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중노년기 가족생활문화

중년기,노년기의 가족생활문화
31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0.12.29 최종저작일 2010.11
31P 미리보기
중노년기 가족생활문화
  • 미리보기

    소개

    중년기,노년기의 가족생활문화

    목차

    1. 상․제례문화
    1) 전통 상․제례
    2) 현대 상․제례
    3) 미래 상․제례

    2. 중․노년기 부양 문화
    1) 전통 노인부양 문화
    2) 현대 노인부양 문화
    3) 노인 부양문화의 변화
    4) 미래 노인부양 문화

    3. 중․노년기 여가생활문화
    1) 특성
    2) 필요성
    3) 여가생활의 현황
    4) 미래 여가생활

    4. 귀농문화
    1) 중년기에서 두드러지는 귀농문화
    2) 귀농의 이유
    3) 귀농의 유형
    4) 미래 귀농문화

    ※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상․제례 문화
    1) 전통 상․제례
    (1) 전통 상례(傳統喪禮)
    ① 상례의 의미
    사례(四禮), 즉 관·혼·상·제 중에서 상례는 인간의 죽음이라는 엄숙한 사태에 직면하여 그 사자를 정중히 모시는 절차인 만큼 가장 중요한 예법으로 되어 있으며, 이는 세계의 공통적인 현상이다. 한국은 신라시대부터 고려시대에 걸쳐 불교와 유교의 양식이 혼합된 상례가 행하여졌으나 고려 말 중국으로부터 《주자가례(朱子家禮)》가 들어오고 조선 전기에는 배불숭유(排佛崇儒)를 강행한 영향 등으로 불교의식은 사라지고 유교의식만이 행하여졌다. 《주자가례》는 중국의 풍습을 주로 한 것이어서 한국 실정에 맞지 않는 대목이 많아 학자들 사이에는 논란이 거듭되었고 한국에 맞는 예문(禮文)도 많이 나오게 되었다. 그 중에서도 숙종 때 이재(李縡)가 엮은 《사례편람(四禮便覽)》은 상례를 알맞게 만들어 많은 사람이 이에 따랐다. 그렇지만 이러한 상례는 오랜 세월이 흐르는 사이 조금씩 변하기도 하고 지방마다 풍습을 달리하게 되었다(네이버 백과사전, 2010).
    그리고 과거에는 죽음을 현세의 영혼이 타계로 옮겨간다고 믿었으며, 이러한 믿음이 의례의 일정 행위로 표현되었고, 망자의 지위에 따라 의례의 이름과 내용이 달라지기도 하였으며, 부여와 고구려의 경우 ‘순장(殉葬)’의 풍습이 있었고, 옥저에서는 ‘세골장’이 있어 망자를 위로하고자 산 자를 함께 묻기도 하였다(김양희 외, 2010).
    가. 순장
    한국에서는 고대국가에서 순장의 습속이 있었다. 중국의 《삼국지》 <위서(魏書)> 동이전(東夷傳) 부여조(夫餘條)에 보면 부여에서는 귀인(貴人)이 죽으면 ‘사람을 죽여서 순장을 하니, 그 수가 많을 때는 100명에 이르렀다(殺人殉葬 多至百數)’라 하여 순장의 풍속을 전한다. 또한 《삼국사기》 신라본기(新羅本紀) 지증왕조(智證王條)에는 ‘502년(지증왕 3) 봄 3월에 명령을 내려 순장을 금하였다. 그 전에는 국왕이 죽으면 남녀 각 5명씩을 죽여서 순장하였는데 이때에 이르러 이를 금하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참고자료

