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면역세포(조혈모세포, T 세포, 수지상 세포)의 분화 및 활성화조절 기술

없음
23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1.01.03 최종저작일 2007.06
23P 미리보기
면역세포(조혈모세포, T 세포, 수지상 세포)의 분화 및 활성화조절 기술
  • 미리보기

    소개

    없음

    목차

    없음

    본문내용

    Abstract
    척추동물은 무척추 동물과는 다르게 외부의 pathogen에 대한 면역반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면역반응은 많은 면역세포들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그들 중에서도 특히 Heamatopoietic stem cell(HSC, 조혈모세포), T-cell, dendritic cell이 각광을 받고 있다. 이는 모두 HSC로부터 분화되어서 형성되어지며, 각각 세포 타입에 특이한 특성을 지니며 분화 발달해 간다. 이러한 면역세포의 분화는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하여 조절을 받으며, 면역세포의 생성을 활성화 또는 억제해 나가며 인체 내의 면역세포의 수의 항상성을 유지해 나가고 있다. 이러한 면역 세포의 분화 조절 기작은 많이 밝혀지지 않은 미지의 영역이지만 현재 많은 곳에서 활발한 연구가 진행 되어 분화의 기작이 하나 둘씩 밝혀지고 있는 실정이다. 앞으로 연구가 지속되어 면역세포의 분화 조절 기작을 밝혀낼 수 있다면, 이를 통해 의약 개발과 치료 등의 많은 분야에 적용 가능할 것이다.

    ..<없음>..

    사람의 재조합형 G-CSF(filgrastim)은 175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당단백질로써 대장균에서 생산된다. filgrastim은 주로 CFU-G에 작용하여 호중구의 생산을 촉진한다. 이는 호중구의 탐식기능과 세포독성을 강화시킨다. filgrastim은 sargramostim와 마찬가지로 항암 치료나 골수이식 후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심각한 호중구 감소증을 치료하는데 효과적이다. 이는 호중구의 감소로 인하여 유발된 면역 저하로 인한 진균 감염이나 패혈증 으로 인한 사망율 감소에 도움이 된다. 또한 GM-CSF와 IL-3의 결합 단백질인 PIXY321이 있다. 이는 임상실험결과 호중구와 혈소판 생성에 있어서 GM-CSF보다도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면역세포들은 이미 새로운 치료제로서 사용되어지고 연구되어지고 있으며, 차세대 산업으로 주목 받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도 조혈모세포를 비롯한 면역세포를 재조명하여 그 의의와 효용성을 인지하여 새로운 치료법 개발의 의지를 늦추지 않도록 해야 한다.

