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한국의 달별 세시풍속과 그 의의

한국의 세시풍속을 월별로 주요한것을 뽑아서 정리하고 또 각 풍속마다 고유의 특성과 그때 그때 먹는 음식, 유래와 함께 사진을 첨부하여 작성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 고유의 세시풍속들의 공통점을 알아본다. 끝으로 결론은 이러한 여러 세시풍속들이 우리 한국의 문화와 정서에 어떤 의의를 가지는지에 대해 정리하면서 글을 마쳤다.
15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1.09.05 최종저작일 2010.10
15P 미리보기
한국의 달별 세시풍속과 그 의의
  • 미리보기

    소개

    한국의 세시풍속을 월별로 주요한것을 뽑아서 정리하고 또 각 풍속마다 고유의 특성과 그때 그때 먹는 음식, 유래와 함께 사진을 첨부하여 작성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 고유의 세시풍속들의 공통점을 알아본다.
    끝으로 결론은 이러한 여러 세시풍속들이 우리 한국의 문화와 정서에 어떤 의의를 가지는지에 대해 정리하면서 글을 마쳤다.

    목차

    1. 서론
    - 세시풍속과 세시풍속의 형성배경.
    - 세시풍속의 종류

    2. 본론
    - 월별 한국의 세시풍속
    1월의 세시풍속 - 설, 입춘 (음력 1월 1일)
    정초의 십이지일 ( 정초부터 12일 동안)
    정월대보름 (음력 1월 15일)
    귀신날 (음력 1월 16일)
    2월의 세시풍속 - 영등날 (음력 2월 1일)
    2월 삭 (음력 2월 1일)
    좀생이 보기 (음력 2월 6,7일)
    청명, 한식 (음력 2월 말이나 3월 초=동짓날로부터 105일째)
    3월의 세시풍속 - 삼짇날 (음력 3월 3일)
    4월의 세시풍속 - 탑돌이 (음력 4월 8일)
    5월의 세시풍속 - 단오 (음력 5월 5일)
    6월의 세시풍속 - 유두 (음력 6월 15일)
    삼복 (음력 6~7월 10일을 간격으로 하여 초복, 중복, 말복)
    7월의 세시풍속 - 칠석 (음력 7월 7일)
    백중 = 중원 (음력 7월 15일)
    8월의 세시풍속 - 추석 (음력 8월 15일)
    9월의 세시풍속 - 중양절 (음력 9월 9일)
    10월의 세시풍속 - 태백산 천재 (음력 10월 3일)
    시제 (음력 10월 15일)
    11월의 세시풍속 - 동지 (음력 11월 중)
    12월의 세시풍속 - 납일 (음력 12월 말)
    섣달 그믐 (음력 12월 마지막 날)
    - 세시풍속의 공통점 : 시계성, 주기성, 순환성

