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수로사업지원단, 대북경수로사업(서울: 경수로사업지원단, 2002)
· 고유환, “북핵․미사일 등 포기로 경제재건해야 남북관계 복원돼”, 북한, 2002년 11월호 (북한연구소)
· 국방부, 국방백서 2000(서울 : 국방부, 2000)
· 국방부, 대량살상무기 문답백과 : 화․생․방․미사일 얼마나 알고 게십니까?(서울 : 국 방부, 2000)
· 김일성,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에서의 사회주의 건설과 남조선 혁명에 대하여(평양: 조 선로동당출판사, 1965)
· 김일수, 이정우 역, 미국의 핵정책과 새로운 핵보유국(서울: 한울, 1997).
· 金昌順, “북한의 핵개발 파문과 충격, 그 內意를 만추 判讀하다”,「북한」2002년 11월호 (북한연구소)
· 류재갑, “미북 적대관계, 결자해지 원칙 따라 북이 풀어야”,「북한」2002년 11월호(북한연구소)
· 박봉식, “1994년 핵체제 유지속에 대화재개를 희망”, 북한, 2003년 2월호(북 한연구소).
· 朴昇植, “政策硏究의 解冤相生的 接近”,「大巡思想論叢」第4輯(경기 포천: 大眞大學校 大 巡思想學術院,1998)
· 朴昇植, “南北關係의 大巡思想的 接近”,「大巡思想論叢」第12輯(경기 포천: 大眞大學校 大 巡思想學術院,2001)
· 박영규, 한반도 군비통제의 재조명 : 문제점과 개선방향(서울: 통일연구원, 2000)
· 박한규, “일본의 핵선택,” 국가전략, 제8권 4호(2002년 겨울, 세종연구소)
· 박형중, 북한의 변화능력과 방향, 속도와 동태(서울: 통일연구원, 2001)
· 서주석, “북한 핵파문 이후 북․미관계 전방”,「국가전략」제8권 4호(2002년 가을, 세종연구소)
· 楊茂木, “對北包容政策의 평가와 개선방향”,「大眞論叢」第9輯(大眞大學校, 2002)
· 양성철, 이용필, 북한체제변화와 협상전략(서울: 搏英社, 1996)
· 연합뉴스, 2002북한연감(서울: 주식회사 연합뉴스, 2001)
· 柳錫烈, 北韓의 體制危機와 韓半島統一(서울: 博英社, 1997)
· 李基鐸, 한반도 統一과 國際政治(서울: 삼영, 1991)
· 이기택, “핵무기보유 기정사실화로 대미접근”, 북한, 2003년 2월호(북한연구소)
· 이동복, “북의 핵무기 보유 절대 불용”, 북한2003년 2월호(북한연구소).
· 이상준 외 5인, 남북한 새로운 교류․협력기반의 단계적 구축방안 연구(서울: 국토연 구원, 2002)
· 이상현, “미국의 핵태세검토보고서와 한반도 안보”,「정세와 정책」2002-04 (경기 성 남: 세종연구소, 2002)
· 이서항, “주요국의 핵전략 연구”, 정책연구시리즈, 2001-6(외교안보연구원).
· 이은철, “북 핵무기 보유는 시간문제”, 북한2003년 2월호(북한연구소).
· 이정훈, “제2차 북핵 위기 A to Z 사면초가에 몰린 북한의 마지막 승부수”,「신동 아」2002년 12월호(동아일보사)
· 이춘근, “햇볕정책과 국제정치이론”, 통일문제연구협의회, 대북포용정책과 한반도 평화체 제의 모색(서울 : 통일문제연구협의회, 1999).
· 정경환, “김대중 정부 대북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향”,「21세기 정치학회보」제9집 2호 (부산: 21세기 정치학회, 1999)
· 통일부, 2002통일백서(서울: 통일부, 2002)
· 통일부, 대북화해협력정책 추진과 최근 북한 변화(서울: 통일부, 2002)
· 통일부, 대북정책 추진 현황(서울: 통일부, 2002)
· 홍성표, “동족 볼모 삼는 북의 화생방 무기 제거해야”,「북한」2002년 11월호(서울: 북한 연구소)
· 홍성표, “북한의 우라늄 핵무기의 위협성 증가”, 북한, 2003년 2월호(서울: 북한연구소).
· 황병덕, 부시 행정부의 대북정책과 한국의 대북정책 추진방향(서울: 통일연구원, 2002)
· 동아일보
· 세계일보
· 조선일보
· 중앙일보
· 로동신문
· 북한중앙방송
· 북한중앙통신
· http://www.unikorea.go.kr
· http://www.whitehouse.gov/nws/releass/2002/10/20021017.html#6
· Birkland, Thomas A., An Introduction to the Policy Process: Theories, Concepts, and Models of Public Policy Making(New York: M.E.Sharpe, 2001)
· Blackwill, Robert D., and Albert Carnesale, (eds), New Nuclear Nations: Consequences for U.S. Policy(New York: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Press, 1993).
· Haley, P. Edward, “Nuclear Proliferation”, Mary Hawkesworth and Maurice Kogan, Encyclopedia of Government and Politics, Vol.2(London: Routledge, 1992)
· Kaplan, F., The Wizards of Armageddon(New York: Simon & Schuster, 1983)
· Kegley, Charles W.Jr. and Eugene R. Wittkopf, World Politics:Trend and Transfor mation (7th. ed.: New York: St. Martin`s, 1999)
· Kissinger, Henry A., “The Emerging Structure of International Politics”, International Security, Vol. 18, No. 2(Fall, 1993)
· McNamara, R., Blundering into Disaster(London : Bloosmbury, 1987)
· Salamon, Lester M.,and Michael Lund, “The Tools Approach: Basic Analytics”, Lester M. Salamon(ed), Beyond Privatization: The Tools of Government Action (Washington, D.C.: Urban Institute Press, 1989).
· Schilling, W., “Technology and International Relations",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he Social Sciences, Vol.15(Nwe York: Macmillan, 1968)
· Spector,L. S., Nuclear Proliferation Today(New York: Vintage, 1984)
· Wohlstetter, A., “NATO and the N+1 Country”, Foreign Affairs 3 (19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