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제기
4.19운동이 촉발될 당시 학생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에 분노하고 일어났다. 첫째로 이승만 정권의 장기집권이다. 약 12년간 집권한 이승만 정권은 계속해서 집권하기 위해 다양한 수단으로 권력을 오용하고 남용했다. 이러한 모습들이 학생들에게 좋은 모습으로 비쳤을 리 없다. 둘째로 3.15부정 선거이다. 이는 4.19운동이 일어나게 된 가장 큰 원인이라고 볼 수 있다. 집권당이었던 자유당은 민주당이 폭로(1960년 3월 3일)한 바와 같이 4할 사전 투표, 3인조, 5인조 투표, 유권자 명부 조작, 완장 부대를 동원한 위협, 투표함 바꿔치기, 투표함 소각 등의 부정한 일들을 저질렀다. 셋째로 여러 모양으로 나타난 탄압의 모습들이다. 부정선거에 대한 의혹들과 폭로가 이어지자, 이승만 정권은 언론과 야당은 물론 사회운동과 학원을 억압하고 탄압하기 시작했다. 심지어는 이데올로기를 운운하며 여론을 분열시켰다. 이와 같은 일들은 학생들이 더 이상 참을 수 없이 거리로 뛰쳐나오게 만들었다. 이 세 가지는 학생들이 문제를 인식하게 된 계기가 된다.
4.19운동은 이승만 정권에 대한 단순한 불만이 그 계기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4.19운동의 시종이 ‘이승만 타도’라는 구호로 일관되었음을 볼 수 있다. 당시에는 시위를 지휘하는 핵심적인 세력이 존재했던 것도 아니다. 조직적인 모습 혹은 체계적인 모습을 갖추기보다 다분히 자연발생적이라고 볼 수 있다. 이는 당시 한국 사회의 시기적 특수성과 맞물려 있다. 1950년 한국전쟁의 발 발과 휴전, 한반도 내의 냉전체제 팽배, 그리고 미국의 전폭적이고 무제한적인 지원은 이승만 정권을 비롯한 국내의 주도세력(신흥자본가, 관료, 구식민지 계급)이 손쉽게 국가권력을 잡을 수 있었다. 이러한 요인들로 국내의 계급구조는 선진국들이 제시한 이상적인 모델과는 동떨어진 모습을 가지게 되었다. 다음 내용이 이를 잘 표현해준다.
· 강성률, 「월드컵 광장의 그 많던 대학생은 어디로 갔나」, (주)민족21, 민족21 2008년 6월호 (통권 제87호), 2008. 6, pp. 152 ~ 153 (2pages)
· 김고종호, 「책으로 읽는 이명박 정부 1년」, 우리교육(중등), 중등우리교육 2009년 1월호(통권 제227호), 2009. 1, pp. 140 ~ 145 (6pages)
· 김동춘, 「해방후 학생운동의 민족사적 위치 민족민주운동으로서의 4·19시기 학생운동」, 역사 비평사, 역사비평 1988년 여름호(통권 3호), 31 ~ 48 (18pages)
· 김상준, 「대한민국 민주주의 60년을 보는 시각」, 한국사회학회, 한국사회학회 심포지움 논문집 2008년 한국사회학회 건국 60주년 기념 특별 심포지엄(3), 2008. 10, pp. 7 ~ 31 (25pages)
· 김인걸 외, 『한국 현대사 강의』, 돌배게, 1999
· 김철규, 김선업, 이철,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 촛불집회 참여 10대의 사회적 특징」, 한국산업사회학회, 경제와사회 통권 제80호, 2008. 12, pp. 40 ~ 67 (28pages)
· 박현채, 『청년을 위한 한국 현대사; 1945-1991 고난과 희망의 민족사』, 소나무, 1992
· 서중석,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한국 현대사』, 웅진지식하우스, 2005
· 손호철, 「이명박정부의 속도전과 진보진영의 대응」, 진보평론, 진보평론 2009년 봄 (제39호), 2009. 3, pp. 163 ~ 182 (20pages)
· 이광일, 「신자유주의시대 민주주의 위기의 근원과 대안」, 문학과경계사, 문학과경계 2006년 봄호(통권20호), 2006. 3, pp. 107 ~ 126 (20pages)
· 이동연, 「촛불집회와 스타일의 정치」, 문화과학사, 문화과학 문화/과학 2008년 가을호 (통권 55호), 2008. 9, pp. 150 ~ 167 (18pages)
· 이득재, 「촛불집회의 주체는 누구인가」, 문화과학사, 문화과학 문화/과학 2008년 가을호 (통권55호), 2008. 9, pp. 90 ~ 109 (20pages)
· 이해진, 「촛불집회 10대 참여자들의 참여경험과 주체형성」, 한국산업사회학회, 경제와사회 통권 제80호, 2008. 12, pp. 68 ~ 108 (41pages)
· 이현우, 정치 참여 유형으로서의 촛불집회」, 한국국제정치학회, 한국국제정치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08 건국 60주년 기념 공동학술회의 자유공모패널 1, 2008. 8, pp. 7 ~ 26 (20pages)
· 정태석, 「광우병 반대 촛불집회에서 사회구조적 변화읽기」, 한국산업사회학회, 경제와사회 통권 제81호, 2009. 3, pp. 251 ~ 272 (22pages)
· 채장수, 「촛불집회에 대한 보수진영의 대응담론」, 한국정치학회, 한국정치학회보 제43집 제1호, 2009. 3, pp. 129 ~ 150 (22pages)
· 홍성태, 「촛불집회와 민주주의」, 한국산업사회학회, 경제와사회 통권 제80호, 2008. 12, pp.10 ~ 39 (30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