    3. 결론
    - 한국의 세시풍속과 그 의의

    본문내용

    1. 서론
    세시풍속이란 예로부터 전해지는 농경사회의 풍속입니다. 농사는 한해 계절에 따른 날씨와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이러한 것을 고려하여서 씨를 뿌리기도 하고 놀이도 가고 또 농사가 끝나면 이를 감사히 여기며 다음 농사의 풍작을 기원하는 등의 여러 가지 농경생활의 생산양식이 발달하게 되었는데 이것들이 좀 더 획일화되고 굳혀지면서 세시풍속을 형성하게 된 것입니다. 또 농사의 성공을 기원하려면 옛 사람들은 계절을 지배하는 신령들과 교재 하여야 한다고 생각하였고 이러한 생각을 바탕으로 점복속, 조상숭배의 세시풍속이 정착하게 된 것입니다.
    이런 세시풍속은 음력의 월별로 24절기가 와 해마다 일정한 날을 정하여 다함께 즐기고 또 기념하는 명절이 있습니다. 24절기는 옛날 한 해를 스물넷으로 나누어 계절의 표준이 되게끔 한 것입니다. 24절기를 봄, 여름, 가을, 겨울을 나누어 보면 봄에는 입춘 - 우수 - 경칩 - 춘분 - 청명 - 곡우, 여름에는 입하 - 소만 - 망종 - 하지 - 소서 - 대서, 가을에는 입추 - 처서 - 백로 - 추분 - 한로 - 상강 마지막으로 겨울에는 입동 - 소설 - 대설 - 동지 - 소한 - 대한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그리고 명절로는 설, 한식, 단오, 추석이 가장 대표적인 것입니다. 이외에도 특이하게 여름날 음기를 보충하여 무더운 여름을 건강하게 나기 위해 삼복을 정하여 세시음식을 즐기는 등 다양한 세시풍속이 있습니다.
    이런 다양한 세시풍속들 중 저희는 각 계절별로 뚜렷한 특징과 풍속을 보이는 24절기 중 몇 가지와 4대 명절, 그리고 삼복과 함께 여러 가지 세시풍습에 대해 조사하였습니다.
    2. 본론
    1월에 있는 세시풍속으로는 먼저 4대 명절의 하나인 ‘설’이 있습니다. 정월 초하루라고도 하는 설은 4대 명절 중에서도 가장 큰 명절로 다른 세시풍속에 비해 추석과 더불어 가장 잘 전승되어 온 세시풍속입니다. 설은 남녀노소 모두 새 옷을 깨끗이 갈아입는 것으로 아침을 시작하는데 이를 설빔이라고 합니다.

    참고자료

    · ▶ 장정룡, 강릉의 민속문화, 대신출판사, 1991
    · ▶ 경기민속지Ⅲ-세시풍속·놀이·예술 편, 경기도박물관, 2000
    · ▶ 김택규, 「한국부락관습사」,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소, 1970.
    · ▶ 김택규,『한국문화사대계』Ⅳ권,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소, 1970.
    · ▶ 김매순(金邁淳); 열양세시기(洌陽歲時記)
    · ▶ 문경군, 『내고장 전통가꾸기』, 1982.
    · ▶ 이두현, 『한국민속학논고』, 학연사, 1984.
    · ▶ 임동권, 『한국세시풍속』, 서문당, 1974.
    · ▶ 한국민속사전 편찬위원회, 『한국민속대사전』, 민족문화사, 1991.
    · ▶ 정승모, 한국의 세시풍속, 학고재, 2001, P.251-278
    · ▶ 홍석모 정승모, 동국세시기, 풀빛, 2009, P.170-205
    · ▶ 東國歲時記, 洌陽歲時記
    · ▶ 韓國民俗綜合調査報告書-全羅北道 篇 (文化財管理局, 1971)
    · ▶ 韓國民俗綜合調査報告書-黃海·平安南北 篇 (文化財管理局, 1980)
    · ▶ 韓國의 歲時風俗 (金星元, 明文堂, 1987)
    · ▶ http://cafe.naver.com/723yc.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4025
    · ▶ http://eumseong.grandculture.net/gc2/common/sub.jsp?pact=view_id&h_id=GC01102052
    · ▶ http://customsearch.naver.com/dbplus.naver?pkgid=201007140&query=%EC%A2%80%EC%83%9D%EC%9D%B4%EB%82%A0&id=000000049853
    · ▶ http://100.naver.com/100.nhn?docid=186539
    · ▶ http://100.naver.com/100.nhn?docid=183990
    · ▶ http://terms.naver.com/item.nhn?dirId=10&docId=1152
    · ▶ http://blog.naver.com/bong5243/67109934
    · ▶ http://folkency.nfm.go.kr/main/main.jsp
    · ▶ http://www.heritage.go.kr/culture_2008/kor/index.jsp
    · ▶ http://100.nate.com/dicsearch/pentry.html?s=K&i=239831&v=44
    · ▶ http://customsearch.naver.com/dbplus.naver?pkgid=201007140&query=%EB%82%A9%EC%9D%BC&id=000000049d88
    · ▶ http://100.naver.com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주제가 흥미롭고, 내용이 충실해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