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고분자를 공부 또는 산업 전선에 계신분들 매우 기초적인 내용이니 참고 바랍니다목차
1.고분자 구조와 물성1.1분자 구조
1.2Crtstallinity
1.3Glass Transition
1.4Viscoelasticity
1.5 기계적 성질
1.6열가소성 수지
1.7 열 경화성 수지
2.Extruder
2.1 압출 이란?
2.2압출기
3.고분자(PE)시험
3.1 수지의 외관(색도,이물,입도)
3.2 수분 함량
3.3연화점(Heat or Vicat sofening point)
3.4 인장 강도
3.5 연신율
3.6굴곡성(creep)
3.7 강성(stiffness)
3.8경도
3.9 수축율
3.10 뒤틀림 현상(werage)
3.11 충격강도
3.12 필름 취약성(Film Brittleness)
3.13필름 인열강도(Elmendorf)
3.14 내한성(LTB)
3.15 내 약품성(Chemical resistance)
3.16 내 응력 균열성(ESCR)
3.16 투과성(Lmpermeability to liquid,gas,oil)
3.17 필름의 외관
3.18 필름의 투명도(Clarity & freedom from haze)
3.19 표면 광택도(Gloss)
3.20 필름의 뽑힘성(Draw Down Ratio)
4.필름가공 I
4.1 PE필름이 포장용에 사용되는 이유
4.2 필름의 종류
4.3 Blown-film
4.4 평 필름의 장점
4.5 필름제조시의 뽑힘성
4.6 양질의 필름을 얻기위한 방법
4.7 Blown Film Extruder
4.8 팽창비와 뽑힘성
4.9 적정 가공 온도
4.11 필름의 Blocking
4.12 평 필름 압출 가공
5.필름가공 II
5.1 압출 필름 제조시 문제점
본문내용
1.고분자의 구조와 물성1.1분자 구조
Factor : 분자의 화학적인 조성,원자의 배치상태,분자의 크기와 모양 등
즉, 고분자의 물리적/화학적 성질에 가장 큰 영향 미침.
분자량이 클수록 인장강도,충격강도 등이 상승하고 용융점도 또한 상승
1.2Crtstallinity
고분자는 분자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분자 전체에서 규칙성을 기대할 수 없고 일부분만이 결정/비결정 상태로 존재하는 경우가 많고 완전 100% 결정성 고분자는 드물고 대개는 5~95%의 결정성을 띠는 부분 결정성 고분자가 주종
결정화는 온도,시간,외력 등의 영향도 받지만 분자 구조 자체에 의하여 지배되는 경우가 가장 중요함.
즉, 주쇄 치환기를 이루고 있는 원자의 종류,구성원자의 존재,분자의 입체적 배치,분기의 유무와 그 수 등이 중용한 인자임.
결정화도가 클수록 밀도가 커지며 용매에 난용성이 되고 기계적 강도가 커진다.
Tm은 결정영역의 결정격자가 없어지는 온도를 말함.
1.3 Glass Transition
분자는 일정한 온도에서 segmental motion을 하는데 어떤 일정한 온도 이하로 내려가면 이러한 운동이 정지됨(Tg)
즉, Tg란 분자쇄의 운동이 동결되는 온도를 말함.
유리 전이온도 이하에서는 단지 원자의 결합각/원자간 거리 의 가역적 변형만 있으므로 약간의 탄성 변형만이 존재 하며 마치 유리와 같이 경직하고 깨어지기 쉽다. 따라서 고분자의 성형은 Tg이상의 온도에서 행함.
* Tg/Tm
PE (-120/137)
PVC (87/212)
참고 자료
없음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Polymer 4페이지
고분자의 시차주사열량법(DSC) 4페이지
[고분자공학과]인장강도 12페이지
[고분자]고분자 구조와 물성, 고분자의 원료. 미래의 고분자 산업 33페이지
[고분자] PMMA (photoresist) 1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