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소설 속에 묘사된 4·3 항쟁
1. 순이삼촌
2. 순이삼촌 이외의 소설들
Ⅱ. 역사 속의 4·3 항쟁
1. 4·3항쟁의 개요
2. 4·3항쟁의 성격
3. 4·3항쟁의 배경
1) 역사적 배경
2) 정치적 배경
3) 발발
4. 4·3항쟁 주요 사건일지
5. 4·3항쟁이 제주공동체에 끼친 영향
1) 피해의식
2) 도민의식 변화
6. 4·3항쟁의 책임
1) 미군정의 정치적 책임
2) 이승만 정부의 책임
3) 양민학살
Ⅲ. 끝나지 않은 4·3 항쟁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소설 속에 묘사된 4·3 항쟁
1. 순이삼촌
섬사람 모두가 피해자로 분단의 질곡 아래 움츠려 있던 이 사건을 처음 소설화하여 이목을 끌게 만든 것은 현기영의‘순이삼촌’(78년)이었다.‘고향에서는 촌수 따지기 어려운 먼 친척 어른을 남녀 구별없이 흔히 삼촌이라 불러 가까이 지내는 풍습이 있다’는 작가의 풀이가 없었으면 영락없이 순이는 남성으로 취급당할 뻔했다. 26세에 과수가 되어 외딸을 길러 출가시킨 뒤 홀몸으로 30년 떠돌다가 4·3 토벌 때 살육의 현장이었던 자신의‘옴팡진 돌짝밭’에‘끝까지 찾아가지 않는 시체가 둘 있었는데’바로 그‘두 오누이가 묻힌 봉분’이 있는 밭에서 시체로 발견된 여인이 순이다.
향년 56세.‘밤색 두루마기에 따듯한 토끼털 목도리까지 두르고 자는 듯 모로 누워’있는 그녀의 시신‘머리맡에는 먹다 남은 꿩약 사이나가 몇 알갱이 흩어져’있었다. 그녀는‘평생 일궈먹던 밭을 찾아가 양지바른 데를 골라’,‘유서도 한 장 없이’사라져 버린 여인이다. 이 여인의 비극적인 삶은 49년 1월17일(음력 섣달 열여드레)에 그 단서가 펼쳐진다.
‘그 당시 일주도로변에 있는 순이삼촌네 밭처럼 옴팡진 밭 다섯 개에는 죽은 시체들이 허옇게 널려 있었다. 밭 담에도, 지붕에도, 듬북눌에도, 먹구슬나무에도 어디에나 앉아 있던 까마귀들. 까마귀들만 시체를 파먹은 게 아니었다. 마을 개들도 시체를 뜯어먹고 다리 토막을 입에 물고 다녔다.’
참고자료
· 1. 제주도의회 4·3특별위원회 "제주도 4·3 피해조사 보고서" 수정보완판 97년 1월
· 2.『한라산은 알고 있다. 묻혀진 4·3의 진상』
· 3. 김동만,「제주지방 건국준비위원회·인민위원회의 조직과 활동」, 역사비평, 1991
· 4. 양정심, 「제주 4·3항쟁의 관한 연구」성균관대학교 사학과 석사학위」논문, 1995
· 5. Merill, John, 「The Cheju-Do Rebellion」,The Journal of Korean Studies, Vol.2.1980, 김동춘편역, 「한국현대사 1」, 이상과 현실사, 1988
· 6. "역사비평” 98년 봄호
· 7. 제민일보 4·3취재반, {4·3은 말한다 ①,②,④}, 전예원, 1997
· 8. 제민일보 4·3연구소편 1∼2, 전예원, 1994,
· 9. 제주 4·3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 위원회 (http://www.jeju43.go.kr)
· 10. 동아일보, 1948. 5. 9
· 11. 제주 4·3항쟁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