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과] 병원감염
- 최초 등록일
- 2001.11.28
- 최종 저작일
- 2001.11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병원감염의 정의
-감염 관리 목적
-수술창상 감염 (Wound Infection)
-폐렴 (Pneumonia)
-하부 호흡기 감염(폐렴제외)
본문내용
병원감염에 대한 정의는 1968년 미국의 병원협회에서 발간한'병원 내 감염관리'에서 최초로 언급한 이후 1970년 보건부에서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다. 즉 입원당시에는 증상도 없었고 감염증의 잠복상태도 아니었던 감염증이 입원 후 혹은 퇴원 후에 발생하는 경우를 병원감염이라고 하였다. 이 정의는 전세계적으로 적용되는 공통의 기준이며 대표적인 병원감염인 요도감염, 창상감염, 폐렴, 패혈증 등이 있고 그 외의 감염증은 감염부위에 따라 구별한다. 병원감염이 발생하는 대상은 환자와 병원직원, 방문객 등이므로 이들 모두가 병원감염관리 대상이 된다. 병원감염의 정의는 1992년 미국질병관리 센타에서 제정한 깃을 사용하며 이에 따른 일반적인 원칙은 다음과 같다. 병원감염이란 "입원 당시 나타나지 않았음은 물론 잠복상태도 아니었던 감염이 입원기간 중에 발생한 경우"이다. 즉 입원 이전에 감염되지 않았던 사람이 입원 후 병원 환경에서 병원성 미생물에 폭로되어 발생되었거나 환자 자신이 이미 가지고 있던 내인성 미생물에 의해 발생된 감염증을 말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