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서론
관광산업은 지구촌 최대의 산업으로 많은 고용과 소득을 창출하는 미래형 산업이며 지식정보산업, 환경산업과 함께 2세기의 대표적 성장산업으로 인정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우리나라도 경제적 풍요에 따른 소득 수준의 증가, 주5일 근무제 도입에 따른 여가 시간의 증대, 정보화 사회에 따른 일터와 생활공간의 변화가 일어나고, 삶의 질에 대한 인간들의 욕구증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사회 속에서 즐기고자 하는 인간의 욕구가 증가하고 있어 다양하고 독특한 관광테마를 추구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또한 관광 대상 공간도 확대되어 농촌을 배경으로 하는 그린 투어리즘(Green Tourism), 어촌을 배경으로 하는 블루 투어리즘(Blue Tourism)의 활성화도 예견된다.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서 농어촌 관광 개발의 필요성은 그 어느 때보다도 절감되며 특히 우리나라의 지리적 특성상 해안자원을 활용한 해안관광개발은 필연적이라 본다.a)
‘해안자원’은 넓은 바다를 포함하는 자원을 말하는 것이므로, 공간이나 대상이 해안 및 해안자원과 관련되어 관광지로 이동해 관람, 운동, 휴양 등의 활동을 통해 감동을 얻는 과정을 말한다. 그렇기에 해안관광은 감동적 요소를 바탕으로 해야 하고, 관광대상이 되는 해안과 활동에 관련되는 모든 범주가 포함되어야 한다.
해안관광자원은 크게 두 가지로 대별된다. 해안경관을 보고 감상하는 것과 해안이나 바다를 활용한 관광활동으로 구분 지을 수 있다. 해안경관감상이란 자연경관 감상과 어촌. 어항. 등대 등 인공물 또는 무형문화재 등의 인문자원의 감상을 말하며, 해안 및 해양을 이용한 관광활동은 해수욕, 낚시, 요트, 스킨 스쿠버 등 그 활동이 매우 다양하다.b)
· 전 한국관광연구원장 김철웅,“해양레저?문화공간의창조,” 「다양한 해양관광 개발방법모색」 p. .
· 신우성, 「 관광자원의 이해」, (서울: 기문사, 200), pp. 53~54.
· 지삼업, 「 해양스포츠 자원론」, (서울: 대경북스, 2006), pp.04~08
· 이상춘 외, 200 전게서 p0.
· 지삼업, 해안스포츠의 이해 p. 9.
· 지삼업, 해양스포츠 종목별 특성, p.30
· 네이버 백과사전, http://00.naver.com/00.nhn?docid=8092(pril , 200)
· 지삼업, 해양스포츠 종목별 특성, p.23
· 스포츠레저 개발연구소, http://cafe.naver.com/spotop.cafe?iframe_url=/rticleRead.nhn%3Farticleid=5477&(pril , 200)
· 지삼업, 해양스포츠 종목별 특성, p.4
· 지삼업, 해양스포츠 종목별 특성, p.4
· 네이버 백과사전,http://00.naver.com/00.nhn?docid=740895(pril 2, 200)
· 네이버 백과사전,http://00.naver.com/00.nhn?docid=49822(pril 2, 200)
· 네이버 백과사전,http://00.naver.com/00.nhn?docid=503542(pril 2, 200)
· 지삼업, 해양스포츠 종목별 특성, p.237
· 지삼업, 해양스포츠 종목별 특성, p.238
· 네이버 카페, http://blog.naver.com/j7c7j77?Redirect=Log&logNo=30099036587(pril , 200)
· 부산관역시 서구 송도해수욕장,http://songdo.bsseogu.go.kr/content/?hnum=Ivdk4C3Dws0&s_code=mBMKB2PKKpI2&w_code=3hVj2hYSpn2&subcnt=(pril , 200)
· 부산 체육시설 관리사업소,http://stadium.busan.go.kr/02sportinfo/0_03.jsp(pril 2, 200)
· 블루웨이브 설립일시,http://www.blue-wave.co.kr(pril 2, 200)
· 블루웨이브 장비현황 및 이용현황,http://www.blue-wave.co.kr/(pril 2, 200)
· 부산 바다축체, http://www.seafestival.co.kr/KOR/Sea/0.asp(pril 2, 200)
· 지삼업, 해양스포츠 종목별 특성, p.238
· 스포츠 또는 레크리에이션(recreation)용 요트, 모터보트 등의 선박을 위한 항구. 항로, 정박지, 방파제, 계류시설, 선양 (船揚)시설, 육상 보관시설 등의 편리를 제공하는 시설뿐 아니라 이용자에게 편리를 제공하기 위한 클럽하우스, 주차장, 호텔, 쇼핑센터, 위락 시설과 녹지공간 등을 포함한 넓은 의미의 항만을 가리킴. (출저 : 네이버 용어사전)
· 지삼업, 「해양스포츠 대중화를 위한 수정된 환경요인 분석」, 한국스포츠리서치 제 6권 제 6호 (통권 93호) p. 4.
· 지삼업, 해양스포츠의 이해, pp.99~02
· 포츠 또는 레크리에이션(recreation)용 요트, 모터보트 등의 선박을 위한 항구. 항로, 정박지, 방파제, 계류시설, 선양 (船揚)시설, 육상 보관시설 등의 편리를 제공하는 시설뿐 아니라 이용자에게 편리를 제공하기 위한 클럽하우스, 주차장, 호텔, 쇼핑센터, 위락 시설과 녹지공간 등을 포함한 넓은 의미의 항만을 가리킴. (출저 : 네이버 용어사전)
· 지삼업, 국내?외 해양스포츠 명소의 실태, pp.97~204.
· 지삼업, 국내?외 해양스포츠 명소들의 공통점, pp.226~227.
· 신우성, 「 관광자원의 이해」, (서울: 기문사, 200), p. 55.
· 지삼업, 해양스포츠의 이해, pp.84~85.
· 지삼업, 환경요인 취약성, p.86.
· 전남지역관광개발과 연계한 해양레저스포츠의 활성화 방안에서 발췌. 스포츠과학 2004.제 88호. 간행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