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자기참조효과에 의한 지각적 범주와 스트룹 효과의 희석

자기참조효과에 의한 지각적 범주와 스트룹 효과의 희석
6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0.11.18 최종저작일 2010.06
6P 미리보기
자기참조효과에 의한 지각적 범주와 스트룹 효과의 희석
  • 미리보기

    소개

    자기참조효과에 의한 지각적 범주와 스트룹 효과의 희석

    목차

    초록
    서론
    방법
    결과
    논의
    참고문헌

    본문내용

    서 론
    스트룹 효과(Stroop, 1935)란 두 가지 자극(색깔 단어와 그 단어가 프린트된 잉크의 색)이 합쳐져 하나의 복합 자극 형태로 제시되었을 때, 두 자극의 일치 여부에 따라 반응 시간이 달라지는 현상을 말한다. 두 가지 자극 중 하나만을(색깔 단어 또는 색깔) 제시한 후의 반응 시간과 비교하였을 때, 색깔 단어와 그 단어가 프린트된 잉크의 색이 일치하여(‘빨강’이란 단어를 빨강색으로 프린트) 복합 자극의 형태로 제시된 경우, 스트룹 촉진 효과가 나타나서 자극에 대한 반응시간이 하나의 자극에 따른 반응 시간보다 적게 나타나며, 두 자극이 불일치하게(‘초록’이란 단어를 빨강색으로 프린트) 제시된 경우, 스트룹 간섭 효과가 나타나서 반응시간이 오래 걸리는 모습을 보인다.
    이런 스트룹 효과에 대한 이론으로는 MaCleod(1991)의 선택적 주의와 자동적 처리에 따른 설명이 있다. 인간의 주의에는 용량의 제한이 존재하여, 많은 정보가 유입되지만 모두 처리할 수가 없어 선택적 주의에 따른 병목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이런 유입된 정보의 선택적 주의에 있어서, Broadbent(1957)는 원하지 않는 자극의 물리적 특성을 분석한 후 바로 선택적으로 주의가 작용하여, 정보의 의미가 분석되기 이전에 여과가 이루어진다는, 초기 선택 이론을 주장하였다. 반면에 Deutsch 와 Deutsch(1963), 그리고 Norman(1968)의 주장에 따르면, 정보는, 정보의 물리적 특성을 파악하는 단계를 넘어 그 의미까지 분석하게 된 후, 마지막 단계인 형태 재인이 일어나기 전 단계에서 선택이 이루어진다는 후기 선택 이론을 주장하였다. 후기 선택 이론에 따르면, 주의가 요구되지 않는 정보는 여과를 통해서 완전히 제거되는 것이 아니라, 주의를 준 정보에 비하여 다소 약화되어 처리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이렇게 선택된 정보의 처리에 있어서 주의자원 필요의 정도에 따라 자동적 처리와 통제 처리로 구분이 가능하다.

    참고자료

    · Aron, A., & Fraley, B. (1999). Relationship closeness as including other in the self: Cognitive underpinnings and measures. Social Cognition, 17(2), 140-160.
    · Bower, G. H., & Gilligan, S. G. (1979). Remembering information related to one`s self.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13(4), 420-432.
    · Broadbent, D. E. (1957). A mechanical model for human attention and immediate
    · memory. Psychological Review, 64(3), 205-215.
    · Deutsch, J. A., & Deutsch, D. (1963). Attention: Some Theoretical Considerations. Psychological Review, 70(1), 80-90.
    · Kahneman, D., & Chajczyk, D. (1983). Tests of the automaticity of reading: Dilution of Stroop effects by color-irrelevant stimuli.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Human Perception and Performance, 9(4), 497-509.
    · MacLeod, C. M. (1991). Half a century of research on the stroop effect: An integrative review. Psychological Bulletin, 109(2), 163-203.
    · Norman, D. A. (1968). Toward a theory of memory and attention. Psychological Review, 75(6), 522-536.
    · Roberts, M. A., & Besner, D. (2005). Stroop dilution revisited: Evidence for domain-specific, limited-capacity processing.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Human Perception and Performance, 31(1), 3-13.
    · Rogers, T. B., Kuiper, N. A., & Kirker, W. S. (1977). Self-reference and the encoding
    · of personal inform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5(9), 677-688.
    · Stroop, J. R. (1935). Studies of interference in serial verbal reactions. Journal of
    · Experimental Psychology, 18, 643-662.
    · Symons, C. S., & Johnson, B. T. (1997). The self-reference effect in memory: A meta-analysis. Psychological Bulletin, 121(3), 371-394.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깊이 있는 분석과 명확한 설명이 잘 어우러져 있어 학습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과제 작성 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었습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29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