    · 강대구(2007), 귀농동기에 따른 귀농정착과정,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2-39권 제 1호, 한국농업
    · 교육학회, p.60.
    · 경향신문(2010.03.29), 저축 못하는 40~50대 불안한 노후! 이렇게 준비해 보자.
    · 곽의수(2009) 노인요양시설 운영실태와 그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37.
    · 김범수․간호옥(2001), 전통 孝 사상의 현대적 재인식을 통한 노인부양 문제해결, 평택대학교.
    · 김성순(1996), 고령화사회와 복지행정, 서울: 유풍출판사.
    · 김순미 외(2004), 봉급생활자의 은퇴설계 : 노인 부양으로서 유료노인시설 선호 및 요구도,
    · 대한가정학회지 제42권 5호 통권 195호, 대한가정학회, pp.177-178.
    · 김시덕(2007), 도시 장례식장에서 지속되는 상례의 문화적 전통, 실천민속학연구, 9, pp.107-135.
    · 김양희 외 8인(2010), 가족과 생활문화, 양서원.
    · 김옥라(1999), 호스피스, 수문사, pp.30-34.
    · 김정아(2008), 노인여가 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사회복지․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태길(1995), 한국윤리의 재정립, 서울: 철학과 현실사, p.109.
    · 남민이(2001), 장례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문사.
    · 농림수산식품부(2009), 귀농·귀촌 업무담당자 교육 자료.
    · 박공주 외(2006), 귀농유형별 은퇴 후 귀농인의 농촌생활만족도, 대한가정학회 2006년도 제59차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대회 발표자료, 대한가정학회.
    · 박금실(2004), 고령화 사회의 노인 여가활동과 문화향유에 관한 연구, 한영신학대학교 기독상담대
    · 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상환(2000), 조선시대 기로정책 연구, 도서출판 혜안, p.53.
    · 박정수(2006), 상례에서 혼에 대한 의례 고찰,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보건복지부 공적노인장기요양추진위원회(2004), 공적노인요양보장체계 최종보고.
    · 세계일보(2010.10.22), ‘인생 2막’위한 귀농, 철저한 준비를.
    · 양선화․이신숙(2009), 노인대학 참여노인의 노인대학 운영 및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와 요구도,
    · 교육종합연구, 7(1), pp.201-219.
    · 오진탁(2005), 죽음을 어떻게 맞이할 것인가, 궁리.
    · 유상오(2001), 도시 퇴직자 귀농에 의한 농촌 활성화 방안과 비전, 농업기반공사 통권202호, 한국
    · 농어촌공사, p.35.
    · 유혜숙(2008), 노인요양 복지시설 호스피스 서비스의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실태조사를 중심으로,
    · 삼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16-18.
    · 유화정(2006), 전통예절과 가정의례 상식, 도서출판 예가.
    · 윤순덕 외(2005), 도시장년층의 은퇴 후 농촌이주의사 결정요인, 한국노년학회. pp.139-153.
    · 이가옥(1994), 노인생활실태와 노인복지의 정책과제,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이무영(2009), 한국가정의례, 한국예절대학.
    · 이미순(2009), 노인의 여가활동 참여 만족도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병순(2006), 맞벌이 여성의 노인부양의식에 관한 연구 : 영등포구 60-50대 주부를 대상으로,
    ·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시자(2010), 귀농자의 안정적 정착방안에 관한 연구 : 곡성군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이윤정․ 유경․ 한은주(2009), 브라보! 마이 라이프, 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
    · 이의섭(2002), 전통 효사상의 현대적 고찰,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 이인수(2005), 노인주거복지와 실버산업, 일진사, p.100.
    · 이창섭(2009), 농촌 노인들의 심리적·사회적 특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목포대학교 , pp.57-58.
    · 이호일(2010), 朝鮮王朝의 老人인식과 敬老制度에 관한 硏究, 부경대학교.
    · 이희덕(1978), 한국사에 나타난 효, 충효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서울특별시 교육위원회,
    · pp.330-332.
    · 임춘식(2005), 고령화 사회의 노인복지정책 과제(하), 현대사회문화연구소 통권271호, 현대사회문화
    · 연구소, pp.18-20.
    · 임희규 외(2008), 사회복지학 개론, 광문각, p.292.
    · 장인협․최성재(2007), 노인복지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 전성표(2007), 부모부양 : 효도인가, 교환인가?, 가족·정부 그리고 계층, 삼성경제연구소, pp.49-75.
    · 정다래(2009), 비혼 귀농 여성에 대한 여성주의적 연구 : 대안적 삶에 대한 가치를 중심으로, 이화
    · 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2.
    · 정혜선(2010), 대학생의 노인부양과 케어의 사회화에 대한 인식, 계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61
    · 정훈(2009), 공동주택단지내의 노인여가활동을 위한 물리적 환경계획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 정희순(2010), 한일 양국 가족의 변화가 노인부양 의식에 미치는 영향, 경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pp.15-16.
    · 조희금(2006), 노인의 삶과 여가, 그리고 노인여가정책의 방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학술대회논
    · 문집, PP.205-219.
    · 최순남(1999), 현대노인복지론, 오산: 한신대학교 출판부, p.223.
    · 최연희(2008), 노인부양의식에 관한 연구 : 20-30대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23
    · 최종근(1987), 경로사상과 노인문제, 서울: 경원문화사.
    · 최화숙(2007), 안락사와 호스피스, 예영커뮤니케이션, pp.161-162.
    · 충청일보(2010.11.03), 전통 경로행사 이어 나간다.
    · 쿠키뉴스(2010.11.12), 고령화 사회 겉도는 노인요양제도 : 정부 지원에 ‘우후죽순’… 관리는 손 놔.
    · 통계청(2009), 노인(만 65세 이상)의 여가 활동.
    · 홍숙자(2010), 노인장기요양보험이 노인부양부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영신학대학교
    · 박사학위논문, p.7.
    · 홍준의(2010), 노인 장기요양보험제도의 입법과정 분석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17.
    · 한국동굴학회(2007), 동굴과 장묘 문화의 고찰.
    · 한국전통의례서식연구회(2006), 종합 가정의례서식, 일송미디어.
    · 현우현(2009), 포항지역 거주노인의 공연예술문화생활 실태분석, 영남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네이버 백과사전(2010), http://100.naver.com.
    · 네이버캐스트(2010), http://navercast.naver.com.
    · 네이트 백과사전(2010), http://100.nate.com.
    · http://blog.naver.com/bhjang3/140065358287.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를 통해 새로운 지식과 통찰을 얻을 수 있었고, 과제를 를 보완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20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