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단행본
· 권영민,『한국민족문학론연구』, 민음사 , 1991.
· 김윤식·정호웅 편, 『한국리얼리즘소설연구』, 문학과 비평사, 1987.
· 김재용,『민족문학운동의 역사와 이론2』, 한길사, 1996.
· 김재용,『북한 문학의 역사적 이해』,문학과 지성사, 1994.
· 김재용, 『카프비평의 이해』, 풀빛, 1989.
· 김재용, 『한국근대민족문학사』, 한길사, 1994.
· 리기영외, 『우리 시대의 작가수업』, 역락, 2001.
· 민병기·신춘호·한승옥, 『현대작가 작품론』, 집문당, 1998.
· 박종원·류만,『조선문학개관Ⅱ』, 인동출판사, 1988.
· 사회과학원 문학연구소, 『조선문학사 (1926∼1945년)』, 열사람, 1988.
· 윤병로,『민족문학의 모색』, 범우사, 1989.
· 이기영, 『한국소설문학대계 10. 이기영』, 동아출판사, 1995.
· 이미림, 『월북작가 소설연구』, 깊은샘, 1999.
· 임형택, 『한국현대소설연구』, 창작과 비평사, 1996.
· 임규찬·한기형 편, 『카프 해산기의 창작방법 논쟁』, 태학사, 1990.
· 정호웅, 『새미 작가론 총서 1. 이기영』, 새미, 1995.
· 채훈외, 『월북작가에 대한 재인식』, 깊은샘, 1995.
· 황패강외, 『한국문학작가론4』, 집문당, 2000.
· 2.학위논문
· 김성수, 「이기영소설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1991.
· 김흥직, 「이기영 소설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1.
· 남원진, 「이기영 문학사상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1997.
· 박규남, 「이기영의 『고향』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1.
· 박승국, 「창작의 기술문제 - 이기영씨의 '서화'를 읽고」, 『조선일보』, 1939. 9. 6.
· 박승국외, 「이기영 검토」, 풍림, 1937. 5.
· 박흥배, 「소설의 자리」, 좋은날, 1999.
· 이무영, 「소설가 아닌 소설가 - 민촌의 「서화」를 읽고」, 『동아일보』, 1937. 8. 3.
· 이상경, 「이기영 소설의 변모과정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2. 8.
· 이주성, 「한국농민소설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1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