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인터넷중독] <인터넷 중독>에 관한 연구

"[인터넷중독] <인터넷 중독>에 관한 연구"에 대한 내용입니다.
13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1.11.14 최종저작일 2001.11
13P 미리보기
[인터넷중독] &lt;인터넷 중독&gt;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목차

    인터넷 중독: 중독적 특성, 중독의 결과 및 중독자의 하위유형

    1.인터넷 중독에 대한 세 가지 접근
    2.인터넷 중독의 진단 기준
    3.인터넷 중독자의 인구통계학적 변인
    4.인터넷에 중독되게 하는 인터넷의 특성
    5.인터넷 중독의 결과
    6.최근 연구 동향 및 후속 연구의 방향

    본문내용

    1. 인터넷 중독에 대한 세 가지 접근

    과도한 인터넷 사용을 일컫는 '인터넷 중독'은 이제는 학계 뿐 아니라, 뉴스와 신문 등 다양한 매스 미디어에서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이를 다루고 있다. Goldberg가 1996년에 '인터넷 중독 장애(Internet Addiction Disorder, IAD)'라는 말을 처음 언급함으로써 시작된 인터넷 중독은 이제는 미국을 비롯하여, 영국, 대만 등 다양한 국가에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도 이제 전세계 인터넷 인구 2억 7천만명 중 7위로 , 인터넷 인구수는 1,480만 명에 달하는 인터넷 강국으로 부상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전국 곳곳에 산재한 PC방을 통해서 누구나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고, 광통신망의 발달로 각 가정에서 속도와 비용에 대한 걱정 없이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지나친 인터넷 사용에서 오는 부작용도 늘어나고 있다. 많은 심리학자들이 보고하고 있는 바대로, 지나친 인터넷 사용은 일종의 중독 장애로 진단될 만큼 학업적, 직업적, 그리고 심리적 영역에 심각한 손상을 가져온다. (Brenner, 1997; Egger, 1996; Morahan-Martin & Schumacher, 1997; Scherer & Bost, 1997; Thompson, 1996; Young, 1999).
    그러나 과연 과도한 인터넷

    참고자료

    · 송원영·오경자. (1999). 자기 효능감과 자기 통제 력이 인터넷의 중독적 사용에 미치는 영 향. 99년 하계 임상심리학회 연차대회 발 표논문집.
    · 윤재희(1998). 인터넷 중독과 우울, 충동성, 감각추 구성향 및 대인관계의 연관성, 고려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 Anderson, K. J. (1999). Internet use among college students: An exploratory study http://www.rpi.edu/~anderk4/
    · research.html
    · Brenner, V. (1996). An initial report on the online assessment of internet addiction: The first 30 days of the internet usage. Marquette university counseling center and SUNY at Buffalo.
    · Brenner, V. (1997). Psychology of computer use:XLVII. Parameters of internet use, abuse and addiction: The first 90 days of the internet usage survey, Psychological Reports, 80, 879-882.
    · Chou C. Chen, Sue-Huei & Hsiao, Ming-chun. (1999). Internet Addiction, Usage and Gratifications: The Taiwan's College Students' Case. Paper presented at the 107th Convention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Boston, MA, August 20-24, 1999.
    · Egger, O. (1996). Internet behaviour and addiction. Unpublished thesis, Swiss Federal Institute of Technology, Zurich.
    · Goldberg, I. (1996). Internet Addiction. Electronic message posted to research discussion list. http://www.rider.edu/
    · users/suler/psycyber/
    · supportgp.html
    · Greenfield, D. (1999). The Nature of Internet Addiction: Psychological Factors in Compulsive Internet Use. Presentation at the 1999 meeting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Boston, Massachusetts. http://www.virtual-
    · addiction.com/internetaddiction.htm
    · Greenfield, D. The Net Effect: Internet Addiction and Compulsive Internet Use. The Center for Intgerent Studies. http://www.virtual-addcition.com/
    · neteffect.htm
    · Griffiths, M. (1995). Technological addictions. Clinical Psychology Forum, 76, 14-19.
    · Griffiths, M. (1996). Behavioral addictions: and issue for everybody? The Journal of Workplace Learning, 8(3), 19-25.
    · Griffiths, M. (1997). Does internet and computer addiction exist? some case evidence. Paper presented at the 105th APA annual convention, Chicago.
    · Griffiths, M. (1998). Psychology and the Internet. Academic Press.
    · Griffiths, M. (1999). Internet Addiction. The Psychologist, Vol 12, No 5, 246-250.
    · Kandell J. J. (1988) Internet addiction on campus: The vulnerability of college students. Cyberpsychology and Behavior, 1, 11-17.
    · Katz, J. E. & Aspden, P. (1997). A nation of strangers? Communications of the ACM, 40(12), 81-86.
    · King,<font color=aaaaff>..</font>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이 자료 덕분에 ,복잡했던 과제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실질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완벽한 자료였습니다. 매우 추천합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08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