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VI. 참고 도서
· 번역서
· David Ray Griffin, God and Religion in the Postmodern Word: Essays in Postmodern Theology(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89),『포스트모던 하나님 포스트모던 기독교』강성도 역, 서울: 한국기독교연구소, 2002
· Francis A. Schaeffer, Escape from reason : a penetrating analysis of trends in modern thought (Downers Grove, Ill. : InterVarsity Press, c1968),『이성으로부터의 도피』김영재 역,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95
· J. Richard Middleton/Brian Walsh, 김기현/신광은 역, 『포스트 모던 시대의 기독교 세계관』, 살림, 2007
· Lesslie Newbigin,『포스트모던 시대의 진리』김기현 역, 서울: IVP, 2005
· Lesslie Newbigin,『다원주의 사회에서의 복음』홍병룡 역, 서울: IVP, 2007
· 마크 놀`데이비드 웰즈 편집. 포스트모던 세계에서의 기독교 신학과 신앙. 이승구 옮김. 도서출판 엠마오, 1994.
· Pierre Babin,『디지털 시대의 종교』이영숙 편역, 서울: 한경PC라인
· Robert Bernasconi, The Question of Language in Heidegger`s History of Being (Humanity Books, 1985),『하이데거의 존재의 역사와 언어의 변형』송석랑 역, 서울: 자작아카데미,1995
· Stanley J. Grenz, 김운용 역,『포스트모더니즘의 이해』, WPA, 2010
· Thomas G. Long, And How Shall They Hear? The Listener in Contemporary Preaching, 최진봉 역, “그렇다면 이제 그들은 어떻게 듣는가?,” 『현대사회와 예배. 설교 사역; 청해 정장복 박사 화갑기념 논문집』, 2002
· Warren W. Wiersbe, Preaching & Teaching with Imagination: The Quest for Biblical Ministry (Wheaton, Ill.: Victor Books, 1994), 『이미지에 담긴 설교』이장우 역,서울: 요단출판사, 2000
· 키이스 윌하이트 & 스콧 깁슨, “The big idea of Biblical Preaching", in『빅 아이디어 설교』이용주 역, 서울: 디모데, 1999
· 하워드 마샬, 『신약해석학』(New Testament Interpretation) 이승호, 박영호 역, 서울: 크리스챤다이제스트, 1994
· 해돈 W. 로빈슨& 토리 W. 로빈슨, 『1인칭 내러티브 설교』(First-Person Narrative Messages), 전광규 역, 서울: 이레서원, 2004
· 국내서적
· 강돈구, 『슐라이어마허의 해석학』, 서울: 이학사, 2000
· 강명구, 소비대중문화와 포스트 모더니즘, 민음사, 1993.
· 계명대학교 철학연구소 백승균 외,『해석학과 현대철학』, 서울: 철학과 현실사, 1996
· 권성수, 『성경 해석학1』, 서울: 총신대학교출판부, 1998
· 권성수, 『성령설교』,서울: 국제제자훈련원, 2009
· 김동욱, 『포스트모더니즘의 이해』서울: 문학과 지성사, 1990
· 김상복, 박영선 외, 『이제는 감동 중심 설교보다는 성화 중심 설교를 해야 교인들이 변한다』서울: 나침반출판사, 1998
· 김성곤, “모더니즘/포스트모더니즘/포스트리얼리즘”, 포스트모더니즘의 쟁점, 정정호, 강내희 편,서울:도서출판 터, 1991
· 김욱동,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서울: 현암사, 1992
· 김욱동 편, 『포스트 모더니즘과 포스트 구조주의』, 현암사, 1993
· 김욱동 편, 『포스트 모더니즘과 예술』, 청.하, 1991.
· 김욱동, “포스트모더니즘의 위상”, 포스트모더니즘의 쟁점, 정정호, 강내희 편, 도서출판 터, 1991
· 김욱동, 『포스트모더니즘의 이론: 문학, 예술, 문화』서울: 믿음사, 1992
· 김운용, 『설교의 새로운 패러다임』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2005
· 김정우, 『포스트모던 시대의 그리스도교 윤리』서울: 워즈앤 비즈, 2008
· 김현식, 『포스트모던 시대의 역사란 무엇인가?』서울: 휴머니스트, 2006
· 박완철, 『개혁주의 설교의 원리』경기: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출판부, 2007
· 신국원, 『포스트모더니즘』서울: IVP. 1999
· 심창섭, 포스트모더니즘의 도전에 대한 복음주의자의 질문서
· 이광래, 『해체주의와 그 이후』서울: 열린책들, 2007
· 이기상, 『하이데거의 존재와 현상』서울: 문예출판사, 1993
· 이문균, 『포스트모더니즘과 기독교 신학』대한기독교서회, 2000
· 이진우,『포스트모더니즘의 철학적 이해』. 서울: 서광사, 1993.
