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아일보』1971.8.27. , 1970.12.14.
· - “Random Impression on a Trip to Cholla Namdo", 1970.5.13., POL 6-3, KOR S, 8_21_70, Box 2423, Subject Numeric Files, 1970-73, Political & Defense, RG59
· “Biography of Kom Tae Chung", 1970.12.17., POL 7, KOR S, 1_1_70. Box 2423, Subject Numeric Files, 1970-73, Political & Defense, RG59
· "Dear Mr. President / Brief Personal History", 1970.3.27, [GEN] CO 78/12/1/69 -, Box 47 (1970년 표기는 1971년의 오기인 것 같다.)
· (양승함, 박명림, 박용수 편, 『한국대통령 통치 사료집 9 - 김대중(1) : 민주화운동』, 연 세대학교 국가관리 연구원, 2010.)
· - <국가기록원 대통령기록관>
· http://www.pa.go.kr/online_contents/speech/speech_submain.html
· - 김대중, 「내가 걷는 70년대」,『김대중전집 4』, 한경과학, 1989.
· 「희망을 갖고 살자」,『김대중전집 4』, 1989, 한경과학, 1989.
· - 김대중, 「국가 안전보장에 관한 질문」, 『후광 김대중 대전집 14』, 중심서원, 1993.
· - 김대중 전 대통령 인터뷰, 「민주적 시장경제와 평화공존에의 여정」,『역사비평 84호』, 역사문제연구소, 2008 가을.
· - 김행선, 『박정희와 유신체제』, 선인, 2006.
· - 마상윤, 「안보와 민주주의, 그리고 박정희의 길 : 유신체제 수립원인 제고」,『국제정치 논총 vol43. no4.』, 한국국제정치학회, 2003.
· - 마상윤, 「데탕트의 위험과 기회 - 1970년대 초 박정희와 김대중의 안보인식과 논의」, 『세계정치 Vol 32 no.2』, 서울대 국제문제연구소, 2011.
· - 마상윤, 박원곤, 「데탕트기의 한미갈등 - 닉슨, 카터와 박정희」, 『역사비평 86호』, 역 사문제연구소, 2009 봄.
· - 박정희, 「민족 중흥의 길 - 10월 유신과 정치발전」,『나라가 위급할 때 어찌 목숨을 아끼리』, 동서문화사, 2005.
· - 박정희, 「민족의 저력」, 『나라가 위급할 때 어찌 목숨을 아끼리』, 동서문화사, 2005.
· - 신욱희, 「데탕트 시기의 한미갈등 - 정향적 요인으로서의 위협인식」, 『박정희시대 연 구의 쟁점과 과제』, 선인, 2005.
· - 정일준, 「유신체제의 모순과 한미갈등 : 민주주의 없는 국가안보」,『사회와 역사 제70 집』, 한국사회사학회, 2006.
· - 홍석률, 「1971년 대통령선거의 양상 - 근대화 정치의 가능성과 위험성」,『역사비평 87 호』, 역사문제연구소, 2009년 여름.
· - 홍석률, 「유신체제의 형성」, 『유신과 반유신』,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