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주지 분화 논문 리뷰 리포트
- 최초 등록일
- 2010.07.07
- 최종 저작일
- 2010.06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소개글
거주지 분화와 관련된 논문 리뷰로 주로 외국인 거주지의 변화에 대한 리포트임
목차
Ⅰ. 서론
Ⅱ. 리뷰절차
Ⅲ. 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요약
도시내 거주지분화(segregation)의 원인에 대해 일련의 상이한 주장이 있어 왔다.
첫째, ‘지리적 동화론(spatial assimilation framework)’으로, 개인 혹은 집단의 낮은 문화적 그리고 사회적 동화 (cultural and social assimilation)가 높은 거주지 분화를 낳는다는 것이고
둘째, ‘장소 층화론(place stratification framework)’으로, 주택시장과 금융시장에서 특정집단에 대한 차별적 행위들이 동화에 기반한 거주지 융화를 막음과 동시에 주거지의 차등화를 낳는다는 것이다.
셋째, ‘재기적 민족성론(resurgent ethnicity framework)’으로 비록 사회적 지위 상승과 차별적 행위의 불법화로 거주지 융화가 충분히 가능하나 거주지 선택에 있어 문화적 친밀성의 발로로 집단거주지를 잔존한다는 것이다.
상기 세 가지 주장에 대한 기존 평가는 도시 간 비교 틀에 의존하여 정황적인 증거만을 제공하는데 그쳤으며 도시 내부 거주지분화 변화에 대한 메카니즘을 밝혀내는데 한계를 보였다. 따라서 다양한 학자들에 의해 다양한 방식으로 거주지 분화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외국의 사례에서부터 우리나라의 사례까지 다양한 지역을 연구대상으로 한 논문이 발표되었으며, 데이터 분석을 통한 통계학적 접근까지 연구의 방법도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경제개발이 시작된 이후 상당기간 거주지 분화가 이루어지지 않다가 인구증가, 소득 수준향상, 주거환경에 대한 관심증가, 택지개발에 의한 신흥주택지가 등장하면서 교외화와 더불어 상대적 지위가 높은 사람들의 주거지가 형성되었다. 이후 1990년대 이후 외국인 노동자의 유입에 따른 거주지 분화도 나타나고 있다.
참고 자료
정수열(2008). 인종․민족별 거주지 분화 이론에 대한 고찰과 평가-미국 시카고 아시아인을 사례로-.대한지리학회지 제43권 제4호 2008(511~525)
박세훈․정소양(2010). 외국인 주거지의 공간분포 특성과 정책함의
Su-Yeul Chung, M.A.(2005). INTRA-URBAN SEGREGATION CHANGES : AN EVALUATION OF THREE SEGREGATION FRAMEWORKS WITH A CASE STUDY OF COLUMBUS OHIO MSA, 1990 and 2000.The Ohio State University. ABSTRACT ii
최재헌․강민조(2003).외국인 거주지 분석을 통한 서울시 국제적 부문의 형성. 한국도시지리학회, 6권, 1호
하성규․서준익(1998). 도시성장에 따른 주거지 분화 요인에 관한 연구-울산시를 중심으로-. 한국도시연구소
김은희(1999). 제주시의 거주지 분화의 특수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김천기(2005). 평준화제도의 불평등성 논쟁에 대한 비판적 고찰 -거주지 중심 학교배정을 중심으로-. 교육사회학연구 제15권 제1호
송영철(2002). 관광자의 거주지 특성에 따른 관광행태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