· 이어령, 『문화코드』서울: 문학사상사, 2006
· 이연길, 『이야기 설교학』서울: 쿰란출판사, 2003
· 이우제, 류응렬, 안광복,『3인 3색 설교학 특강』서울: 두란노아카데미, 2009, 64-65.
· 이형기, 『포스트모던 시대의 성경 읽기』서울: 한들출판사, 2006
· 정인교, 『현대 설교, 패턴으로 승부하라!』서울: 청목출판사, 2005
· 정장복, 주승종, 김수중, 김운용 『새천년의 성경적 설교 : 서사설교의 실제1』, 서울: 예배와 설교 아카데미, 2000
· 정장복, 주승중, 김운용,『새천년의 성경적 설교: 서사 설교의 실제Ⅱ』서울: 예배와 설교 아카데미, 2001
· 정정호, 강내희 편, 『포스트 모더니즘의 쟁점』, 도서출판 터, 1991.
· 한국기독교학회 엮음. 『포스트모던니즘과 탈식민주의 시대의 신학』. 한국신학연구소. 1996.
· 한상진. 김성기, “포스트모더니즘 이렇게 보아야 한다. 하나의 논쟁을 위하여”, 포스트모더니즘의 쟁점, 정정호, 강내희 편, 서울:도서출판 터, 1991
· 한상화, 『포스트모던 사상과 복음주의 신학』, 서울: CLC, 2003
· 홍정수,『베짜는 하느님』, 한국기독교연구소, 2002
· 논문 및 간행물, 기타
· 김운용, “새로운 설교학 운동과 설교의 새로운 패러다임 추구”「한국기독교신학논총」26집
· 김지찬, “설교자는 시인이 되어야 한다 : 설교에 있어 은유적 사고의 중요성”, 신학지남, 통권 246호, 1995
· 김지찬, "설교자는 이미지스트가 되어야 한다", 신학지남, 1997년 겨울호
· 김천일, “크래독의 설교신학에 대한 평가와 그 비판적 대안 모색” 박사(Th.D.)학위, 총신대학교, 2009
· 김형효, “포스트모더니즘의 철학”,『철학과 현실』. 1993년 가을호.
· 류응렬, “개혁주의 강해설교가 나아가야 할 다섯 가지 방향”, 신학지남, 2005년 가을호, 통권 제284호
· 류응렬, “신설교학: 최근 설교학의 대한 개혁주의적 평가” 「신학지남」2005년 봄호.
· 류응렬, "중심 사상을 찾아가는 개혁주의 강해설교" 「신학지남」 2005년 겨울호.
· 목창균, “포스트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던 신학”, 서울신대, 교수논총 제9집 1998년
· 손봉호, “포스트모더니즘 비판”,『목회와 신학』. 1991년 7월호.
· 신국원, “종로에 출몰한 포스트모더니즘”,『빛과 소금』. 1996년 1월호.
· 신국원, “포스트모던 사상가”,『빛과 소금』. 1996년 4월호.
· 신국원, “하버마스와 가다머의 포스트모더니즘 비판”,『빛과 소금』. 1996년 5월호.
· 이종성, “Postmodernism의 실체와 문제점”
· 한상진, 총신대논집. p. 126.
· 21세기 포스트모더니즘과 기독교, 제 4회 숭실대학교 국제학술 심포지엄, 한국기독교 문화 연구소, 1996
· 인터넷 자료
· http://blog.daum.net/7gnak/15714474 (전광식,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기독교 세계관적 비판)
· http://news.sarang.org/newswoori/newswoori_view.asp?db_idx=930§ion...
· http://news.sarang.org/unron/unron_view.asp?db_idx=1100§ion=W007
· http://news.sarang.org/unron/unron_view.asp?db_idx=581§ion=W007
· http://pastoroh.sarang.org/news/focus_view.asp?db_idx=1394&division
· http://theology.ac.kr/institute/dtdata/%BD%C5%C7%D0%C0%CF%B9%DD/%C6%F7%BD%BA%C6%AE%B8%F0%B4%F5%B4%CF%C1%F2.htm (이종성, Postmodernism 의 실체와 문제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