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고려 초기의 來投漢人과 政勢의 變動

졸업논문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작성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린 글로, 주제도 독특하다는 평을 받았습니다. 많은 도움이 됐으면 합니다.
22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9.06.01 최종저작일 2009.03
22P 미리보기
고려 초기의 來投漢人과 政勢의 變動
  • 미리보기

    소개

    졸업논문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작성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린 글로, 주제도 독특하다는 평을 받았습니다. 많은 도움이 됐으면 합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고려 초기의 漢人 來投
    1. 내투의 배경
    2. 내투의 실태
    3. 고려의 對來投漢人 政策

    Ⅲ. 來投漢人의 정치적 역할과 政勢의 변동
    1. 내투한인의 정치적 역할과 국내의 반응
    2. 광종대의 政勢와 그 변화
    1) 오조정적평과 광종의 즉위
    2) 광종대의 개혁정치
    3. 경종대의 反動

    Ⅳ.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머리말

    ‘오백년 고려(高麗) 역사’를 되돌아보면, 이 시기에 많은 내투인(來投人)들이 존재하였음을 볼 수 있다. 이 시기 고려 주변에서는 당 제국이 무너지고, ‘오대십국(五代十國)’이 난립하고 있었으며, 이를 틈타 흥기한 거란이 주변을 압박하고 있었다. 그리고 같은 시기, 한반도 역시 ‘후삼국’을 통일하며, 고려가 나타났다.
    필자의 논문은 이러한 고려 초기의 역사 속에서 내투한인(來投漢人)들의 모습을 확인하고, 이들이 국내로 들어오게 된 배경과 이들을 이 땅에 머무르게 한 요소들 그리고 이들의 역할과 이들이 고려사회에 미친 영향을, 고려 초의 뚜렷한 ‘획기(劃期)’인 광종(光宗)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 시기의 내투한인들과 기존의 집권세력간의 관계를 통해 당시의 정세 변동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기존의 연구 성과에 대해 살펴보면, 본 논문의 주제와 관련해 크게 세 가지 줄기를 쫓아가 보았다. 먼저, 고려 초기 내투한인에 관한 연구를 살펴 본 뒤, 고려 초기의 정치주도세력 등의 정세 변동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이 시기의 정세 변동은 물론 이에 대한 당대인의 평가를 볼 수 있는, 최승로(崔承老)의 상서문을 살펴보았다.
    먼저 고려 초기 내투한인에 관한 연구는, 내투행위에 대한 개념이 정리되면서 시작되었다
    이후 개별민족들이 각기 그 대상이 되었는데,이 경우 그 대상이 특정시기에 한정되어 있지 않고, 전기(前期) 또는 고려사 전체를 통틀어 살펴보는 경우가 주를 이뤘다. 또, 한계(漢系) 뿐 아니라 거란 ․ 여진 등 고려 주변의 제 민족 모두가 그 대상으로 확대되었다. 그리고 이들의 내투계기와 거주지, 그들의 역할과 고려의 동화책 등의 연구가 보충되었고 이후 고려 전 시대(全 時代)의 제민족의 내투를 종합한 연구 성과가 나오기도 하였다. 그리고 이에 대한 연구는 최근까지 고려 주변의 다양한 민족과 고려 전 시기를 아우르며, 내투인들에 관련된 제 문제에 대해 지속적으로 보충되고 있다.

    참고자료

    ·  사료
    · 《高麗史》
    · 《高麗史節要》
    · 《宋史》
    ·  연구논저
    · 1) 저서
    · 강희웅, 〈고려초 과거제 도입에 관한 소고〉,《韓國의 傳統과 變遷》, 高麗大學校出版部, 1973.
    · 김갑동, <왕권의 확립과정과 호족>《한국사 12; 고려왕조의 성립과 발전》, 국사편찬위원회, 1993.
    · 김용선, 《高麗墓誌銘集成(第三版》,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01.
    · 김철준, 〈崔承老의 時務二十八條〉, 《韓國史學史硏究》,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 김위현, 《高麗時代 對外關係史 硏究》, 景仁文化社, 2004.
    · , 〈高麗의 宋遼金人 投歸者에 관한 수용책〉, 《요금사연구》, 유풍출판사, 1985.
    · 박옥걸, 《高麗時代의 歸化人硏究》, 국학자료원, 1996.
    · 이기백, 《高麗光宗硏究》, 일조각, 1981.
    · 박경안, 〈다원적 국제관계와 국가 ․ 문화 귀속감〉, 《고려시대 사람들의 삶과 생각》, 2007.
    · 하현강, 《한국 중세사 연구》, 일조각, 1988.
    · 한국사연구회,《새로운 한국사 길잡이 : 한국사연구입문上》, 지식산업사, 2008.
    · pp.197-222p., pp.279-291p.
    · 황선영, 《나말여초 정치제도사 연구》, 국학자료원, 2002.
    · 2) 논문
    · (1) 학위논문
    · 권혁진, 〈高麗 前期 漢文學 硏究 -유교적 문명의식을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05.
    · 박옥걸, 〈高麗時代의 歸化人硏究〉,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1988.
    · , 〈高麗時代 歸化 漢人에 관한 硏究〉, 동 대학원 석사논문, 1982.
    · 신정원, 〈崔承老의 時務策 硏究〉.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1987.
    · 윤성재, 〈高麗 光宗代 改革政治와 政治勢力〉, 숙명여대 대학원 석사논문, 2000.
    · 채희숙, 〈高麗 光宗의 科擧制 실시와 崔承老〉,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1999.
    · (2) 연구논문
    · 권태원, 〈高麗初期社會에 미친 歸化人의 影響에 관한 小考〉, 《忠南大學人文科學論文集》제 Ⅷ권 제2호, 1981.
    · 권혁진, 〈高麗前期에서 中國 文明 수용과 歸化漢人의 역할〉, 《中國文學硏究》32, 2006.
    · 김대식, 〈高麗 光宗代의 對外關係〉,《史林》29, 2008.
    · 김두진, 〈高麗 光宗代의 專制王權과 豪族〉, 《韓國學報》 5, 1979.
    · 김용선, 〈光宗-改革의 挫折과 繼承-〉, 《한국사 시민 강좌》13, 1993.
    · 김해석, 〈高麗初期 利川徐氏 가문의 성장과 동향〉, 《靑藍史學》13, 2006.
    · 남인국, 〈高麗前期의 歸化人과 그 同化政策〉《歷史敎育論集》8. 1986.
    · 노용필, 〈高麗 景宗初 改革政治와 그 推進勢力〉, 《震檀學報》91, 2001.
    · 박옥걸, 〈高麗의 歸化人 同化策- 특히 居住地와 高麗 姓氏의 貫鄕을 중심으로〉, 《江原史學》17·18, 2002.
    · , 〈高麗來航 宋商人과 麗·宋의 貿易政策〉, 《大東文化硏究》32, 1997.
    · , 〈고려시대 귀화인의 기술ㆍ문화적 역할과 영향〉, 《白山學報》70, 2004.
    · 이기백, 〈高麗初期에 있어서의 五代와의 關係〉, 《韓國文化硏究院論叢》1, 1959.
    · , 〈최승로의 유교적 이상국가〉, 《한국사 시민 강좌》40, 2002.
    ·  참고사이트
    · KRpia http://www.krpia.co.kr/
    · 한국고전번역원 http://www.itkc.or.kr/
    · 한국 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 http://gsm.nricp.go.kr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제공한 자료는 전문 지식를 바탕으로 한 내용이 많아, 과제에 쉽게 적용할 수 있었습니다.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