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조혈 성장 인자

조혈 성장 인자( Hematopoietic growth factor )
11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0.06.23 최종저작일 2010.06
11P 미리보기
조혈 성장 인자
  • 미리보기

    소개

    조혈 성장 인자( Hematopoietic growth factor )

    목차

    INTRODUCTION
    본론
    1. 계열특이적 조혈성장인자
    2. 조혈성장인자의 형태와 임상적 사용
    결론

    본문내용

    INTRODUCTION

    조혈 성장인자(Hematopoietic Growth Factor)는 조혈 세포의 성장과 분화 및 성숙세포의 기능조절에 관여하는 당단백 호르몬으로서 최근 유전자 공법에 의해 제조되기 시작하면서부터 임상에 많이 이용되고있는 실정이다, 특히 이들 조혈 성장인자중 Erythropoietin, Granulocyte Colony Stimulating Factor (G-CSF), Granulocyte-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 (GM-CSF), 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M-CSF), Interkeukin-3(IL-3)는 항암요법이나 골수이식으로 인한 이차적인 골수기능의 저하가 있는 경우나 일차적 골수기능의 장애가 있는 질환에 사용하여 좋은 임상결과들이 나오고 있으므로 이러한 조혈 성장인자에 대한 보다 정확한 이해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는 바이다,.

    본론

    1. 계열특이적 조혈성장인자
    모든 조혈세포의 생존과 증식을 위해서는 성장인자가 필요하다. 다능성세포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 중 steel factor, FLT3(Fms-like tyrosine kinase 3) 리간드, GM-CSF(Granulocyte-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IL-2, IL-3, IL-7의 특성이 가장 잘 밝혀졌다. 이러한 단백질 각각은 많은 종류의 표적 세포의 생존과 증식에 도움을 주며, IL-7과 steel factor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 중 어느 하나를 제거하더라도 그 기능의 중복 때문에 거의 문제가 없다.

    1.1. Erythropoietin
    혈액의 Erythropoietin 수치(20mU.ml가 정상)는 조직의 산소공급과 역비례한다 - 빈혈이나 동맥성저산소혈증 (arterial hypoxemia)환자의 경우 Erythropoietin 수치가 20000mU/ml까지증가한다.

    참고자료

    ·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Recommendations for the use of hematopoietic colony-stimulating factors: evidence-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J Clin Oncol. 1994;12:2471-2508.
    · Ozer H, Armitage JO, Bennett CL, et al, for the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Growth Factors Expert Panel, 2000 Update of Recommendations for the Use of Hematopoietic Colony-Stimulating Factors: Evidence-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J Clin Oncol. 2000;18:3558-3585.
    · Rizzo JD, Lichtin AE, Woolf SH, et al. Use of epoetin in patients with cancer: evidence-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of the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and the American Society of Hematology. Blood. 2002;100:2303-2320.
    · Rizzo JD, Lichtin AE, Woolf SH, et al.. Use of epoetin in patients with cancer: evidence-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of the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and the American Society of Hematology. J Clin Oncol. 2002;20:4083-4107.
    · Groopman JE, Molina JM, Scadden DT. Hematopoietic growth factors. Biology and clinical applications. N Engl J Med. 1989;321:1449-1459.
    · Basser RL, O`Flaherty E, Green M, et al. Development of pancytopenia with neutralizing antibodies to thrombopoietin after multicycle chemotherapy supported by megakaryocyte growth and development factor. Blood. 2002;99:2599-2602.
    · Casadevall N, Nataf J, Viron B, et al. Pure red-cell aplasia and antierythropoietin antibodies in patients treated with recombinant erythropoietin. N Engl J Med. 2002;346:469-475.
    · Rebulla P, Finazzi G, Maragnoni F, et al. The threshold for prophylactic platelet transfusion in adults with acute myeloid leukemia. New Engl J Med. 1997;337:1870-1875.
    · Italian Cooperative Study Group for rHuEpo in Myelodysplastic Syndromes.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with subcutaneous recombinant human erythropoietin in patients with low-risk myelodysplastic syndromes. Br J Haematol. 1998;103:1070-1074.
    · Bolwell B. The use of G-CSF and GM-CSF in bone marrow transplantation. Cleve Clin J Med. 1993;60:291-302.
    · Bunworasate U, Arnouk H, Minderman H, et al. Erythropoietin-dependent transformation of myelodysplastic syndrome to acute monoblastic leukemia. Blood. 2001;98:3492-3494.
    · Hilbe W, Nussbaumer W, Bonatti H, Thaler J, Niederwieser D, Nachbaur D. Unusual adverse events following peripheral blood stem cell (PBSC) mobilisation using granulocyte colony stimulating factor (G-CSF) in healthy donors. Bone Marrow Transplantation. 2000;26:811-813.
    · Li J, Yang C, Xia Y, et al. Thrombocytopenia caused by the development of antibodies to thrombopoietin. Blood. 2001;98:3241-3248.
    · Disclaimer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주제가 흥미롭고, 내용이 충실해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감사합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29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