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대한불교조계종의 정체성에 관한 소고

대한불교조계종의 종명에 담긴 정체성을 해방후와 일제식민지시 더 거슬러 고려시대 삼국시대로 대략 살펴보았다.
8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0.12.29 최종저작일 2010.12
8P 미리보기
대한불교조계종의 정체성에 관한 소고
  • 미리보기

    소개

    대한불교조계종의 종명에 담긴 정체성을 해방후와 일제식민지시 더 거슬러 고려시대 삼국시대로 대략 살펴보았다.

    목차

    목차
    Ⅰ. 서론
    Ⅱ. 대한불교 조계종의 정체성
    Ⅲ. 고려시대의 조계종
    Ⅳ. 일본식민지時 조계종
    Ⅴ. 해방 후 조계종
    Ⅵ.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현 조계종의 정체성은 무엇인가?
    우리나라의 역사상 조계종이라는 종명은 3번에 걸쳐 나타난다. 처음 고려시대에 등장하고, 다음으로 일제식민지시 나타나고, 해방 후 나타나 현재에 이르고 있다. 그러면 지금의 조계종은 이 세 번의 등장과 어떠한 관계가 있을까? 前 조계종의 계승일까 아니면 새로운 조계종의 창조인가? 이것을 알아보는 것이 곧 현 조계종의 정체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그러므로 세 번의 시기에 등장하는 조계종에 대하여 간단히 살펴볼 것이다.
    Ⅱ. 대한불교 曹溪宗의 정체성
    大韓佛敎曹溪宗 홈페이지 http://www.buddhism.or.kr
    에 의하면, 종헌 제1장 종명 및 종지는 다음과 같다.
    第 1條 本宗은 大韓佛敎 曹溪宗이라 稱한다. 本宗은 新羅 道義國師가 創樹한 迦智山門에서 起源하여 高麗 普照國師의 重闡을 거쳐 太古 普愚國師의 諸宗包攝으로서 曹溪宗이라 공칭하여 이후 그 宗脈이 綿綿不絶한 것이다.
    第 2條 本宗은 釋迦世尊의 自覺覺他 覺行圓滿한 根本敎理를 奉體하며 直指人心 見性成佛 傳法度生함을 宗旨로 한다.
    第 3條 本宗의 所依經典은 金剛經과 傳燈法語로 한다. 其他 經典의 硏究와 念佛 持呪 等은 制限치 아니한다.
    조계종의 宗祖는 도의국사이고, 重闡祖는 보조국사지눌(1158~1210)이고, 重興祖는 원종국사태고보우(1301~1382)이다. 그러므로 조계종의 宗憲 제1조에 의거한다면, 현 조계종은 위의 3인물의 사상을 유지해오고 있어야 한다.

    참고자료

    · 참고문헌
    ·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원 불학연구소, 《曹溪宗史 고중세편》,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원, 2004.
    · 교육원 불학연구소, 《曹溪宗史》,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원, 2001.
    · 강석주, 박경훈, 《불교근세백년》, 민족사, 2002.
    · 대한불교조계종총무원·교육원·포교원·중앙종회·불교신문사, 《사진으로 본 통합종단 40년사》, 조계종출판사, 2002.
    · 최병헌, <한·중·일 불교교류의 발전과 상호 이해의 필요성>, 《佛光》10월호, 1996년,
    · ______, <한국불교사의 전개와 사회적 성격-국도 불교와 산간불교->, 《불일회보》no.190, 1996.
    · ______, <大覺國師 義天의 天台宗 創立과 宋의 天台宗>, 《한국불교의 보편성과 특수성》,한국학술정 보(주), 2008.
    · 김영수, <五敎兩宗에 對하여>, 《震檀學報》제8집, 1937년 11월.
    · 월간법륜사, <조선총독부 寺刹令>, 《법륜》, 월간법륜사, 1976년 8월.
    · 박희승, <일제의 사찰령 제정과 조선불교 통제>, 《봉은》통권 제68호.
    · http://www.buddhism.or.kr
  • 자료후기

      Ai 리뷰
      판매자가 제공한 자료는 체계적인 구성으로 되어 있어 복잡한 내용을 과제에 쉽게 활용 할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좋은 자료들이 많이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