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문화]
- 최초 등록일
- 2001.05.08
- 최종 저작일
- 2001.05
- 1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1. 서론
1) 문화의 정의
2) 대중문화의 정의
가. 대중문화의 정의와 성격
2. 본론
1) 조선시대의 대중문화
2) 한국 대중문화의 현 실태
가. 대중 문화의 이해 정도
나. 한국 대중 문화의 문제점
다. 한국 대중 문화의 비판적 시각
3) 대중문화에 대한 올바른 이해
3. 결론
* 한국 대중문화의 개선점
⊙참고문헌
⊙참고 인터넷 사이트
본문내용
1) 문화란? 대중문화를 정의하려면 먼저 문화라는 용어를 정의할 필요가 있다. 문화라는 말은 일상생활에서 엄청나게 사용되고 있다. 우리는 문화라는 말을 넣어 말이 되지 않는 단어가 없을 정도로 각각의 상황에 맞도록 여러 가지 의미를 만들어낸다.
문화라는 용어는 라틴어의 cultura에서 파생한 culture를 번역한 말로 본래의 뜻은 경작(耕作)이나 재배(栽培)였는데, 나중에 교양 ・예술 등의 뜻을 가지게 되었다. 영국의 인류학자 E.B.타일러 1883년 옥스퍼드대학 박물관의 관리자를 거쳐 1896년 동대학의 초대 인류학 교수가 되었다. 진화주의적, 심리주의적 입장에서 원시문화를 비교 연구함으로써 인류문화 발전의 양상을 밝히려고 하였다. 그는 영적 존재(靈的存在)의 신념을 종교의 최소정의(最小定義)로 삼는 애니미즘설을 제창하였는데, 그것은 종교기원론이며 종교본질론이기도 하였다.
애니미즘론은 그 후 여로 가지로 수정이 가해지기는 하였으나, 원시종교 연구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현재까지 계승되고 있다. 그는 인간의 문화도 자연의 일부로서, 과학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인류학의 아버지’로 불린다. 주요저서에는 ≪Primitive Culture≫ 외에 다수가 있다.
는 저서 《원시문화:Primitive Culture》(1871)에서 문화란 “지식 ・신앙 ・예술 ・도덕 ・법률 ・관습 등 인간이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획득한 능력 또는 습관의 총체”라고 정의를 내렸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