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육상
- 최초 등록일
- 2001.11.27
- 최종 저작일
- 2001.11
- 1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Ⅰ. 육상경기의 의의
Ⅱ. 역사
1. 발생과 변천
1) 신화시대
2) 고대올림픽시대
3) 근대 올림픽
4) 근대육상경기의 발생
2. 한국에의 도입과 변천
1) 운동회시대
2) 국내 발전시대
3) 국제발전시대
4) 육상부활시대
본문내용
Ⅰ. 육상경기의 의의
육상경기는 경보, 달리기, 뛰기, 던지기의 운동을 총칭한 경기의 하나이다. 넓은 뜻으로 볼 때, 육상경기란 땅 위에서 행하여지는 경기의 모든 것을 뜻할 수 있다. 바다와 공중을 제외한 육상은 지구의 29.2%를 차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넓은 육상에서 행하여지는 모든 운동 경기, 말하자면 야구, 축구, 배구, 탁구, 정구 또는 유도, 검도, 씨름 등의 투기 및 동계에 행하여지고 있는 스키, 스케이트 등의 빙상경기와 모든 경기는 육상에서 행하여지는 까닭에 넓은 의미에서는 육상경기인 것이다.
그러나 좁은 의미에서 육상경기, 즉 일반적인 용어로서의 육상경기는 트랙(track)과 피일드(field)에서 행하여지는 경기만을 뜻하고 있다. 트랙에서 행하여지는 것은 달리기로서 보다 빨리 달리는 것이 목표이다. 피일드에서 행하여지는 것은 뛰기와 던지기로서 보다 높이 뛰거나 멀리 뛰고, 보다 멀리 던지는 것이 목표이다.
달리고, 뛰고, 던지는 것은 인간의 본능적인 행동이며 모습이다. 인류역사가 있은 지 오늘날까지 모든 인간은 생활 속에서 여실히 그런 양상을 보여 왔다. 가령, 기차 시간에 늦은 사람은 시간에 맞추기 위해 뛰어가야 하며, 길을 걷던 도중에 장애물이 있으면 뛰어넘어야 하고, 때로는 불을 끄기 위해서 모래를 집어 던져야 할 때가 있는 것이다. 육상경기의 필요성은 우선
참고 자료
종목별체육학대사전, 손형구·김창환 편저 한국사전연구사, 1999
육상경기의 이론과 실제(Ⅰ), 윤재백 엮음, 도서출판 태근 문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