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LVER
SILVER 등급의 판매자 자료

가정폭력 관련 기관간의 연계망 특성과 연계 방안

가정폭력 관련 기관간의 연계망 특성과 연계 방안입니다.
14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0.07.14 최종저작일 2010.06
14P 미리보기
가정폭력 관련 기관간의 연계망 특성과 연계 방안
  • 미리보기

    소개

    가정폭력 관련 기관간의 연계망 특성과 연계 방안입니다.

    목차

    I. 머리말

    II. 가정폭력 관련 기관간의 연계망 특성
    1. 가정폭력 관련 기관의 구분과 역할
    2. 가정폭력 관련 기관간의 연계망 특성
    3. 가정폭력 관련 기관간 연계에의 영향 요인

    III. 맺음말: 가정폭력 관련 기관간의 서비스 연계 방안

    < 참고 문헌 >

    본문내용

    I. 머리말

    일반적으로 `서비스 네트웤(services network)`은 특정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이나 조직들간의 연계관계 형성을 통해 이루어진다. 서비스 제공 기관들간의 연계관계 형성을 통한 네트웤 구축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보다도 자원활용을 극대화함으로써 클라이언트의 복합적 욕구를 보다 효과적으로 충족시키자는 데 있다. 이는 곧 사회복지 서비스 제공의 단편성과 비연속성을 줄여 클라이언트가 필요로 하는 다양하고 포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전문화된 기관들간의 연계와 협력이 필요함을 의미한다(Wimpfheimer, Bloom & Kramer, 1990:89-90). 특히, 폭력 가해자로부터의 일시적 혹은 장기적 격리가 필요하고 이러한 상황에서 생존과 자립을 이루어내야 하는 가정폭력 피해자처럼 서로 다른 영역으로부터의 다양한 서비스가 필요한 경우는 서비스가 파편화되기 쉽기 때문에 관련 서비스 기관들간의 연계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가정폭력 피해자를 위해 연계되어야 할 서비스 체계는 사법체계, 의료체계, 교육체계, 사회복지체계 등이다. 사법체계(경찰)는 가정폭력 피해자를 위기 상황에서 구하고 피해자를 적절한 보호처로 의뢰하며 가해자를 처분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의료체계(병원)는 피해자들에 대한 신체상의 응급처치를 위해 필요하다. 또한 교육체계(학교)는 가정폭력 피해 여성들 자녀의 교육과 관련하여 연계가 이루어져야 하고, 사회복지체계(직업훈련 및 알선, 일시보호, 상담서비스, 탁아, 복지관 서비스 등)는 이들 가정폭력 피해 여성과 자녀들의 자립을 위해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가정폭력 피해자의 온전한 독립과 자립을 위해서는 이들 서로 다른 다양한 체계들간의 지속적인 연계와 협력이 요구된다.
    우리나라의 가정폭력 관련 서비스는 기실 매우 짧은 역사를 가진다. 1983년 여성의 전화에서 매맞는 여성들을 위한 전화상담을 시작한 것을 필두로 이들 피해 여성과 자녀를 위한 일시보호시설이 점차로 생겨났고, 1997년 11월 말에 가서야 가정폭력의 방지에 관한 법제화가 이루어졌다. 따라서, 지금까지 가정폭력 피해여성과 그 자녀들을 위한 서비스는 주로 사회복지체계를 중심으로 주로 사후 중심적 응급 처방적 성격을 띤 것이 사실이다.

    참고자료

    · 김영종(1994). “사회복지조직들의 지역사회 자원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분 석”. 한국사회복지학 통권 23.
    · 김인숙․김혜선․신은주(1997). 여성운동과 사회복지:학대받는 여성의 쉼터 연구. 나남.
    · 박경숙(1996). “사회복지전문요원과 복지관, 보건소의 서비스 연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들-중소도시, 농촌의 사회복지전문요원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통권 30호 (한국사회복지학회).
    · 신은주(1998). 24시간 위기전화 "여성1366” 활성화를 위한 토론회. 한국여성의 전화.
    · 이시경(1988). 조직간 상호작용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이현주(1998). 사회복지조직 구성원의 조직간 관계-장애인복지 관련 조직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정순둘(1997). “사회사업에의 체계망 분석법 적용”. 연세사회복지연구 제4집(연세대학교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 Aiken, M. & Hage, J.(1968). "Organizational Independence and Intra-Organizational Structure".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33(6).
    · Boje, D. M. & Whetten, D. A.(1981). "Effect of Organizational Strategies and Contextual Constraints on Centrality and Attributions of Influence Interorganizational Network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26.
    · Borgatti, S., Everett, M. & Freeman, L.(1992). UCINET IV Version 1.00. Columbia:Analytic Technologies.
    · Boys, G.A(1984). Linking Services for the Chronically Mentally Ill:Study of Interorganizational Relation. Diss.PhD. Case Western Reserve Univ.
    · Galaskiewicz, J., & Shatin, D., "Leadership and Networking among Neighborhood Human Service Organization",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26.
    · Knoke, D. & Kuklinski, J.(1982). Network Analysis. Beverly Hills, Ca. Sage.
    · Knoke, D. & Rogers, D.L.(1972). " A Blockmodel Analysis of Interorganizatioal Network". Social Service Review, 64(1).
    · Levine, S. & White, P. E.(1962). "Exchange asa a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Study of Interorganizational" Science Quarterly, 22.
    · Streeter, C.K. & Gillespie, D.F.(1992). "Social Network Analysis". Administration in Social Work.
    · Van de Ven, A & Ferry, D.(1980). Measuring and Assessing Organizations. A Wiley Intersciences Pub.
    · Woodard, K. L. & Dorian, P.(1994). "Utilizing and Understanding Community Service Provision Network: A Report of Three Case Studies Having 583 Participants". Journal of Social Service Research, 18(3).
    · Woodard, K. L. & Dorian, P.(1992). "Fixed List versus Snowball Selection of Social Networks". Social Science Research Vol. 21.
    · Wasserman, S. & Faust, K.(1994). Social Network Analysis:Methods and Applic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 Wimpfheimer, R., Bloom, M., & Kramer, M(1990). "Inter-Agency Collaboration:Some Working Principles". Administration in Social Work, Vol.14(4).
  • 자료후기

      Ai 리뷰
      매번 새로운 인사이트를 제공해 주어 지식의 폭이 넓어지는 기분입니다. 지식판매자 덕분에 많은 것을 배우고 있습니다. 정말 추천하고 싶습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