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A를 통해본 대중문화의 헤게모니적 접근
- 최초 등록일
- 2000.12.18
- 최종 저작일
- 2000.12
- 1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4,500원

소개글
연세대학교 경영학과 사회학 수업에서 A+받은 레폿입니다.
목차
목차
○ 문제제기
○ 설문조사
○ 대중 문화를 바라보는 시각
1) 대중 사회론
2) 계급문화론
3) 이데올로기론
4) 문화주의론
5) 헤게모니론
6) 포스트모더니즘론
○ 그람시와 헤게모니론
1) 그람시
2) 헤게모니론 선택의 이유
○ 정부의 통일정책과 JSA
1) 현 정부 남북관계 일지
2) 통일 정책의 목적
3) 통일 정책의 문제점
4) JSA 내용적 측면으로의 분석
○ 결론
1) 한국사회와 대중문화
2) 우리 나라의 통일 논의
3) 인터넷을 통한 반 헤게모니 창출 가능성
4) 논문의 한계
본문내용
영화 "공동경비구역 - JSA"가 서울 관객 동원 200만을 훨씬 뛰어넘는 흥행실적을 보이며 사회 전반에 걸쳐 이야깃거리가 되고 있다. 여태까지 서울에서 200만 이상의 관객을 동원한 한국 영화로는 서편제와 쉬리 만이 존재할 뿐이다. 이처럼 사람들이 "공동경비구역 - JSA"에 관심을 가지고 열광을 하는 이유가 단순히 영화의 완성도가 높거나 재미가 있어서는 아닐 것이다. 영화 "공동경비구역 - JSA"는 개봉 이후 계속적으로 우리 사회에서 통일에 대한 논의가 일어나도록 만든 하나의 촉매제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그리고 이 영화는 남북 정상 회담, 이산 가족 상봉 등의 사회적으로 큼지막한 사건들과 때를 같이 하면서 활발한 통일 논의에 대한 상승 작용을 일으키고 있다고 보여진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