 속령이 되었으며 초기에는 내생현(奈生縣)이라 했다.
    신라가 세력을 확장하면서 이 고장도 신라에 속하게 되었는데 초기에는 신주(新州)에 속하게 되었고, 757년 경덕왕 16년, 정유 12월에 통일 후 지방 행정구역을 정비할 때 9주(州) 5소경(小京)으로 구획(區劃)하면서 내생군을 내성군(柰城郡)으로 고쳐 명주(溟州-지금의 강릉)에 소속시켰으며 지금의 평창, 주천, 영춘을 내성군에 소속시켰다.
    고려 시대에는 성종(成宗) 14년(995년) 1월 내성현의 일부이던 백오현을 평창현으로, 자춘현을 영춘현으로 고쳐 주천현과 함께 원주군에 소속되었다.
    이 고장이 지금의 지명인 영월로 된 것은 1167년 의종 21년이며, 1372년 공민왕 21년 5월 이 고을 출신 연달마실리(延撻磨失里)가 환관(宦官)으로 명나라에 있으면서 큰 공을 세웠다 하여 영월현을 군으로 승격시켰다. 그리고 1399년 영월군을 강원도에 이속시켰다
    1698년 조선 숙종 24년에는 영월에 유배되어 숨진 노산군을 단종으로 복위하고, 그 능묘가 있는 영월군을 도호부로 승격하고 부사를 배치했다. 그 후 고종 32년(1895년) 도호부를 없앨 때 다시 군이 되었으며 원주, 평창, 정선과 함께 충주부에 편입되었다가 1896년 다시 강원도로 복귀 되었다.
    그 후 1905년 주천면과 수주면이 다시 편입되었고, 1960. 1. 1 영월면이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1963. 1. 1 경북 봉화군 춘양면 천평리(川坪里)와 덕구리(德邱里)가 영월군에 편입된 반면, 수주면 강림리, 부곡리, 월현리가 횡성군으로 이속되었다.
    1973년 정선군 신동면 천포리 일부가 영월군에 편입되었으며, 상동면이 읍으로 승격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참고자료

    · [ 홈페이지 참고 ]
    · 영월군청 홈페이지: www.ywtour.com
    · 문화재청 홈페이지 : www.cha.go.kr
    · [ 단행본, 연속간행물 ]
    · 이행, 『신증 동국여지승람』, 명문당, 2000.
    · 차용걸,최진연, 『한국의 성곽』, 눈빛, 2000.
    · 진용선, 『강원도 산성기행』, 집문당, 1996.
    · 박명자, 『청산에 묻힌 보궁을 찾아』, 중명, 1999.
    · 윤제학, 『자연과 사람 사이 절』, 우리출판사, 2007.
    · 임윤수, 『걸망에 담아온 산사이야기』, 가야넷, 2004.
    · 진성규 ․ 이인철, 『신라의 불교사원』, 2003.
    · 한림대학교박물관, 『영월군의 역사와 문화유적』, 1995.
    · 忠北大學校 中原文化硏究所, 2000, 『寧越 王儉城』, 中原文化硏究叢書 第17冊
    · 江原考古文化硏究院, 2010, 『사적 제446호 영월 정양산성 내성 건물지 내 유적 발굴조사 지도위원회의 자료』, 지도위원회의 자료 2010-11책
    · 강원도 영월군,『영월군지(寧越郡誌)』, 2002
    · 국립춘천박물관, 『강원도 역사와 문화Ⅰ: 충절의 고장 영월』, 2005.
    · 文化財廳 [編],『文化財修理報告書, 1999, 上, 下 :국가지정문화재』, 2002
    · [춘천] : 강원도, 江原道史編纂委員會, 『江原道史, 歷史編』, 1995
    · 春川 : 江原道,『江原道史編纂委員會,『江原道史, 傳統文化編』, 1995
    · [춘천] : 江原道,『文化財修理報告書 :도지정문화재, 2002』, 2005
    · [춘천]: 江原道,『文化財修理報告書 :도지정문화재, 2003』, 2006
    · [춘천] : 강원도,『文化財水理報告書 :도지정문화재, 2004』, 2007
    · [춘천] : 강원도,『文化財修理報告書 :도지정문화재, 2005』, 2008
    · [춘천]: 江原道, 강원향토문화연구회,『江原文化財大觀 :국가지정편』, 2006
    · [춘천]: 江原道, 강원향토문화연구회,『江原文化財大觀 :도지정편,1』, 2006
    · [춘천]: 江原道, 강원향토문화연구회,『江原文化財大觀 :도지정편,2』, 2006
    · [영월] : 寧越郡, 『寧越 正陽山城 綜合整備 및 資源化 方案 計劃』, 2007
    · [춘천] : 강원도, 『江原道指定文化財 : 實測調査報告書 : 용소막 성당, 보덕사 극락보전』, 2000
    · [춘천]: 江原道,『江原道指定文化財 :實測調査報告書』, 2007
    · [ 문화재 사진 출처 ]
    · 문화재청 - www.cha.go.kr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이 자료 덕분에 ,복잡했던 과제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실질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완벽한 자료였습니다. 매우 추천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