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PTCA

경피적 관상동맥 성형술
9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0.05.10 최종저작일 2009.08
9P 미리보기
PTCA
  • 미리보기

    소개

    경피적 관상동맥 성형술

    목차

    관상동맥 풍선 성형술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 후 재협착

    풍선 도자 이외의 경피적 관상동맥중재술

    관상동맥 스텐트

    죽종제거술

    참고문헌

    본문내용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시술(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은 동맥경화에 의한 관상동맥의 협착병변을 치료하는 재개통술의 하나로 그 위치를 확립하여 세계적으로 연간 백만명, 국내에서도 연간 만명이상의 환자들에게 실시되고 있으나, 소아 영역에서는 Kawasaki병과 같은 관상동맥의 염증성 병변 중 협착병변에서 드물게 실시할 수 있다. 1977년 Andreas Gruentzig에 의해 처음 시술 된 관상동맥 풍선성형술을 시작으로 지난 20여년간 기술의 축적과 아울러 장비, 보조적 약물요법, 새로운 중재적 방법의 개발 등으로 최근에는 불안정성 협심증, 급성 심근경색, 좌심실기능저하, 다혈관 병변, 복잡한 형태의 협착, 관상동맥 우회술 후의 이식혈관, 급성 심근경색에 의한 심인성 쇽크 (cardiogenic shock) 등에서도 실시하여 그 시술의 범위가 확대되어 적용되고 있다.

    관상동맥 풍선 성형술
    최초의 경피적 관상동맥성형술은 풍선 도자만을 이용한 초창기는 풍선도자 원위부에 유도 철선이 부착되어 있는 형태로 관상동맥 분지에 선택적으로 풍선도자를 위치시키기 어려우며 관상동맥에 손상을 많이 줄 수 있는 형태이었다. 최근 사용하는 도자는 풍선과 유도철선이 분리되어 있는 형태로 관상동맥 기시부에 삽관된 유도 도자 내로 유도 철선을 먼저 삽입하여 관상동맥 병변을 통과하여 원위부까지 넣어 놓고 이 철선 위로 풍선도자를 진입시켜 병변 중앙에 풍선이 도달하면 풍선을 확장시키는 방법을 이용한다.
    원위부에서 근위부까지 풍선 도자의 중앙에 구멍이 있어 유도철선 위를 풍선도자 전체가 타고 가는 ‘over-the-wire` 풍선 도자가 있고, 풍선 도자의 전단 일부분만 유도 철선이 삽입되는 형태인 `monorail` 형태의 도자가 있고 후자가 풍선 도자를 교체하기 용이하므로 더 많이 사용된다.

    참고자료

    · 1. Min JH, Huh J, Kim YW, Kim HS, Noh CI, Choi, JY, Yun YS, Lee MM. 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 in a Child with Kawasaki Disease. J Korean Med Sci. 1998;13:693-5.
    · 2. ACC/AHA task force on practice guideline. ACC/AHA guidelines for the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revision of the 1993 PTCA guidelines) JACC 2001;37(8):1-24.
    · 3. Baim DS, Coronary Angioplasty. In: Baim DS, Grossman W, editors. Cardiac Catheterization, Angiography, and Intervention. Baltimore: Williams & Wilkins; 1996. p.537-658.
    · 4. Baim DS, Percutaneous coronary revascularization. In: Braunwald E, Fauci AS, Kasper DL, Hauser SL, Longo DL, Jameson JL editors.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15th ed. New York: McGraw Hill; 2001. p.1410-4.
    · 5. Chae IH, Lee MM, Oh SI, Kim SH, Oh BH, Park YB, Lee YW. Intracoronary beta radiation therapy with 188Re-DTPA-filled balloon system. In: Lewis BS, Halon DA, Flugelman MY, Touboul P editors. Coronary artery disease; prevention to intervention. Bologna: Monduzzi Editore; 2000. p.705-8.
    · 6. Holmes DRJ. Balloon angioplasty and provisional stenting. In: Ellis SG, Holmes DRJ editors. Strategic approaches in coronary intervention. 2nd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0. p.3-7.
    · 7. Lincoff AM, Topol EJ. Interventional catheterization techniques. In: Braunwald E editor. Heart disease; A textbook of cardiovascular medicine. 5th ed. Philadelphia: W.B. Saunders; 1997. p.1366-84.
    · 8. Safian RD, Freed M. Coronary intervention: preparation, equipment & technique. In: Freed M, Grines C, Safian RD editors. The new manual of interventional cardiology. Birmingham: Physicians` Press; 1996. p.1-64.
  • 자료후기

    Ai 리뷰
    판매자가 제공한 자료는 체계적인 구성으로 되어 있어 복잡한 내용을 과제에 쉽게 활용 할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좋은 자료들이 많이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9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