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문명충돌 (요약)
- 최초 등록일
- 2001.11.27
- 최종 저작일
- 2001.11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많은 도움이 되기를
목차
1부 문명들의 세계
1) 새로운 세계 정세
2) 과거와 현재의 문명
3) 보편 문명? 근대화와 서구화
2. 변화하는 문명의 균형
1) 서구의 쇠퇴: 세력, 문화, 토착화
2) 경제와 인구, 도전하는 문명
3. 문명의 새로운 질서
1) 세계 정치의 문화적 재편
2) 핵심국, 동심원 문명의 질서
4. 문명의 충돌
1) 서구와 비서구: 문명간의 문제
2) 문명 중심의 세계정치구도
3) 과도기 전쟁에서 단층선 전쟁으로
4) 단층선 전쟁의 역학관계
5. 문명들의 미래
6. 결론
본문내용
1. 새로운 세계 정세
1989년 소련이 붕괴됨과 동시에 탈냉전 시대가 도래하게 되었다. 탈냉전 세계에서는 사람과 사람을 가르는 중요한 기준은 이념이나 정치, 경제가 아니고 문화다. 문화가 중요해졌고 문화 정체성이야말로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의미있는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세계 정치는 문화와 문명의 괘선을 따라 재편되고 있다. 여기서 가장 중요하고 위험한 갈등은 사회적 계급이나 빈부, 경제적으로 정의되는 집단 사이에 나타나지 않고 상이한 문화적 배경에 속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발생할 것이라고 많은 학자들이 예상하고 있다.유고 슬라비아 내전에서 러시아는 세르비아를 외교적으로 지원하고 사우디, 터키, 이란, 리비아는 보스니아를 경제적, 군사적으로 지원한 사실은 문화적 동질성의 중요성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예이다. 이를 통해 가장 위험한 문화적 분쟁이 문명과 문명이 만나는 단층선에서 발생한다는 사실도 알 수 있다.
참고 자료
새뮤얼헌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