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와 현대사회(자연과학과 신학과의 대화)
- 최초 등록일
- 2001.05.15
- 최종 저작일
- 2001.05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1. 서론
중세의 기독교와 자연과학의 발생
2. 본론
자연과학과 신학의 관계를 바라보는 두가지 관점
① 투쟁론과 그 발생 배경, 그리고 그 한계
② 조화론과 그 발생 배경, 그리고 그 한계
③ 자연과학과 신학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관점
3. 결론
자연과학과 신학의 상호 보완적인 면
본문내용
자연과학은 “직적접・객관적 관찰을 통해 물리학적이고 생물학적인 우주에 관한 축적된 지식을 체계적으로 조직하는 학문”이다. 그리고 기독교 신학은 "성경에 기록된, 특히 기독교 공동체의 궁극적인 계시, 즉 다른 모든 계시들의 판단 기준인 확정적 계시인 예수 그리스도안에서 구체화된 하나님의 계시의 빛 속에서 하나님, 인간 그리고 우주의 본성과 신앙 그 자체에 대한 비판적 반성인 것이다.“ 이러한 자연과학과 종교 특히 기독교는 서로 다른 개념을 지니고 있지만 중세 과학이 시작되는 14세기까지 거의 모순 없이 지내왔다고 봐도 크게 잘못은 아니다. 고대의 과학은 종교인이며, 철학자이며, 과학자로 있었던 인물들에 의해 발전해 왔기 때문이다. 중세 시대는 목적론적 우주론을 바탕으로 한 기독교적 이념이 지배하던 시기였다. 이때 시작된 자연과학 역시 목적론적 우주론에 따라 하느님이 만드신 자연을 관찰하고 거기에 담긴 하느님의 뜻을 찾는다는 의미에서 시작하였다. 중세 시대부터 근대 과학의 기반이 잡혔다는 것을 생각한다면 현대 과학의 기원은 종교에 있다고 할 수도 있겠다. 그렇기에 “신학과 자연과학” 이라는 테마는 앞으로 공학도를 공부하려는 학생들인 우리가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는 테마중의 하나인 것 같다. 그러면 자연과학과 신학의 관계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자.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