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사회보장법은 1차적으로 사회문제를 정확히 파악하고, 현행제도가 문제해결에 적합한가를 해석하고, 사회문제에 대한 충분한 해결방안을 제시하고 있지 못하다면 정책론적 대안을 제시하는 작업을 과제로 하여야 한다. 그러나 사회보장법의 해석론적 및 정책론적 논의는 사회문제의 해결을 위해서 인류가 채택해 온 여러 가지 다양한 방법론을 축적하고 있을 때 비로서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대표적인 사회보험국가인 독일의 비스마르크 전통, 한때 대표적인 국민부양제도 국가의 표본이었던 영국의 이른바 비버리지 전통, 최소한의 국가 사회보장의 전통을 가지고 있는 미국과 미국의 영향을 받을 나라들, 독자적인 사회보장목표를 부인하는 사회주의국가의 전통, 또 전통적인 연대공동체에 의한 사회보장을 아직도 고수하고 있는 혹은 그러한 비제도적인 체계에 사회보장을 맡길 수 밖에 없는 제3세계 국가의 사회보장 등등이 그것이다. 이중 세계 사회보장의 원류를 이원화하면 독일식의 사회보험 전통과 영국식의 국민부양의 전통일 것이다. 사회보험의 제도적 형태와 생활수준의 보장이라는 다분히 중산층을 대상으로 하는 독일의 사회보장의 목표와 국민부양의 제도적 형태와 최소한의 생활보장이라는 다분히 빈곤의 극복을 목표로 하는 영국 사회보장의 전통이 그것이다. 이후 독일과 영국의 사회보장 형성을 비교, 서술해 보고자 한다. 여기서 우리는 사회보장제도가 새로 등장한 사회문제를 기존제도가 극복할 수 없어 국가적과제로 떠올랐다는 단순한 인과적 맥락에서 설명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국가의 전통적인 생존배려의 유형, 정치체계적 특성, 사회조직의 발달정도, 경제발전의 단계, 관료조직의 상태, 경험 사회과학의 성숙도, 노동조합, 공무원, 의회등 행위자의 사회보장에 대한 태도등이 사회보장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
Ⅱ. 본론
1. 복지발달의 두 흐름
유럽내 대부분의 나라들은 각각 다른 역사적 배경하에서 비롯되기는 하였지만 비슷한 복지제도를 운영하여 왔다. 유럽내에서의 복지국가의 유형은 크게 둘로 구분할 수가 있다.
첫째는 서독, 프랑스 그리고 일부 유럽대륙국가에서 실시되고 있는 것으로 이는 직장별 사회보장제도로 대표되고 있다. 이러한 상호부조의 공제활동은 중세 職人이 생계의 붕괴를 초래하는 사회적 사고에 대처하여 특정 집단(group)을 이루는 사회연대에 기초한다. 참고로
· 게르하르트리터, 복지국가의 기원
· 박근갑, 사회비평4호:정치적 노동운동,독점대기업,비스마르크의 노동정책
· 국회도서관 입법조사국(1977), 「구미각국의 사회보장제도」, 국회도서관.
· Henry Pelling, 「영국국현대사」, 김영정(譯)(1981), 탐구당.
· Helga Grebing, 「독일노동운동사」, 박경서(譯) (1985), 한벗.
· Peter Gay, P.K. Webb, 「서양최근세사」, 박무성(譯)(1985), 법문사.
· 박태선(183), "나치즘의 이념 및 특성에 관한 고찰," 이대석사논문.
· 서석연(1980), "나찌스에 관한 고찰", 동국대석사논문
· 손준규(1983), 「사회보장, 사회개발론」, 집문당.
· 신수식(1983), 「사회보장론」, 박영사.
· 우재현(1984), 「산업복지의 역사」, 경진사.
· 양심영(1987) 이화여자대학교 사회사업학과
· 이민호(1976), 「근대독일사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 Mommsen, W.J, 「비스마르크」, 이태영(譯)(1975), 삼성문화재단.
· 이해영·한승수(198O), 「영국의 사회복지」, 서울대학교 출판부.
· 이혜경(1982), "비교사회복지학의 이론적 모델연구, "「한국사회사업학회지」, 제 4집(한국사회사업학회).
· 이혜경(1983), "근대화와 사회복지정책," 「세계문학」겨울.
· 임채원(1982), 「독일근대사연구」, 일조각.
· 장인협(1981), 「사회복지개론」, 한국사회개발연구원,
· 최종태(1981), 「서독의 사회복지와 노사관계」, 서울대학출판부.
· 한국사회과학연구소(편)(1983), 「복지국가의 형성」, 민음사.
· Drek Fraser (1973), The Evolution of the British Welfare State, The Macmillan Press, London.
· Hugh Heclo (1974), Modern Social Politics in Britain and Sweden: from Relief to Income Maintenance, Yale University Press, New Haven.
· Karl de Schweintz (1975), The Great Transformation, Beacon Press, Becan Hill Boston.
· Karl Polanyi (1964), The Emergence of the Welfare State in Britain & Germany, London: German Historical Institute.
· Mommsen, W.J(ed) (1981), The Emergence of the Welfare State in Britain & Germany, London: German Historical Institute.
· OECD (1976), Public Expenditureon Income Maintenance Programmes, OECD, Paris.
· Ramesh Mishra (1977), Society and Social Policy, The Macmillan Press, London.
· Rimlinger, G.V (1971), Welfare Policy and Industrialization In Europe, America and Russia, N.Y.: John Wiley & Sons Inc.
· Rostow, W.W(1962), The Stages of Economic Growth: A non-Commuist Manifesto,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William Beveridge (1942), Social Insurance and Allied Services, London: Her Majesty`s Stationary office.
· Wilensky, H & Charles Lebeaux(1965), Industrial Society and Social Welfare, New York: Free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