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론 ] 엘리트의변동
- 최초 등록일
- 2002.06.13
- 최종 저작일
- 2002.06
- 4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소개글
마니퍼가세요 정말조사 열씨미한것입니다 ^^
도움이 많이됬으면 좋겠네요 ^^;
참고자료가 I의 뒤에 있습니다. 참고하세요
<해피캠퍼스 관리자>
목차
Ⅰ.정부 엘리트의 개념화
1.엘리트(Elite)의 의미
2.엘리트(Elite)에 관한 개념
(1)광의
(2)협의
3.네가지 변수로 정치 엘리트 구분
4.정치엘리트의 개념
5.정부Elite들의 3부 충원 방법
6.우리나라 정치 과정에서의 정부Elite의 성격
Ⅱ.정부 엘리트 일반적 배경-三府 政府 Elite
1.출생
2.교육
3.경력
Ⅲ.부문별 엘리트 충원
1.제 1공화국시대의 부문별 엘리트 충원
2.제 2공화국시대의 " " "
3.제 3공화국시대의 " " "
4.제 4공화국시대의 " " "
5.제 5공화국시대의 " " "
6.제 6공화국시대의 " " "
7.문민정부시대의 " " "
8.국민의 정부 초의 " " "
Ⅳ.우리나라 정부엘리트 충원특징상의 변화
1. 출생배경
Ⅴ.결론
■참고자료1-모스카's <엘리트 이론>
본문내용
지금까지 우리는 제 1공화국에서부터 현 정권까지의 엘리트 구성체계에 대해서 알아봤다.
여기에서 각정권 별로 그 당시 엘리트들의 출생배경과 교육배경 그리고 경력에 따른 부문별 충원상에 대해도 어느정도의 지식을 익혔다. 각 시대를 거칠때마다 엘리트의 충원 성격이 다름으로써 그 시대를 주도하던 일종의 지배층의 변동도 있다는 것을 동시 가늠할 수가 있다. 특히 학력이 중시되고 높아지는 것은 개인의 능력과 전문성을 높이 삼는다는 것인데 시간이 흘러감에따라 업무의 성격이 보다 복잡해가고 세부적인 전문 기술을 요하게 되기 때문으로 짐작한다. 이러한 모습은 계속적으로 지향해야 한다고 보지만 현정치권 뿐아니라 모든 사회생활에서도 문제가 되는 학연 지연 혈연과 같은 단면은, 그 사회에 긍정적인 면보다는
부정적인 면이 더 많다고 할 것이다.
참고 자료
김명기·박연호, 「한국정부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000
이정복, 「한국의 정치적과제」,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7
김학준, 「한국정치론(연구의 현황과 방향)」, 한길사, 1984
안병만, 「한국의 파워 엘리트 연구-한국의 정치」, 법문사,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