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묘의악기
종묘제례악은 조선왕조 역대 임금과 왕후의 신위(神位)를 모시신 종묘에 제사를 드릴때 연주하는 기악. 노래. 무용의 총칭으로 ‘종묘악’ 이라고도 한다.
종묘제례
종묘제례 때에는 절차에따라 두개의 악단이 음악을 연주한다.
즉 정전 앞 계단위 상월대에서 노랫말이 없는 음악을 연주하는 악단은 등가라고 하고 계단 아래 뜰 하월대에서 노랫말있는 음악을 연주하는 악단은 헌가라고 부르는데 악기편성은 시기에 따라 조금씩변화를 보이며 현재에 이르고 있다.
등가의악기편성
조선전기 – 박, 특경, 어, 방향, 축 특종, 당비파, 대쟁, 가야금, 피리, 거문고, 아쟁, 향비파, 월금, 대금, 퉁소, 당피리, 해금, 지, 생, 장고, 절고, 훈, 화, 편경, 편종, 휘, 조촉
조선후기 – 박, 휘, 아쟁, 대금, 당피리, 방향, 편경, 절고, 장고, 편종, 축
현재 – 박, 휘, 해금, 대금, 아쟁, 어, 방향, 편경, 절고, 피리, 장고, 편종, 축
헌가의악기편성
조선전기 – 노도, 노고, 편종, 박, 편경, 어, 축, 월금, 가야금, 당비파, 방향, 거문고, 향비파, 태평소, 피리, 장고, 해금, 훈, 지, 관, 화, 우, 퉁소, 당적, 교방고, 생, 소금, 중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