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환경]환경호르몬&다이옥신

"[환경]환경호르몬&다이옥신"에 대한 내용입니다.
60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0.12.11 최종저작일 2000.12
60P 미리보기
[환경]환경호르몬&다이옥신
  • 미리보기

    목차

    1. 내분비계의 기능
    2. 내분비장애물질에 대한 평가
    3. 환경호르몬의 관리방안
    4. 향후 추진계획

    본문내용

    1997년 국제자연보존연맹(International Union Conservation)의 보고에 따르면 현재 지구상에서 약 3천 종류의 동물과 약 1만5천8백 종류의 식물이 멸종 위기에 직면해 있다고 한다. 다행히 근래에 들어 환경의 중요성이 인식되어 손상된 환경이나 생태계를 원상 회복시키고 환경에 위해가 되는 요소는 미연에 예방하고자 하는 노력들이 확산되고 있다.
    최근 미국, 유럽, 일본 등에서 발표되어 주목을 받고 있는 일명 환경호르몬이라 불리는 내분비계장애물질은 인간 및 동물의 생체내에 작용하여 수컷의 정자수를 감소시키거나 수컷의 암컷화, 다음세대의 성장억제 등을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지구상 생명체의 멸종에 큰 영향을 미치는 한 요인으로서 인식되기 시작하였다.
    내분비계장애물질에는 광범위한 합성화학물질, 의약품 및 일부 천연물질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거론되고 있으며 이러한 물질들은 생체내의 섬세한 호르몬계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극미량으로도 생식기능에 이상을 가져올 수 있고 급ㆍ만성 독성과는 달리 차세대에 영향이 발현될 수 있다는 특성이 있다. 또한 유기염소계 살충제 및 PCB와 같이 잔류성이 큰 물질일 경우 자연의 먹이사슬을 통해 동물이나 사람의 체내에 축적되어 야생동물이나 인간에게 생식 기능 저하와 기형 등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향후 내분비계장애물질을 검색ㆍ선정하여 규제하기 위해서는 우선 적합한 시험법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고 환경중 실태조사, 용량-반응 평가, 노출량 산정 및 위해도 평가 등 일련의 위해성 평가과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 책에서는 우선 내분비계 및 그 기능에 대한 일반적인 내용을 설명하고 내분비계장애물질의 정의 및 성질과 내분비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물질을 소개하였으며 내분비장애 기전 및 생체에 대한 영향에 대하여도 다루었다. 아울러 내분비계장애물질과 관련하여 국제적으로 논의되고 있는 평가 및 시험방법과 국내 관리방안에 대하여 언급함으로써 내분비계장애물질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도록 하였다.

    참고자료

    · 1. Chen, P.H., et al., (1985), Environmental Heath Perspectives, Vol. 59.
    · 2. Oilie, K., et al., (1977), Chemosphere, Vol. 6, pp 455~459.
    · 3. Rappe, C., et al., (1977), Chmosphere, Vol. 6.
    · 4. US, EPA, (1990), Method 1613 : Tetra-through Octa-Chlorinated Dioxins and Furans by Isotope Dillution HRGC/HRMS.
    · 5. 金三權, (1993), 쓰레기소각로에서의 Dioxin 분석에 대한 해외연수 귀국보고서, 국립환경연구원.
    · 6. 金三權, (1996), 다이옥신 측정방법, 특정유해물질측정검사, 환경공무원교육원 교재, pp. 193~ 241.
    · 7. 森田昌海 外, (1992), ダイオキシン汚染問題解決ヘの展望, 工業技術會.
    · 8. 平岡正勝, (1993), 廢棄物處理とダイオキシン對策, 環境公害新聞社.
    · 9. 日本, (1992), (財) 廢棄物硏究財團, 廢棄物處理におけゐダイオキシン類測定分析マニユアル.
    · 10. 平岡正勝, (1990), 廢棄物學會誌, Vol. 1, No. 1.
    · 11. 永田勝也, (1992), 廢棄物學會誌, Vol. 3, No. 3.
    · 작성자 : 미량물질분석과 환경연구관 신선경(이학박사)
    · 환경연구관 장성기(이학박사)
    · 1. 環境廳水質保全局, (1994), 「重金屬等に係る土壤汚染調査․對策指針及び有機鹽素系化合物に係る土壤․地下水汚染調査․對策暫定指針」
    · 2. Bieber A., (1997), Current Aspects to Face the Issues of Contaminated Land and Groundwater in Germany, 第1回國際土壤․地下水環境ワ-クショップ講演集, (社) 土壤環境センタ-
    · 3. BMU, (1993), Bericht der Bund/Lander-Arbeitsgruppe Dioxin
    · 4. Canadian Counsil of Ministers of the Environment, (1991), Interim Canadian Environmental Quality Criteria for Contaminated Sites, Report CCME EPC-cs34
    · 5. De Rosa C.T., Brown D., Dhara R., Garrett W., Hansen H., Holler J., Jones D., Jordan-Izaguirre D., O`Conner R., Pohl H. and Xintaras C.; Dioxin and Dioxin-like Compounds in Soil, Part I: ATSDR Interim Policy Guideline, Toxicology and Industrial Health, vol. 13, No. 6, pp. 759~768
    · 6. De Rosa C.T., Brown D., Dhara R., Garrett W., Hansen H., Holler J., Jones D., Jordan-Izaguirre D., O`Conner R., Pohl H. and Xintaras C.; Dioxin and Dioxin-like Compounds in Soil, Part II: Technical Support Document for ATSDR Interim Policy Guideline, Toxicology and Industrial Health, vol. 13, No. 6, pp. 769~804
    · 7. Gough M., (1991), Human Exposures from Dioxin in Soil - A Meeting Report, Journal of Toxicology and Environmental Health, vol. 32, pp. 205~245
    · 8. Kimbrough R.D., Falk H., Stehe P. and Freis G, (1984), Health Implications of 2,3,7,8- tetrachlorodibenzo-p-dioxin(TCDD) Contamination of Residential Soil, Journal of Toxicology and Environmental Health, vol. 14, pp. 47~93
    · 9. Liem A.K.D. and Theelen R.M.C., (1997), Dioxins: Chemical Analysis, Exposure and Risk Assessment, p. 74
    · 10. Liem A.K.D. and Theelen R.M.C, (1997), Dioxins: Chemical Analysis, Exposure and Risk Assessment, p. 75
    · 11. Ministry for Environment (NZ), (1998), Reporting on Persistent Organochlorines in New Zealand, p. 5
    · 12. National Institute of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The Netherlands, (1994), Human Exposure to Soil Contamination: a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Towards Proposals for Human Toxicological C-Standard Values, Report No. 725201006
    · 12. OSWER Directive 9200.4-26 (EPA), (1998), Approach for Addressing Dioxin Soil at CERCLA and RCRA Sites, Memorandum Signed April 13
    · 14. Swedish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1996), Development of Generic Guideline Values
    · 15. The Ministry for Environment and the Ministry of Health (NZ), (1997), Health and Environment Guidelines for Selected Timber Treatment Chemicals
    · 16. UBA, (1992), Dioxinbelastung der Umwelt in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 Messprogramme, Messwertem Messmethoden -, Abschlissbericht der UAGI
    · 17. VROM, (1997), Interventiewaaden bodemsanering tweede en derde tranche, Circulaire, 4. September
    · 18. www homepage (URL : http://www.epa.gov/oerrpage/superfnd/web/sites/)
    · 작성자 : 토양환경과 환경연구관 이문순(약학박사)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과제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내용이 많아,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06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2 오후