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김원중, 『중국문화사』, 을유문화사, 2001,
· 2) 김희영, 『이야기 중국사』, 청아출판사, 2006
· 3) 양쯔강, 『천추흥망:진나라 최초의 천하통일』, 따뜻한 손, 2009
· 4) 쓰루마 가즈유키, 『진시황제』, 김경호 역, 청어람미디어, 2004
· 5) 사마광, 『자치통감』, 권중달 옮김, 삼화, 2009
· 6) 쿠사모리 신이치, 『제자백가』, 솔, 2002
· 7) 천징, 『진시황 평전 - 위대한 폭군』, 김대환 역, 미다스북스, 2001
· 8) 사마천, 『사기본기』, 김원중 역, 을유문화사, 2005
· 9) 사마천, 『사기열전』, 김원중 역, 을유문화사, 2001
· 10) 사마천, 『불멸의 인간학 사기』,MOIM역, 서해문집, 2009
· 11) 천징, 『진시황 평전 - 위대한 폭군』, 김대환 역, 미다스북스, 2001
· 12) 두정승, 『중국문화사』, 김택중 역, 문화발전소, 2005
· 13) 정일동, 「전국시대 법가(법가)일고(일고)」, 한국중국학회, 『중국학보』, 28집
· 14) 양내갑,「한비자 법 · 술 · 세 개념 분석」, 연세대학교 법무대학원, 2004
· 15) 윤대식, 「상앙의 법치주의에 내재한 정치적 의무」, 충남대학교, 2003
· 16) 유지원, 「분열에서 통일로」,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03
· 17) 최덕경, 「전국, 진한시대 도량형제의 정치사적 의미와 그 변천」, 부산대사학회, 1999
· 18) 이상열,「중국의 율령격식 고」, 곽동헌 , 경북대학교 동양문화연구소, 1983
· 19) 류충렬,「상앙과 한비의 정치사상 비교 연구」, 울산대학교, 2006
· 20) 정석원, 「진륙국통일의 사상적 배경」, 정신문화연구 36(`89.5)
· 21) 유정병,「한비자 정치철학의 변증법적 특징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동양철학과 사상전공, 2004
· 22) 윤대식, 「동맹에서 부국강병으로:상앙의 법 일원성을 중심으로」, 국제정치학회, 『국제정치논총』제44집 3호, 2004
· 23) 정윤재, 「법가 정치사상의 분석적 이해:현실진단, 정치적 이상, 그리고 처방,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정치사상연구 6집, 2002
· 24) 김선주, 「진시황의 법령통일에 대하여 : 운몽진간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사학회, 1985
· 25) 배옥영「주대의 상제의식과 천명사상 = 주대상제의식여천명사상」,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3
· 26) 배연숙, 「한비자의 통치방법론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5
· 27) 최진규, 「한비자 역사인식과 통일론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