    참고자료

    · 1. Anne Wilson* and Andreas Trumpp‡, Bone-marrow haematopoieticstem-
    · cell niches, nature immunology, 2006
    · 2. Guy Sauvageau*,1,2,3, Norman N Iscove4 and R Keith Humphries*,5,6, In vitro and in vivo expansion of hematopoietic stem cells, nature oncogene, 2004.
    · 3. Susan K. Nilsson, Paul J. Simmons, and Ivan Bertoncello, Hemopoietic stem cell engraftment, Experimental Hematology, 2006
    · 4. Teresa A. Venezia1,2[, Akil A. Merchant2,3[, Carlos A. Ramos2,3, Nathan L. Whitehouse4, Andrew S. Young4, Chad A. Shaw4, Margaret A. Goodell1,2,4,5*, Molecular Signatures of Proliferation and Quiescence in Hematopoietic Stem Cells, PLoS Bio, 2004l
    · 5. Osawa M, Hanada K, Hamada H, Nakauchi H, Long -term lymphohematopoeitic reconstitution by a single CD34-low/negative hematopoeitic stem cell. Science 1996.
    · 6. Lagasse E, Connors H, Al-Dhalimy M, Reitsma M, Dohse M, Osborne L, Wang x, Finegold M, Weissmam IL, Grompe m, Purified hematopoietic stem cells can differentiate into hepatocytes in vivo. Nat Med 2000
    · 7. Albertus W. Wognum, Allen C. Eaves and Terry E. Thomas, Identification and Isolation oh Hematopoietic Stem Cells ELSEVIER, 2003
    · 8. Goodell MA, Rosenzweig m, Kim H, Marks Df, Demaria M, Paradis g, Grupp SA, Sieff CA, mulligan RC, Johnson RP, Dye efflux studies suggest that hematopoeitic stem cells expressing low or undetectable levels of CD34 antigen exist in multiple species Nat Med 1997
    · 9. Orlic D, Kajstura j, Chimaenti S, Jakoniuk I, Anderson SM, Li B, Pickel J, Mckay R, Nadal-Ginard B, Bodine Dm, Leri A, Anversa P, Bone marrow cells regenerate infarcted myocardium. Nature 2001
    · 10. Roegiers. F. and Jan.(2004), Asymmetric cell division (28)
    · 11. Betschinger,J and Knoblich, Dare to be different: asymmetric cell division in drosophila, C. elegans and vertebrates
    · 12. Lechler, T. Fuchs, E., Asymmetric cell divisions promote stratification and differentiation of mammalian skin
    · 13. Suda, J. , Suda, T and Ogawa, Analysis of differentiation of mouse hemopoietic stem cell in culture by sequential replating of repaired progenitors
    · 14. Takano, H. Ema,h Sudo,K and Nakauchi.H, Asymmetric division and lineage commitment at the level of hematopoietic stemcels: inference from differentiation in daughter cell and granddaughter cell pairs
    · 15. Beatriz Le´on, Mar´©¥a L´opez-Bravo, Carlos Ardav´©¥n. , Monocyte-derived dendritic cells, Seminars in Immunologyv, 2005
    · 16. SHALIN H NAIK, LYNN M CORCORAN and LI WU, Development of murine plasmacytoid dendritic cell subsets, Immunology and Cell Biology, 2005
    · 17. Carlos Ardavín, Gloria Martínez del Hoyo, Pilar Martín, Fabienne Anjuère,Cristina F. Arias, Alvaro R. Marín, Sara Ruiz,Verónica Parrillas and Héctor Hernández, Origin and differentiation of dendritic cells, TRENDS in Immunology, 2001.
    · 18. Ariel Quintana Æ De´ sire´ e Griesemer Æ Eva C. Schwarz Markus Hoth, Calcium-dependent activation of T-lymphocytes
    · Received: 18 August 2004 / Accepted: 18 October 2004 / Published online: 26 November 2004, Springer-Verlag 2004
    · 19. Philippa Marrack1 and John Kappler2, CONTROL OF T CELL VIABILITY, Howard Hughes Medical Institute and Integrated Department of Immunology, National, Jewish Medical and Research Center, and Departments of Medicine, 1Biochemistry and Molecular Genetics, and 2Pharmacology, University of Colorado Health Sciences Center, Denver, Colorado 80206; email: marrackp@njc.org; kapplerj@njc.org
    · 20.Journey through the thymus:stromal guides for T-cell development
    · and selection, Yousuke Takahama
    · 21.LIGAND RECOGNITION BY T CELL RECEPTORS
    · Mark M. Davis, J. Jay Boniface#, Ziv Reich, Daniel Lyons#,
    · Johannes Hampl#, Bernhard Arden, and Yueh-hsiu Chien#
    · Howard Hughes Medical Institute, and the Department of Microbiology and
    · Immmunology#, Stanford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tanford, California 94305;
    · Paul Ehrlich Institut, Langen, Germany; e-mail: mdavis@cmgm.stanford.edu
    · 22. PROTEIN KINASE Cµ IN T CELL ACTIVATION
    · Noah Isakov1 and Amnon Altman2, 1Department of Microbiology and Immunology, Faculty of Health Sciences, and the Cancer Research Center, Ben Gurion University of the Negev, Beer Sheva 84105,
    · 23. SIGNAL TRANSDUCTIONMEDIATED BY THE T CELL ANTIGEN RECEPTOR: The Role of Adapter Proteins¤, Lawrence E. Samelson
    · Laboratory of Cellular and Molecular Biology, Center for Cancer Research, National Cancer Institute, 37 Convent Drive, Building 37, Room 1E24, Bethesda, Maryland, 20892-4255; e-mail: samelson@helix.nih.gov
    · 24. Thymic microenvironments for T cell differentiation and selection Ena Ladi1,2, Xinye Yin1,2 , Tatyana Chtanova1,2&Ellen A Robey1
    · T lineage progenitors: the earliest steps en route to T lymphocytes
    · Li Wu
    · 25. Avinash Bhandoola and Arivazhagan Sambandam, From stem cell to T cell: one route or many, NATURE immunology, 2006
    · 26. 이대희, 이충한, dendritic cell based immunotherapy. hematopoietic agent and differentiation inducers. , BRIC, 2003.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깊이 있는 내용과 함께 과제에 적용 가능한 내용이 많아 도움이 되었습니다.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감사합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2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