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국문학강독(동명왕편,공무도하,청산별곡,도산십이곡)

국문학강독 자료 1. 왕검조선 2. 동명왕편 3. 공무도하가 4. 청산별곡 5. 도산십이곡 총p52
52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0.12.19 최종저작일 2009.05
52P 미리보기
국문학강독(동명왕편,공무도하,청산별곡,도산십이곡)
  • 미리보기

    소개

    국문학강독 자료
    1. 왕검조선
    2. 동명왕편
    3. 공무도하가
    4. 청산별곡
    5. 도산십이곡

    총p52

    목차

    1. 왕검조선
    2. 동명왕편
    3. 공무도하가
    4. 청산별곡
    5. 도산십이곡

    본문내용

    古朝鮮 [王儉朝鮮]
    고조선[왕검조선] 왕검조선은 신시의 배달국(청구국)으로부터 시작되었다. 거불단 환웅의 아들로 태어난 왕검께서 무진년인 서기전 2333년에 도읍을 아사달에 정하고 나라를 세우시니, 나라 이름을 조선이라고 칭하였다. 그로부터 2096년 동안 47대를 내려오며, 각 단군께서 제위를 내려받으시고 조선을 다스렸다.
    魏書云. 乃往二千載有壇君王儉. 立都阿斯達.[經云無葉山. 亦云白岳. 在白州地. 或云在開城東. 今白岳宮是.] 開國號朝鮮. 與高同時.
    위서운. 내왕이천재유단군왕검. 립도아사달.[경운무엽산. 역운백악. 재백주지. 혹운재개성동. 금백악궁시.] 개국호조선. 여고동시.
    《위서》 중국의 역사서이다. 북제(北齊) 사람 위수(魏收)의 저서로 《북위서(北魏書)》 또는 《후한서(後漢書)》라고도 한다. 114권으로 되어 있다. 문선제(文宣帝) 천보(天保) 2년(551)에 만들어졌고, 지금 전하는《위서》에는 송나라 때 29편이 없어져 단군에 관한 이야기는 찾아 볼 수가 없다고 한다. ( 네이버 백과사전 )
    에 이른다. "지금으로부터 2,000년 전에 단군 왕검 천제(天帝)인 환인(桓因)의 손자이며, 환웅(桓雄)의 아들로, BC 2333년 아사달(阿斯達: 평양?)에 도읍을 정하고 단군조선을 개국하였다. 한국 역사에 처음으로 등장하는 고조선과 단군에 관한 기록으로는 중국의 《위서(魏書)》를 인용한 《삼국유사(三國遺事)》 <기이편(紀異篇)>에 실려 있는 자료가 있을 뿐, 정사(正史)인 《삼국사기(三國史記)》에는 기록되어 있지 않아 대조를 이룬다. 조선시대에 이르러 《세종실록(世宗實錄)》 <지리지(地理志)>, 이승휴(李承休)의 《제왕운기(帝王韻記)》, 권남(權擥)의 《응제시주(應製詩註)》에도 《삼국유사》와 비슷한 기술이 보이나, 단군에 관한 문제를 다룰 때에 우선 《삼국유사》의 기록을 사료(史料)로서 인용하고, 여기에 더 많은 신빙성을 둔다. (네이버 백과사전)
    이 있었다. 그는 아사달 아사달은 지금의 태백산이다. (묘향산,) 그러나 내용에 관해서는 논란이 일어나고 있다. 그 태백산이 어디를 뜻하는 가에는 논란이 일고 있는데 여기서 백두산은 마니산 이라고도 하고 있고 역사학자들은 지금의 북한 평양을 지칭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삼국유사》에는 중국의 《위서(魏書)》를 인용하여 "단군이 아사달에 도읍을 정하고 새로 나라를 세워 국호를 조선이라고 불렀다"라고 되어 있고, 또 〈고기(古記)〉를 인용하여 "단군은 평양성에 도읍하여 조선이라고 불렀다. 또 도읍을 백악산(白岳山) 아사달로 옮겨 1,500년 동안 여기에서 나라를 다스렸다. … 단군은 장당경(藏唐京:庄庄坪)으로 옮겼다가 뒤에 돌아와서 아사달에 숨어서 산신(山神)이 되니…"라고도 쓰여 있다. 이처럼 두 인용문이 서로 달라 평양이라는 설과 황해도 구월산(九月山)이라는 설로 양분되어 있다. (네이버 백과사전)
    [경에는 무엽산 무엽산은 잎이 없는 산으로 해석할 수 있다. 입이 없는 무엽류의 나무들이 많이 있는 산을 뜻하기도 한다.
    ( 네이버 백과사전 )

    참고자료

    · 네이버 백과사전
    · 문학마당 http://www.woorimal.net/hangul/gosijo/zo-dosansipigok.htm
    · 네이버 블로그 http://blog.naver.com/likelotus85?Redirect=Log&logNo=65752382
    ·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http://www.seelotus.com/gojeon/gojeon/si-jo/dosan-12.htm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제공한 자료는 전문 지식를 바탕으로 한 내용이 많아, 과제에 쉽게 적용할 수 있었습니다.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20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