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문화] 한국영화의 한계점과 대안
- 최초 등록일
- 2001.12.09
- 최종 저작일
- 2001.12
- 1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대중매체와 현대사회라는 과목에서 영화부분관련으로 쓴글입니다
저희 발표조에서 준비한 한국영화관련 리포트인데
내용 상당히 알차고 많은 부분을 포함하고 있어요..
박하사탕 JSA 섬등의 영화소개도 자세히 되어있고요
한국영화의 나아갈 방향도 잘지적한거 같아요..
안에 영화들 포스터도 넣은 참 잘된자료라고 생각합니다..
저희조 발표 A+받았어요^_^
목차
서론
본론
1.한국영화의 현상황
2.한국영화의 문제점
1) 블록버스터화(해결책-"JSA"소개)
2) 장르(해결책-"섬"소개)
3) 사전심의
4) 스크린쿼터제
5) 배우층의 협소
6) 능력있는 감독의 부족(해결책-"박하사탕"소개)
7) 극장의 불투명성
8) 영화 자본
결론 - 나아갈 방향
< 참 고 문 헌 >
본문내용
대중 매체와 현대 사회라는 수업의 발표를 위해 처음에 잘 모르는 사람들끼리 모였으나 우리는 곧 의기 투합하여 "한국영화의 르네상스" 라는 타이틀로 발표 준비를 시작했다. "요즈음은 그야말로 한국 영화의 중흥이다. 최근 개봉한 한국 영화들은 수백만이라는 단어가 무색하게 관객을 불러모으고 있다. 연초에 개봉된 '친구'는 전국적으로 팔백만 명의 관객을 불러모았고 그 뒤를 이어 '신라의 달밤', '엽기적인 그녀', '무사', 최근에 '조폭 마누라'까지 흥행 돌풍을 이어가고 있다. 현재 국내 영화의 한국 영화 시장 점유율은 역대 최고 기록인 39%, 프랑스의 54%를 제외하면 세계에서 두 번째로 높은 자국 영화 점유율이다. 미국 영화가 세계를 지배하고 있는 가운데 우리 영화가 할리우드 영화를 당당히 물리치고 있는 것이다." 이런 식으로 순조롭게 발표 준비가 시작되었다. 그러나 우리는 곧 제목을 "한국영화의 허와 실"이라고 바꾸어야 했다. 우리가 보던 그 화려한 내면의 속에는 그동안 산적해 있던 영화계의 여러 문제들이 그 중흥을 가로막고 있었고 대박 현상의 한계도 여실히 드러나고 있었기 때문이다.
참고 자료
정중헌, 1991, "한국영화를 살리자", 『영화평론』.
주영호, 1991, "매스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영화", 『영화』
명계남, 1999,6 "스크린쿼터와 우리"
『씨네 21』,『스크린』
황현탁, 「한국 영상 산업론」, 나남출판, 1996.
시네21(www.cine21.co.kr), 씨네라인(www.cineline.co.kr),
영화"섬"홈페이지(http://www.theisl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