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광언, 한국의 주거민속지, 민음사, 1988.
· 김용욱, 여자란 무엇인가, 통나무, 1989.
· 김인희, 한국무속사상연구, 집문당, 1987.
· 김태곤, 한국무속연구, 집문당, 1982.
· 김태곤, 한국의 무속신화, 집문당, 1985.
· 신영훈, 한국의 살림집, 열화당, 1983.
· 이규태, 우리의 집 이야기, 기린원, 1991.
· 이은봉, 한국고대종교사상, 집문당, 1984.
· 장보웅, 한국의 민가연구, 보진재, 1981.
· 주남철, 한국의 전통민가, 아르케, 1999.
· 최길성, 한국민간신앙의 연구, 계명대출판부, 1989.
· 현용준, 무속신화와 문헌신화, 집문당, 1992.
· C. N. Schultz, 실존․공간․건축, 김광현 역, 태림문화사, 1985.
· Eliade M, Myth and Reality, Harper & Row, 1968.
· M. Eliade, 성과 속, 이동하 역, 학민사, 1991.
· O. F. Bollnow, 현대철학의 전망, 이규호 역, 범문사, 1967.
· Schultz C.N, The Concept of Dwelling, 이재훈 역, 태림문화사, 1991.
· 김병기, 한국전통주거건축에 표출된 민간신앙의 영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대학원 석사논문, 1987.
· 남호현, 한국전통주거의 신성공간에 관한 연구, 홍익대대학원 석사논문, 1987.
· 이정임, 전통주거건축 환경의 장소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대학원 석사논문, 1987
· 정영철, 제주도 전통민가의 공간적 특징 및 의미에 관한 연구, 한양대대학원 박사논문, 1991.
· 주영애, 조선조 상류주택의 살림공간에 관한 생활문화적 고찰, 성신여대대학원 박사논문, 1992.
· 최병우, 한국전통건축의 주거공간에 관한 연구, 영남대대학원 석사논문, 1983.
· National Folk Museum, 민속학연구, 제6호, 1999.
· 김란기, 마루의 공간적 의미, 건축과 환경, 87.1.
· 배도식, 한국민속학18-한국의 이사풍속, 민속학회, 1985.
· 손세관, 세계의 집- 토루, 현대산업개발, 2000.9.
· 최인학, 제의와 여성, 한일비교민속심포지엄, 19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