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Wnt 신호전달과 관절질환

관절질환은 크게 Rheumatoid arthritis와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동반되는 퇴행성 질환인 Osteoarthritis로 구분된다. 이러한 관절질환은 직접적으로 생명에 지장이 되는 질환은 아니지만 일상 생활에 있어 지장을 주는 질환이며, 많은 환자들이 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받는 질환들이다. 관절염 치료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Wnt신호전달이 이들 관절염에 관여한다는 연구결과들이 꾸준히 발표되고 있다.
30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0.01.12 최종저작일 2008.11
30P 미리보기
Wnt 신호전달과 관절질환
  • 미리보기

    소개

    관절질환은 크게 Rheumatoid arthritis와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동반되는 퇴행성 질환인 Osteoarthritis로 구분된다. 이러한 관절질환은 직접적으로 생명에 지장이 되는 질환은 아니지만 일상 생활에 있어 지장을 주는 질환이며, 많은 환자들이 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받는 질환들이다. 관절염 치료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Wnt신호전달이 이들 관절염에 관여한다는 연구결과들이 꾸준히 발표되고 있다.

    목차

    Abstract

    서론

    Wnt signaling의 연구동향

    Overview:
    Wnt signaling component and pathways

    Canonical Wnt signaling pathway

    Non-canonical Wnt signaling pathway

    Wnt signaling and Joint disease

    Degeneration of cartilage

    Wnt signaling involved in cartilage degeneration
    RA pathogenesis
    Wnt signaling and RA
    OA pathogenesis
    Wnt signaling an OA

    결론 및 고찰

    참고문헌

    본문내용

    Wnt는 당단백질 중 하나로써 중요한 cell regulation 과정에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Wnt protein을 통해 이루어지는 Wnt signaling은 cell differentiation, prolifration, cell death, cell development, growth regulation, cellular movement, homeostasis 등 animal cell regulation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여러 가지 regulation 과정에 관여하는 Wnt signaling 조절과정에 있어서 문제가 생길 경우, 여러 가지 질병의 pathogenesis로써 작용할 수있다. Joint를 이루는 주요한 요소들인 chondrocyte, synovial membrane, synoviocyte의 regulation에 Wnt signaling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연구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표적인 Joint disease들에 대해서 Wnt signaling이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두어 지금까지 들의 연구결과들을 정리,
    고찰 해보고자한다.



    결론 및 고찰
    지금까지 Wnt signaling이 cartilage와 관련된 질병에 직접적인 원인이 된다는 증거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cartilage tissue regulation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연구결과는 꾸준히 축적되고 있다. 이 중 일부는 직접적인 pathogenesis와 관련해서 중효한 effertor로써 작용한다는 증거로써 제시되기도 한다. 이미 Wnt signaling은 많은 다른 animal cell regulation과 catrilage tissue의 regulation에 중요한 요소로써 관여함이 밝혀진 상태이며, Wnt signaling이 cartilage disease의 중요한 pathogenesis로써 작용한다고 하여도 놀랄 일이 아닐

