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동]진동실험
- 최초 등록일
- 2010.07.12
- 최종 저작일
- 2010.07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진동]진동실험
목차
6-3 점성감쇠를 갖는 1자유도계의 감쇠계수 측정실험
[1] 실 험 목 적
[2] 측정값
[3] 이론 및 결과
6-5 회전축의 임계속도 측정실험
[1] 실험목적
[2] 이 론
[3] 결 과
[4] 실험에 대한 고찰
6 - 6 보의 횡진동 실험
[1] 실 험 목 적
[2] 이 론
[3] 결 과
[6] 검토 및 고찰
본문내용
[1] 실 험 목 적
감쇠를 가진 진동계는 자유진동하는 동안 에너지의 소멸로 인하여 진폭이 점차 감소한다. 수학적인 표현이 가장 간단한 형태의 감쇠가 점성감쇠이며, 점성 감쇠력은 속도에 비례한다. 본 실험은 점성감쇠를 가진 1 자유도계에서 자유진동을 관찰하고, 이를 통해 감쇠계수를 측정하는 실험으로서 진동현상에서 점성감쇠가 어떤 영향을 미치느지 이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3] 이론 및 결과
① 정성 감쇠는 계의 고유진동수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 어떤 계가 교란되어 외력이나 감쇠없이 그 계 스스로 진동할때의 진동수인 고유 진동수에 유체에서 발생하는 점성감쇠가 작용하면 n 자유도 계인 고유진동수는 에너지의 변화에 의해 n 개의 서로 다른 고유진동수를 갖지 못하고 서서히 작아진다.
② 감쇠에는 점성감쇠 외에 어떤 형태가 있는가?
⇒ 두 개의 마른 표면이 서로 미끄러질 때 동마찰에 의해서 발생되는 쿨롬 감쇠 또는 건 마찰 감쇠가 있고, 물체가 변형될 때 발생하는 재료 혹은 고채 혹은 이력감괴(material or solid or hysteric damping)가 있다.
③ 식(6.25)에서 만일 ζ < 0 이면 어떤 현상이 나타나겠는가?
⇒ λ1,2 = Wn 에서 ζ < 0 이면
ⅰ) ζ2 - 1 > 0 일 때
λ1,2 는 서로 다른 두 실근을 나타내므로 시간에 따 운동이 지수적으로 소멸된다.
ⅱ) ζ2 - 1 < 0 일 때
λ1,2 는 복소수 형태로 표현되므로 감쇠량 증가에 따라 감쇠진동수가 감소하는 형태로 나타 낼것이다.
④ 진동이 가장 빨리 감쇠하려면 ζ는 어떻게 되어야 하겠는가?
⇒ ζ > 1 인 과감쇠계(Over damped system)가 되어야 지수적으로 소멸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