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단행본
· 김교제 외,『한국신소설선집』, 서울대학교출판부, 2003.
· 김병학,『한국 개화기 문학과 기독교』, 도서출판 역락, 2004.
· 김철, 『바로잡은 『무정』』, (주)문학동네, 2003.
· 민경배,『한국교회발전사』, 대한기독교출판사, 1987.
· 유영렬, 윤정란,『19세기말 서양선교사와 한국사회』, 경인출판사, 2004.
· 이길연,『한국 근․현대 기독교 문학 연구』, 국학자료원, 2001.
· 이상설,『한국 기독교 소설사』, 양문각, 1999.
· 2) 논문
· 강휘원,「기독교의 정교분리 사상 -성서시대부터 계몽주의사상까지」,『신학사상』, 한국신학연구소, 2007.
· 강명숙,「1920년대 초 한국 개신교에 대한 사회의 비판」,『한국 기독교와 역사』,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1996.
· 국제가톨릭성서공회,『해설판 공동번역성서 -대(大) 신구약합본 색인(지퍼식성경, 금박)』, 일과놀이, 1996.
· 김권정,「초기 한국기독교의 ‘정교분리’ 문제와 사회참여」,『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식』,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7.
· 김영일,「이광수의 한국기독교비판」,『기독교사상』, 대한기독교서회, 1979.
· 김종서,「개화기 사회문화 변동과 종교인식」, 한국학술진흥재단, 1999,
· 권보드래,「신소설에 나타난 기독교의 의미 -<금수회의록>, <경세종>을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회, 1998.
· 류대영,「개신교에 대한 개화기 지식인들의 태도와 근대성 문제」,『종교문화비평』 특집논문, 한국종교문화연구소, 2003.
· 박해남,「대한제국기 개신교 윤리의 형성과 성격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 신광철,「이광수의 기독교 비평에 대한 연구」,『한국기독교와역사』제17호,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002.
· 신춘자,「新小說과 基督敎 -「聖山明鏡」과「뿌린 씨」와「無情」을 중심으로 -」, 새국어교육 제52권 단일호, 한국국어교육학회, 1987.
· 이승원,「20세기 초 위생담론과 근대적 신체의 탄생」, 문학과경계, 2001,
· 이재춘,「신소설에 나타난 기독교사상」, 한민족어문학 제9권, 한민족어문학회, 1982,
· 임선애,「新小說에 나타난 미국에 대한 인식 연구 -이인직과 이해조의 소설을 중심으로」,『한국사상과 문화』35권, 한국사상문화학회, 2006.
· 임희숙,「개화기 한국 여성교육과 개신교 -1876년부터 1910년까지」,『신학사상』통권 제124호, 韓國神學硏究所, 2004.
· 장석만,「‘근대문명’이라는 이름의 개신교」, 역사비평 46, 역사비평사, 1999,
· 정재영,「근대화와 한국 개신교 -세속화론을 중심으로」, 東洋社會思想學會, 2008.
· 차현숙,「춘원의 장편소설에 수용된 기독교 사상 연구 : 무정, 재생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 한규무,「개화기 종교운동과 근대화 -‘삶의 질’ 향상과 관련하여」,『동양학』 37권,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2005.
· 한승옥,「『무정』에 나타난 기독교의 표층구조와 심층구조」,『문학과 종교』 제12권 2호,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