    참고자료

    · 참고문헌
    · (1)Eek-Hoon Jho, 2005, Wnt 신호전달- 최근의 연구 동향 및 질병과의 연관성,
    · 대한내분비학회지, Vol. 20 No. 4, pp. 306-318
    · (2)Francesco Dell’Accio, Cosimo De Bari, Noha M. Eltawil, Paul Vanhummelen,
    · and Costantino Pitzalis, 2008, Identification of the Molecular Response of
    · Articular Cartilage to Injury by Microarray Screening, Arthritis and
    · Rheumatism, Vol. 58, No. 5, pp. 1410–1421
    · (3)Hecht A, Vleminckx K, Stemmler MP, van Roy F and Kemler R, 2000,
    · The p300/CBP cetyltransferases function as transcriptional coactivators of
    · beta-catenin in vertebrates, Embo J, Vol. 19, pp. 1839-1850
    · (4)Jang-Soo Chun, Hwanhee Oh, Siyoung Yang and Meeyoung Park, 2008,
    · Wnt signaling in cartilage development and degeneration, BMB reports
    · (5)Jinyong Luo, Jin Chen, Zhong-Liang Deng, Xiaoji Luo, Wen-Xin Song, Katie
    · A Sharff, Ni Tang, Rex C Haydon, Hue H Luu and Tong-Chuan He, 2007,
    · Wnt signaling and human diseases, Laboratory Investigation, Vol. 87, pp. 97-
    · 103
    · (6)K. Polzer, J. Zwerina and Georg Schett, 2008, Inflammation and destruction
    · of the joints - The Wnt pathway, Joint Bone Spine, Vol. 75, pp. 105-107
    · (7)Karen E. Yates, Sonta Shortkroff, and Rochard G. Reish, 2005, Wnt Influence
    · on Chondrocyte Differentiation and Cartilage Function, Dna and Cell
    · Biology, Vol. 24, pp. 446-457
    · (8)Wantae Kim, Boksik Cha and Eekhoon Jho, 2007, Wnt 신호 전달 연구의 최신 지
    · 견, 발생과 생식, Vol. 11, No. 4, pp. 141-153
    · (9)M. Sen, 2005, Wnt signaling in rheumatoid arthritis, Rheumatology, Vol. 44,
    · pp. 708-713
    · (10)Malini Sen, Kevin Lauterbach, Hani El-gabawy, Gary S. Firestine, Maripat
    · corr, and Dennis A. Carson, 1999, Expression and function of wingless and
    · frizzled homologous in rheumatoid arthritis, PNAS, Vol. 97, No. 6, pp.
    · 2791-2796
    · (11)Mark L. Johnson and Nalini Rajamannan, 2006, Diseases of Wnt signaling,
    · Rev Endocr Metab Disord, Vol. 7, pp. 41-49
    · (12)Mark L. Jhonson and Mohamed A. Kamel, 2007, The wnt signaling pathway
    · and bone metabolism, Current Opinion in Rehumatology, Vol. 19, pp. 376-382
    · (13)Mary B. Goldring and Steven R. Goldring, 2007, Osteoarthritis, Journal
    · of Cellular Physiology, Vol. 213, pp. 626-634
    · (14)Mary B. Goldring, Kaneyuki Tsuchimochi, and Kosei Ijiri, 2006, The Control
    · of Chondrogenesis, Journal of Cellular Biochemistry, Vol. 97, pp. 33–44
    · (15)Miki Shitashige, Setsuo Hirohashi and Tesshi Yamada1, 2007, Wnt
    · signaling inside the nucleus, Chemotherapy Division and Cancer Proteomics
    · Project,
    · (16)Sang-Gu Hwang, Sung-Sook Yu, Soo-Woong Lee and Jang-Soo Chun,
    · 2005, Wnt-3a regulates chondrocyte differentiation via c-Jun/AP-1 pathway,
    · FEBS Letters, Vol. 579, pp. 4837–4842
    · (17)Tago K, Nakamura T, Nishita M, Hyodo J, Nagai S, Murata Y, Adachi
    · S, Ohwada S, Morishita Y, Shibuya H and Akiyama T, 2000, Inhibition of Wnt
    · signaling by ICAT, a novel beta-catenin- interacting protein, Genes Dev,
    · Vol. 14, pp. 1741-1749
    · (18)Takemaru KI and Moon RT, 2000, The transcriptional coactivator CBP
    · interacts with beta-catenin to activate gene expression, J Cell Biol, Vol.
    · 14, pp.249-254
    · National Cancer Center Research Institute, 5-1-1 , Tokyo 104-0045, Japan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콘텐츠는 다양한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고 있어 지루할 틈이 없습니다. 매번 새로운 인사이트를 제공해 주어 학습이 즐거워지고 있습니다. 학습 후 실제로 과제나 레포트에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용할 예정입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09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