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어독문] 괴테의 빌헬름 마이스터에 나타난 교육
- 최초 등록일
- 2001.12.16
- 최종 저작일
- 2001.12
- 2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Ⅰ. 서론
Ⅱ. 고전주의 교육
1. 시대적배경
2. 교육의 특징
3. 교육사상가
Ⅲ. 작품에 나타난 교육과 체념
1. 펠릭스와 교육주
2. 작품에 나타난 교육
Ⅳ.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빌헬름은 교육주로 가서 아들 펠릭스를 그곳에 맡긴다. 교육주란 큰 학원의 이름인데 이 학원에 대한 서술에서 괴테의 교육에 관한 지론을 충분히 알 수 있다. 직접적으로는 펠릭스의 교육에 관계하고 있지만 넓게는 새로운 사회건설에 필요한 인간 교육의 문제가 진지하게 다루어져 있는 것이다. 이 학원에서 가장 중요시되고 있는 것은 개인교육이다. 즉 획일화하지 않고 개성을 발휘시키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며 그 개성에 따라서 제각기 다른 교육이 행해진다. 제각기 다른 개성과 다른 직업의 소유자들이 공동 작업을 하고 공동 생활을 하는 방법을 가르치고 있다. 이러한 교육의 근저에는 세 가지 경외(Ehrfurcht)가 있는데 자기 위의 경외, 자기와 대등한 경외, 자기 밑에 있는 경외이다. 이 세 개의 경외가 합쳐져서 최고의 경외, 즉 자기 자신에 대한 경외가 생겨난다. 이와 같이 해서 만들어진 인간이 활동해야 되는 단계가 세계 결사에 의한 활동의 최종 단계인데, 바로 민주적인 공동 사회인 것이다.
참고 자료
【연구문헌】
괴테 作 김숙희 外 譯『빌헬름 마이스터의 편력시대 1, 2』민음사, 1999
원문참고 사이트 : http://gutenberg.aol.de/
【참고문헌】
한국괴테학회 : 괴테연구 1996/제8집(이영임, 노년의 괴테가 그려보이는 자연과 인생의 법칙 - 『빌헬름 마이스터의 편력시대』를 중심으로 - )
한국괴테학회 : 괴테연구 1997 / 제9집(박광자, 빌헬름과 레나르도 - 『빌헬름 마이스터의 편력시대』의 중심 줄거리)
한국괴테학회 : 괴테연구 1997 / 제9집 (김숙희, 『빌헬름 마이스터의 편력시대』에 나타난 예술의 기능과 의미)
한국괴테학회 : 괴테연구 1993 / 제5집 (송동준,『빌헬름 마이스터의 수업시대』에 있어서 주인공의 교양을 위한 연극의 기능 )
박의수 外, 『교육의 역사와 철학』동문사, 1999
성기산, 『서양교육사 연구』, 문음사,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