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학]북한산 국립공원
- 최초 등록일
- 2001.11.26
- 최종 저작일
- 2001.11
- 7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북한산 국립공원
목차
Ⅰ. 서 론
1. 관광자원 조사의 목적 및 필요성
2. 북한산 국립공원 선정의 배경
3. 조사 범위
4. 조사의 한계
5. 조사 방법
6. 역할 분담
Ⅱ. 관광지 현황 조사
1. 위치와 면적
2. 지역 및 대상지 여건
3. 관광자원 및 매력물
4. 관광시장 조사
5. 관련계획 및 법제도
Ⅲ. 관광지 분석
1. 기회인자
2. 제한인자
Ⅳ. 대 안
Ⅴ. 결 론
1. 요약 및 정리
2. 참고문헌
본문내용
1983년 15번째로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북한산 국립공원은 서울과 경기도 사이에 위치한 수도권 지역의 유일한 국립공원으로써 뛰어난 접근성과 거대한 배후도시를 확보하여 20개 국립공원 중 가장 높은 방문율을 기록하고 있으며, 연평균 탐방객이 500만에 이르고 있어 "단위 면적당 가장 많은 탐방객이 찾는 국립공원"으로 기네스북에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탐방객들에 의한 자원 침해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단풍 관광객들이 집중적으로 몰리는 10월경에는 발 딛을 틈 없는 인파로 적정 수용인원을 훨씬 웃도는 인원이 방문하기 때문에 그 피해가 상당히 심각하다. 이에 대해 국립공원 관리공단 측에서는 이에 대한 대안으로 자연휴식년제 구간, 산불조심기간 중 통제구간 등을 지정하여 자원 보호에 관심을 보이고 있기는 하지만, 아직까지는 자원보존에 대한 대비책이 미비한 실정이며, 이 곳을 찾는 방문객들 또한 통행이 금지된 샛길을 이용한다든지, 취사가 금지된 곳에서 야영을 한다든지 하는 행위들이 빈번한 것으로 보아 자연 및 환경에 대한 자각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처럼 북한산 국립공원은 세계적으로 드문 도심 속의 자연공원으로, 수려한 자연경관과 문화자원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과다한 이용과 방문객들의 마인드 부족, 그리고 난잡한 개발 및 관리정책의 미비 등으로 자원의 가치를 하락시키고 있으며, 다양한 자연환경·문화자원들이 본래의 매력을 찾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참고 자료
(1) 단행본
1) 환경부(1998), 국립공원구역 타당성조사 기준 작성
2) 국립공원협회(1998), 북한산 국립공원 환경해설 프로그램 개발
3) 국립공원관리공단(2000), 국립공원별 특성에 따른 공원 관리방안 연구
4) 북한산 서부지소(1999), 북한산 국립공원 소개
5) 서울특별시 도봉구(1999), 도봉구지
(2) 논 문
1) 정일휘(1997), 국립공원 북한산 매력속성에 대한 탐방자의 태도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강미희, 김성일(2000), 북한산 국립공원 이용자의 방문동기 및 관리정책에 대한 관리자의 지각
(3) 인터넷 사이트
1) 환경부 : http://www.moenv.go.kr
2) 국립공원 관리공단 : http://www.npa.or.kr
3) 북한산 국립공원 관리공단 : http://www.npa.or.kr/pukan/main.asp
4) 서울시 : http://www.metro.seoul.kr
5) 도봉구 : http://www.dobong.seoul.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